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다 다이쥬' '슨상님' '도요다 다이쥬', '슨상님'이라는 고약한 별명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후 비난하는 누리꾼이 인터넷에 올린 이미지. ‘슨상 김대중씨’가 “햇볕으로 핵폭탄을 만들어 2009년 노벨과학상을 받았다”고 조롱했다. <다음 아고라> 한 ‘진보’ 단체의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추도사가 누리꾼의 심기를 건.. 하루하루~(일상) 2009.09.05
지(之)와 일(一), 그 의미 지(之)와 일(一), 그 의미 갈 지(之) 자는 ‘가다 또는 영향을 미치다’의 의미가 있다. 지남지북(之南之北)이나 지동지서(之東之西)에서는 행동을 묘사하고 있다. 늦은 밤 술에 취한 사람들이 중심을 잡지 못하고 걷는 모습이나 정부가 무엇을 하는지 모르고 정책을 꾸려가는 경우를 연상하면 지(之)의 .. 하루하루~(일상) 2009.09.05
신라 문무왕릉비 조각, 200년만에 재발견 신라 문무왕릉비 조각 200년만에 재발견 신라 문무왕릉비 조각, 가정집 빨래판으로 사용 조선시대에 발견됐다가 다시 실종됐던 신라 문무왕릉비의 조각이 200여 년만에 다시 발견됐다. 국립경주박물관은 경주시 동부동의 한 주택에서 신라 문무왕릉비의 상단 부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경주 사천왕사.. 나아가는(문화) 2009.09.04
'간도 독립운동가' 미공개기록 추가 발견 미공개 '간도 독립운동 기록' 추가 발견 일제 강점기에 일본이 중국 간도 지역에서 활동중인 독립운동가들을 체포한 내용이 담긴 문서가 발견됐다. 중국 간도 지역에서 초기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됐던 우리 선열들의 늠름한 모습이 담긴 내용. 특히 이 문서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180명에 이르는.. [간도 오딧세이] 2009.09.04
간도협약 100년...'간도를 되찾자' 간도협약 100년...'간도를 되찾자' 오늘(2009-09-04)은 일제와 청나라가 조선을 배제한 채 만주 일대를 중국 영토로 인정한 '간도협약'을 맺은지 100년이 되는 날. 통일 후에 대비해 이 간도 협약이 무효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자는 운동이 전개돼 주목을 끌고 있다. 간도는 백두산 북쪽 만주지역 일대로, 현.. [간도 오딧세이] 2009.09.04
다윈이 탐험한 아르헨티나 네그로강 네그로강을 따라 다윈의 발자취를 좇다 ① 아르헨티나 파타고네스 시가지를 배경으로 네그로강이 유유히 흐르고 있다. 강변에 홍수를 대비해서 쌓아둔 모래포대가 보인다. ② 파타고네스시에서 바라본 비에드마시 전경. 두 도시 가운데로 네그로강이 흐른다. 다윈이 탐험한 길이 800km의 아르헨티나 .. 알아가며(자료) 2009.09.01
과학의 미스터리 - 첨성대 과학의 미스터리 / 첨 성 대 ⓒ 문화재청 천문대, 우물일까? 천문관측소일까? 신라 선덕여왕(632~647년) 때 세워진 첨성대를 놓고 사학자와 천문학자 간의 논쟁이 흥미롭다. 먼저 정연식 서울여대 사학과 교수는 첨성대를 선덕여왕의 상징물이라고 분석한 새로운 학설을 제기했다. 정 교수는 '선덕여왕 .. 알아가며(자료) 2009.09.01
운심(雲心) - 검무로 18세기를 빛낸 최고의 춤꾼 춤꾼 운심(雲心) “천하 名妓가 천하 명승지에서 죽는다면 그 또한 만족이니” 한국인이 음주가무를 즐긴다지만 이름난 무용가에 관한 기록은 남은 게 거의 없다. 영남기생 운심에 관한 이야기가 강렬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래서일까. 흐드러진 검무로 일세를 휘어잡은 춤꾼. 당대의 서예가와 사랑을 .. 나아가는(문화) 2009.08.31
천재문인 필한(疋漢) 이단전(李亶佃) 시인 이단전 “그래, 나는 종놈이다” 외친 천재문인 글씨는 전서(篆書)요 얼굴은 원숭이꼴, 시는 신선의 말이요 읊기는 귀신의 휘파람소리라. 시인 이단전은 종의 신분으로 사대부와 교유하며 시를 지었다. 그의 시에는 가슴에 쌓인 울분과 기굴(奇푞)한 기상이 서려 있어 사람들은 귀신이 하는 말 같.. 나아가는(문화) 2009.08.31
여행가 정란 - 조선 최초의 전문산악인 여행가 정란 - 조선 최초의 전문산악인 청노새 타고 백두에서 한라까지… 산에 오름은 배움길과 같아서 큰 고생 뒤엔 반드시 큰 즐거움 있다. 오직 하늘만 오르지 못할 뿐 나머지 땅은 내 발이 밟으리라. - 이용휴의 ‘백두산을 찾아가고 그 김에 동방 명산을 두루 여행하는 정란을 배웅하며’ 中 제7수.. 느끼며(시,서,화) 2009.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