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의 비밀] ⑫ 광릉(光陵) 사적 제 197호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산 99-2 광릉 가는길 서울(미아리)→의정부→축석고개→광릉수목원→광릉(33㎞) 광릉(光陵) 세조는 봉분 주위에 둘렀던 병풍석을 없애고 난간석만 두르는 등 능제를 간소화하였다. 조선 7대 세조(世祖, 1417~68)와 정희왕후(貞熹王后, 1418~83) 윤씨의 능이다. .. 지켜(연재자료) 2009.09.09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겸재 정선展 - 붓으로 펼친 天地造化 “겸재 정선展 - 붓으로 펼친 천지조화 天地造化” ㅇ 전시기간 : 2009. 9.8(화)~11.22(일) ㅇ 전시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회화실 ㅇ전시명 : 서거 250주년 기념 <겸재 정선, 붓으로 펼친 천지조화(天地造化)> ㅇ전시기간 : 2009. 9. 8(화)-11. 22(일) ㅇ전시장소 : 상설전시실 2층 미술관 회화실 ㅇ전시유물 : 최.. 더듬어보고(전시) 2009.09.08
알렌의 서양식 진단서 알렌의 서양식 진단서 최초 조선인 의사(박서양)의 유리 필름 근대의료유물 문화재 지정 박서양(왼쪽 세번째)이 세브란스병원장 에비슨(두번째)에게 가위를 건네주는 모습을 담은 유리원판 필름 대한제국 당시인 1904년, 세브란스병원 원장 올리버 R 에비슨이 수술하는 모습을 담은 유리원판 사진을 보.. 알아가며(자료) 2009.09.07
[조선왕릉의 비밀] ⑪ 헌인릉(헌릉/ 인릉) 사적 제 194 호 / 서울 서초구 내곡동 산 13-1 헌인릉 가는길 박석고개 → 헌릉로(성남방향) → 내곡 IC (좌회전) → 이정표 헌릉(獻陵) 순조는 처음에는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인 장릉(長陵) 왼쪽 산줄기에 모셔졌으나 풍수지리상 불길하다 하여 1856년(철종 7) 헌릉 오른쪽 언덕으로 옮겨졌다. 순원왕후는 180.. 지켜(연재자료) 2009.09.07
[조선왕릉의 비밀] ⑩ 선정릉(선릉, 정릉) 사적 제 199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31 선정릉 가는길 선릉로 → 선릉사거리 → 선릉역 전에서 좌회전 (8번출구, 이정표) 선릉(宣陵) 성종 선릉의 정자각. 성종은 나라의 근간이 되는 국법인《경국대전》의 편찬을 완료하는 등 정치 · 경제 · 문화적으로 태평성대를 이뤘다. 조선 9대 성종(成宗, 1457~9.. 지켜(연재자료) 2009.09.07
[조선왕릉의 비밀] ⑨ 동구릉 2편(숭릉, 혜릉, 원릉, 경릉, 수릉) 숭릉(崇陵) 왕과 왕비의 봉분은 병풍석 없이 난간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봉분 앞에는 각각 혼유석을 놓았다. 조선 18대 현종(顯宗, 1641~74)과 원비 명성왕후(明聖王后, 1642~83) 김씨의 능이다. 현종은 효종의 맏아들로 봉림대군(효종)이 심양(瀋陽)에 볼모로 가 있을 때 태어났다. 1649년(인조 27) 왕세손에 .. 지켜(연재자료) 2009.09.07
[조선왕실의 비밀] ⑧ 동구릉 1편 (건원릉, 현릉, 목릉, 휘릉) 사적 제 193호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동구릉 가는길 서울시내 → 내부순환도로 → 북부간선도로 → 구리IC에서 43번 국도로 진출 → 퇴계원 방향으로 U턴 → 좌측에 이정표, 근처능으로는 홍유릉과 사릉이 있다. 조선의 왕과 왕비 17위의 유택이 마련돼 있는 곳으로 동구릉(東九陵)은 ‘동쪽에 아.. 지켜(연재자료) 2009.09.07
[조선왕릉의 비밀] ⑦ 의릉(懿陵) 사적 제 201호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223-19번지 의릉 가는 길 한국예술종합학교 건물 사이에 위치, 중앙정보부가 의릉 경역 내에 자리를 잡고 있었던 탓에 30여 년 동안 봉쇄구역이었다가 1996년부터 다시 공개되었다.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 이용) 의릉(懿陵) 의릉은 효종 영릉처럼 왕과 왕비의 봉분을 .. 지켜(연재자료) 2009.09.07
[조선왕릉의 비밀] ⑥ 태강릉(泰陵, 康陵) 사적 제 201호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223-19번지 태강릉 가는 길 중부고속도로 동서울IC→서하남IC→강일IC→ 남양주IC→ 구리IC→ 서울방면 진입후 태릉이정표 방향으로 삼육대학교 · 태릉선수촌→500m전방 우측에 있음 태릉(泰陵) 중종 제2계비 문정왕후가 묻힌 태릉. ‘조선의 측천무후’ ‘철의 왕비.. 지켜(연재자료) 2009.09.07
[조선왕릉의 비밀] ⑤ 정릉 사적 제 208 호 / 서울 성북구 정릉동 산87-16 정릉 가는 길 내부순환도로(또는 북악터널) → 정릉(램프) → 정릉삼거리(우회전) → 아리랑고개방향 진입 후 우회전(이정표) 정릉(貞陵) 태조 계비인 신덕왕후는 본래 도성 안에 묻혔으나 태종에 의해 도성 밖인 현 자리로 이장되었다. 오랫동안 방치되었다.. 지켜(연재자료) 2009.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