도자기(陶磁器) 장군 도자기(陶磁器) 장군 도자기로 제작한 그릇은 대접, 접시(접匙), 잔(盞), 항아리(壺), 병(甁), 문방구류(文房具類), 상형기(像形器) 등의 명칭으로 분류되며 그릇의 용도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그릇 외에 ‘장군’이라는 명칭의 그릇이 있다. 장군의 사전적 의미는 “물ㆍ술ㆍ오줌ㆍ 거름 등을.. 나아가는(문화) 2010.02.0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려, 뱃길로 세금을 걷다' 특별전 ‘高麗! 뱃길로 세금을 걷다’ 특별전은 우리 역사에서 국가의 세금 수취와 운송 시스템으로 자리 잡은 고려시대 조운로(漕運路) 및 13 조창의 운영 모습을 고려 침몰선(난파선) 발굴 성과를 통해 그려보고자 기획했다. 특별전은 여러 조창지(漕倉地)에서 출토된 유물 및 조창 관련 문서를 비롯한 조운.. 더듬어보고(전시) 2010.01.26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아미타불입상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아미타불입상 8세기 전반 신라의 불교문화를 단연 살필 수 있는 조각은 감산사 석조 미륵보살입상과 아미타불입상이다. 719년경 중아찬 김지성이 돌아가신 부모를 위하여 경주 감산사를 단장하고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을 탑과 함께 만들었다. 1915년 땅에 엎어져 있던 .. 나아가는(문화) 2010.01.26
채용신의 백납병(百衲屛) 채용신의 백납병(百衲屛) 활짝 핀 진달래 사이로 나비 정겹게 날고, 사립 안 나무 아래 어미개가 새끼들 젖먹이고, 매화에 제비 깃드는데 개구리가 올챙이 노니는 양 바라보고, 누각에서 담소하는 선비로부터, 수령의 부인이 가마로 군졸을 대령하고 강을 건너려는 풍경까지… 산수에서 기명절지나 영.. 느끼며(시,서,화) 2010.01.26
와우아파트 도괴사건 와우아파트 도괴사건은 부실 공사의 상징 ㆍ역사의 현장에서 미래를 묻다 ㆍ1960~1970년대가 만든 압축적 근대화의 그늘 1960~1970년대의 급속한 산업화는 오늘날 한국사회가 이룬 경제성장의 기틀이기도 하지만 또한 ‘빨리빨리’로 상징되는 압축적 근대화 과정의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기도 하다. 전태.. 나아가는(문화) 2010.01.24
궁궐의 현판과 주련 - 3. 경복궁(영추문, 신무문, 계무문, 광무문) (3) 영추문(迎秋門) 위치와 연혁 : 경복궁의 서쪽 궁문이다. 동쪽의 건춘문과 짝을 이룬다. 오행 상서쪽을 상징하는 계절이 가을이므로 이와 같이 이름지었다. 이 문은 주로 문무백관이 출입하던 곳으로 건춘문과 똑같은 규모였다. 현재의 문은 1975년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한 것이다. 뜻풀이 : ‘.. 지켜(연재자료) 2010.01.24
궁궐의 현판과 주련 - 2. 경복궁(광화문, 건춘문) 1. 궁문(宮門) 경복궁의 궁성과 궁문 경복궁의 궁성은 1398년(태조 7)에 조성되었으며, 이때 궁성문인 광화문(남), 건춘문(동), 영추문(서)도 세워졌다. 이보다 뒤에 북문인 신무문도 갖추어졌다. 궁성은 거의 네모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전면 좌우 끝에는 동십자각과 서십자각이 있다. 1867년(고종 4) 경복.. 지켜(연재자료) 2010.01.24
[국립중앙박물관] 태양의 아들, 잉카 展 <태양의 아들, 잉카> 展 ◇일시= 2009년 12월11일(금)~2010년3월28일(일)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주최= 한국일보사ㆍ국립중앙박물관ㆍSBS ◇후원= 문화체육관광부ㆍ서울시교육청ㆍ주한페루대사관ㆍ페루관광청 기원후 500년 경, 자신 스스로 '태양의 아들'이라 칭한 잉카인들과 잉카문명.. 더듬어보고(전시) 2010.01.22
자의식 표출했던 뭉크의 작품들 - <달빛> <마라의 죽음> 자의식 표출했던 뭉크의 작품들 쓰디쓴 사랑의 아픔, 화폭 위에 수놓다 <절규>로 잘 알려진 화가 뭉크는 작품을 통해 잠재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던 불안과 공포를 통렬하게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는 어린 시절 병마로 가족을 잃었던 경험에 기인한다. 뭉크에게 가족이 지울 수 없는.. 느끼며(시,서,화) 2010.01.22
월북 언론인 이갑섭의 '조보(朝報)’ 연구 월북 언론인 이갑섭의 ‘조보(朝報)’ 연구 경성제대 졸업한 엘리트, 왜 북한은 이름을 지웠을까? '조보(朝報)’의 존재는 일찍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조보 연구는 1970년대 말에 와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이미 1958년에 깊이 있는 연구논문 한 편이 나왔다. 조보 연구에서는 남.. 알아가며(자료) 201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