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천마도(天馬圖)의 반달형 뿔 그림 ‘천마도’에서 반달형 뿔 그림 발견 1996년 적외선 촬영 사진... "사뭇 다른 천마" 1973년 경주 천마총 발굴에서 수습한 신라 천마도(天馬圖)가 진짜 모습. - 적외선 사진 / 1973년 출토 직후 천마도 장니 국립중앙박물관이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을 기념해 9월29일 개막하는 특별전('100주년 기념특별전-여.. 알아가며(자료) 2009.09.24
벨기에 왕립미술관- 브뤼겔 '베들레헴의 인구조사'/ 크노프 '스핑크스' 벨기에 왕립미술관(Royal Museums of Fine Arts)의 작품들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왕립미술관(Royal Museums of Fine Arts)은 벨기에에서 가장 중요하고 규모가 큰 미술관이다. 유럽의 미술관 역사와 같이 황제에 소장품으로 시작되었지만 미술관을 설립하게 된 계기는 나폴레옹에 의해서다. 1794년 나폴레옹 군은 벨기.. 느끼며(시,서,화) 2009.09.23
[조선왕릉의 비밀] ⑭ 홍유릉 사적 제 207호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 홍유릉 가는길 : 서울시내 → 내부순화도로 → 북부간선도로 → 춘천방향 → 남양주시청방향 → 이정표 홍릉(洪陵) 홍릉은 1897년 조선의 국호를 버리고 대한제국의 수립을 선포한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합장릉이다. 조선 26대 고종황제(高宗皇帝, 1852 ~1919).. 지켜(연재자료) 2009.09.22
<위작 예방 유물학> 「위작 예방 유물학」 지금 시작해도 이르지 않다. 역사적 유물이 소중한 까닭은 우리 역사를 정립해 나갈 사료(史料)이자 세계로부터 대한민국의 국력과 문화수준을 밝힐 증거물이요 성적표이기 때문이다. 부수적으로 관광효과에 따른 경제적 부가가치도 지닌다. 따라서 유물이 갖는 연대적 의미(年.. 나아가는(문화) 2009.09.22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最古) 금귀걸이 김포 한강변에 3세기 집단 묘역 마한 세력의 지배층 무덤 추정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금귀걸이 발굴 경기도 김포시 운양동 한강 하류 부근 구릉(해발 73m)에서 3세기께 초기 백제시대 마한(馬韓) 세력의 지배계층 무덤으로 추정되는 분묘가 무더기로 발굴됐다. 국내 출토 유물 중 연대가 가장 오래된 금.. 나아가는(문화) 2009.09.22
자객 고영근의 명성황후 복수기 - '우범선'살해사건 [근대사 발굴자료] 자객 고영근의 명성황후 복수기 “적괴를 참살하여 국모의 원수를 갚는다” ● 우범선, “사체를 깨끗이 치우고 잔해가 있으면 못 속에 던져라” ● 고영근, 우범선 죽이고 자수한 뒤 “국모의 원수를 갚았다” ● 명성황후 총애 받던 상민 출신 시중꾼 ● 고종, 이토 히로부미에 고.. 알아가며(자료) 2009.09.20
[간도 오딧세이] 74. 북한에서도 간도문제에 관심? [간도오딧세이] 북한에서도 간도문제에 관심? 간도 문제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는 북한에서도 백두산은 가끔 등장했다. 스스로 민족의 성산이라고 떠받드는 백두산에 대한 자존심 문제 때문으로 해석된다. 1962년 북한과 중국 간에 조중변계조약으로 영토를 확정하는 시기에 북한이 김일성 주석의 .. [간도 오딧세이] 2009.09.20
[간도 오딧세이] 73. 미스터리한 토문강 [간도오딧세이] 간도는 영토분쟁지역 백두산 천지 부근의 지도. 토문강으로 표기된 강은 중국에서 오도백하, 북한에서 백두천(사도백하)으로 각각 나타난다. 백두산 정계비에 기록된 토문강은 중국 지도에서는 오도백하로 나타난다. 이도백하가 천지에서 바로 북쪽으로 흘러 송화강으로 흘러들어가.. [간도 오딧세이] 2009.09.20
신라 호국의 염원, 사천왕사 사천왕사 관련 문헌기록 『三國史記』『三國遺事』 1.『三國史記』關係記事 (1) 券7, 新羅本紀 7, 文武王下 十九年春正月中侍春長病免舒弗邯天存爲中侍二月發使略耽羅國重修宮闕頗極壯麗夏四月熒惑守羽林六 月太白入月流星犯參大星秋八月太白入月角干天存卒創造東宮始定內外諸門額號四天王寺.. 알아가며(자료) 2009.09.18
신라 호국의 염원 '四天王寺' - 도서명 : 신라 호국의 염원 四天王寺 - 2008년12월10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발행 (2008년 12월11일 개최한 2008학술연구 심포지엄『신라 호국의 염원 사천왕사』발표논문) 7~8세기 신라 사찰가람의 배치와 특징 조유전(토지박물관장) Ⅰ. 신라에 있어서 7~8세기 이 200년간은 대단히 의미 있는 기간이다. .. 알아가며(자료) 200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