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가도(間架圖) 간가도(間架圖) 간가도(間架圖)란, 건물의 평면도 또는 배치도를 그린 그림을 말하며, 간(間)은 측면 간, 가(架)는 정면 간을 뜻한다. 평면은 반가의 모습인 ㅁ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사당은 6간, 안채가 32간 반, 사랑채가 14간 반, 각 정자가 합계 23간, 행랑채가 13간이다. 그러므로 총 합계는 89간이.. 알아가며(자료) 2011.01.12
조선을 서양에 알린 2대 명저 - 하멜의 <하멜표류기>와 지볼트의 <한국> 하멜의 <하멜표류기>와 지볼트의 <한국> 조선을 서양에 알린 2대 명저 [19세기 초 강진사람들] 하멜 - 189년 뒤 일본에 표류한 강진주민들 독일인 의사에 문자, 글 등 소개 핸드릭 하멜을 아는 사람은 있지만 폰 시볼트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한국을 서양에 소개했다는 것.. 알아가며(자료) 2011.01.03
선교사 로드리게스의 <극동보고서> 선교사 로드리게스의 <극동보고서> <하멜표류기>보다 앞선 로드리게스의 극동보고서 한국은 처음부터 日 조종국으로 소개됐다 이 자료는 포르투칼의 예수회 신부이자 역사가인 로드리게스가 지은 <일본교회사> 중 한국 관련 기록으로, 명지대 정성화교수가 미국에서 입수해 국내에 처음.. 알아가며(자료) 2010.12.31
조선최고의 이론천문학자 이순지(李純之) 조선 최고의 이론천문학자 이순지(李純之) 우리나라 천문학을 세계수준으로 끌어올려 모든 나라에서 국가 경영의 제1 순위로 삼는 것은 우수한 인재의 양성이다. 아무리 우수한 학자나 정치가, 경영인이라고 하더라도 나이가 들면 반드시 죽어야 하므로 그들을 대체할 수 있는 후배들을 길러 인적 공.. 알아가며(자료) 2010.12.10
페르시아인들의 신라 이주 - 쿠쉬나메(아랍권 11세기 서사시) 발굴 '페르시아인들 新羅 이주' 담은 古代 이야기 찾았다 아랍권 11세기 서사시 <쿠쉬나메(Kush -nameh)> 발굴 필사본 원본은 대영박물관에 '신라 공주와 결혼' 내용도… 당대 모습 밝혀줄 희귀 자료 아랍군의 공격으로 멸망한 페르시아 왕국의 유민들이 신라로 이주해 그 지도자가 신라 공주와 결혼한다는 .. 알아가며(자료) 2010.12.07
임진왜란 당시의 한일(韓日) 군함 임진왜란 당시의 韓日 군함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임진왜란이라는 민족적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그 누구보다 맹활약한 이들이 바로 조선 수군이었다. 그 조선 수군을 이끌었던 인물이 바로 이순신 장군이다. 이순신 장군은 뛰어난 전술적 능력과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한 탁월했던 군인이었지만, .. 알아가며(자료) 2010.12.02
성(城) - 현안도설(懸眼圖說) 현안도설(懸眼圖說) - 다산시문집 10권 현안(懸眼)이란 적을 감시하기 위해 만든 성에 부속된 장치입니다. 그 제도는 타안(垜眼, 타에 뚫어 놓은 구멍)의 시초(始初)에 불과하지만, 그 쓰임새는 매우 긴요합니다. 《석명(釋名)》에, "성 위의 담장을 비예(睥睨)라 하는데, 구멍을 통해서 비상(非常) 사태를.. 알아가며(자료) 2010.11.19
조선의 과학자이자 무신, 이천(李蕆) 조선의 과학자이자 무신, 이천(李蕆) 세종시대 천문, 인쇄, 군사 분야에서 활약한 과학기술자 이천(李蕆) 1376(우왕 2)~1451(문종 1) 조선 초기의 무신 · 과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자현(子見), 호는 백곡(栢谷) · 불곡(佛谷). 아버지는 군부판서 송(竦)이고, 어머니는 곡성염씨(曲城廉氏)이다. 1393년(.. 알아가며(자료) 2010.11.16
실학자 연암, 조화 속의 변화를 논하다 실학자 연암, 조화 속의 변화를 논하다 정밀하다 못해 미로 같은 연암의 글 속을 헤매다보면 대개는 ‘대문호(大文豪) 연암’에 몰입하기 십상이다. 그의 문학과 사유는 날로 주목받는 반면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자 연암’은 상식 수준의 정의로 박제되어 버렸다는 느낌마저 든다. 우리 사회가.. 알아가며(자료) 2010.11.13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 조선을 말하기에 앞서 우리는 우리에 대하여 남이 하는 말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말은 그렇게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역사학자들이 범하기 쉬운 가장 큰 오류 중의 하나는 아마도 자기 연민(憐憫)과 그로 인한 사실의 호도(糊塗)가 아닐까 생각된다. 이는 역사학에서 가장 경.. 알아가며(자료) 201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