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학과 함께하는 인문학강좌' - 정옥자 국사편찬위원장 한국학술진흥재단 제3기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학 강좌’ 정옥자 국사편찬위원장(법철학) (1) 먼저 식민사관부터 극복해야 일제는 한국 침략과 식민통치를 합리화하기 위해 식민사관(植民史觀)에 입각한 한국사 연구를 진행해나갔다. 한민족의 자주적인 역사발전 과정을 부정하고 한국사에서 타율.. 알아가며(자료) 2010.01.07
[청계천문화관] 인도의 신화(印度의 神畵) 전시명 : 인도의 신화 전시기간 : 2009-12-15 ~ 2010-02-28 전시장소 : 청계천문화관 기획전시실 청계천문화관과 제주대학교 박물관은 <印度의神畵>특별전을 공동개최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인도의 오랜 종교 전통과 미술의 역사를 내포하고 있는 인도의 회화작품을 선보인다. 전시되는 작품들은 힌두.. 더듬어보고(전시) 2010.01.06
[서울역사박물관] 서울디자인자산 展 ‘서울디자인자산展’ 훈민정음도, 궁궐도 '디자인'을 이야기한다 ! 서울의 600년 디자인 역사와 첨단 IT기술이 만들어낸 3차원 체험 전시전 서울 디자인의 정체성과 우수성을 알리고 우리 디자인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될 ‘서울디자인자산展’이 2010년 1월 8일부터 3월 7일까지 서울.. 더듬어보고(전시) 2010.01.06
폐사지, 잊혀진 역사의 흔적 우리에게 절터란 무엇인가 절터의 사전적 의미는 절이 있었던 곳, 또는 절이 있을 법한 곳이다. 절이 있을 법한 곳이라는 것은 과거에 절이 있었던 곳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절이 들어서기에 마땅한 곳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하자면 절이 들어서는 곳은 명확하게 규정할 수는 없지만 일정한 입지조건을.. 찾아 떠나고(답사) 2009.12.31
폐사지, 그 새로운 발견 폐사지를 지키는 사람들 폐사지를 또 다른 전통 문화재, 제3의 불교 성보로 보고 일찍부터 폐사지의 가치에 주목한 이들이 있다. 그들은 전문적인 불교 수행자도, 체계적으로 문화재의 역사성을 공부한 학예사들도 아니었다. 그들은 평범한 직장인, 사회복지사, 작가, 공연기획자들로 우연한 기회에 .. 찾아 떠나고(답사) 2009.12.31
종로 시전 행랑 및 피맛길 유적 청진동 시전 유구 발굴 모습, Picture of the Chungjin-dong Findspot, 한울문화재연구원 피맛길 남측 지역은 시전행랑이 자리했던 곳으로 정면 동서길이 약 8m, 측면 남북길이 6.7m 정도의 하나의 단위 건물이 확인되었다. 청진 6지구 제 5문화층의 시전행랑 건물터는 서울역사박물관의 광장에 이전 복원되었다. 한.. 알아가며(자료) 2009.12.31
마당놀이의 꽃 - 줄타기 줄타기의 어원 및 종류 줄타기란 ‘공중의 맨 줄 위에서 줄광대가 재담·소리·발림을 섞어가며 갖가지 재주를 부리는 놀음’을 말한다. 고려시대부터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줄타기 관련 기록을 보면, 한자로 답삭희(踏索戱), 답삭(踏索), 주삭(走索), 보삭(步索), 삭상재(索上才), 주승(走繩), 이승(履繩.. 나아가는(문화) 2009.12.31
상원사를 지킨 한암스님 6·25전쟁 때, 상원사에는 무슨 일이 있었나 1950년 6·25전쟁은 민족의 비극이었다. 그 전쟁으로 민족의 분단은 더욱 더 고착화되었고, 남북 간의 이념 대결이 극심하게 전개되었다. 그리고 전국의 문화재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소실되었다. 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12월, 북진을 하던 국군과 유엔군은 중.. 나아가는(문화) 2009.12.31
송광사 관음보살좌상의 복장유물 - 조선중기(15~17세기) 전남 순천 소재 송광사(松廣寺)에서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을 개금(改金)하기 위해 상태를 확인하던 중 조선시대 중기(15~17세기) 유물들 450여 점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유물들은 불상 내에 있던 복장물(腹藏物, 불상을 만들 때 가슴 쪽에 넣어두는 보화나 서책 따위의 유물) 다수와 각종 경전(經典)류.. 나아가는(문화) 2009.12.31
당간(幢竿) - 사찰의 장엄, 수호 당간과 당간지주는 사찰의 존재를 알려 준다 절터를 찾아다니다 보면 폐허가 되어 논밭으로 변한 곳에 2개의 돌기둥이 솟아 있거나 민가 옆에 다른 용도로 쓰기 좋은 사각형 돌기둥을 자주 볼 수 있다. 그것이 당간지주인데 가운데 우뚝 솟은 당간(幢竿)을 세우기 위한 고정시설이며, 높은 당간은 불전.. 나아가는(문화) 200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