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대첩 승리의 숨겨진 비밀 한산대첩 승리의 숨겨진 비밀 조선 수군, 한산대첩서 완승한 비결은 1592년 7월 8일, 한산도 앞바다에 '학의 날개'가 펼쳐졌다. 이름하여 '학익진(鶴翼陣)'. 조선 수군이 펼친 이 작전에서 왜선 59척이 침몰했고 왜군 9,000여 명이 전사했다. 학익진으로 대표되는 한산대첩은 임진왜란 개전 초기, 수세에 몰.. 알아가며(자료) 2011.04.28
3년상을 둘러싼 고려 말기의 한 풍경 3년상을 둘러싼 고려 말의 한 풍경 도현철(중세1분과) 고려후기의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을 수용하고,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실현하려 하였지만, 그 목표와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위화도 회군이 단행되고, 이색, 정몽주, 이성계, 조준 등이 중앙 정계의 핵심 인물로 등장하면서 개혁의 목표와 방.. 알아가며(자료) 2011.04.26
한말 외국인의 눈에 비친 조선의 사형 현장 조선의 사형 - 한말 외국인의 눈에 비친 처형 현장 심재우(중세사2분과) 1. 죽는 것도 등급이 있었으니 조선에서 시행한 형벌이 동 시기 중국과 마찬가지로 오형(五刑), 즉 다섯 가지 형벌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것에 관해서는 이미 앞서 여러 차례 이야기를 했다. 이를 다시 상기시키면 오형은 『대명률(.. 알아가며(자료) 2011.04.26
조선의 연좌제 - 전통시대의 낡은 악법 조선의 연좌제 ① 삼족(三族)을 멸한다는 것은? 심재우(중세사2분과) 1. 전통시대의 낡은 악법, 연좌제 19세기 후반 근대화 과정에서 이전의 관행, 제도가 사라지고 새로운 근대적 개혁 조치가 마련되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1894년 갑오개혁 때 과거의 낡고 불합리한 형률, 형벌이 폐지되고 근.. 알아가며(자료) 2011.04.26
조선시대의 유언비어와 익명서 조선시대의 유언비어와 익명서 심재우(중세사2분과) 1. 조선시대 여론과 민심 최근 과학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우리는 가히 정보의 홍수 시대를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시간으로 각종 뉴스, 사건, 사고가 흐르고 누구든지 접속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인터넷은 거대한 정보의 바다가 .. 알아가며(자료) 2011.04.26
근초고왕 - 통합의 군주 근초고왕을 알면 백제가 보인다 통합의 리더, 근초고왕 요즘 백제 근초고왕이 화제이다. KBS-TV 주말드라마 「근초고왕」 때문이다. 주인공 부여구(扶餘句)가 갖가지 어려움을 뚫고 왕위에 오른 뒤 사방으로 영토를 넓혀 그야말로 대백제(大百濟)의 대왕으로 우뚝 서는 과정을 60부작으로 그려낸다는 것.. 알아가며(자료) 2011.04.24
김부식과 일연 중국식 유교질서 추구한 사대주의자 김부식 한민족의 역사적 정체성 구현한 민족주의자 일연 김부식과 일연은 각각 우리 고대사를 대표하는 두 역사서인 ‘삼국사기(三國史記)’의 편찬자이자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저자다. 김부식이 전형적인 유학자라면 일연은 대표적인 불교 승려다. 두 사람.. 알아가며(자료) 2011.04.19
원효와 최치원 정신의 진정한 해방 추구한 국내파 원효 사회개혁과 계층통합 시도한 유학파 최치원 지식인은 자기 시대와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 안정을 중시하는 보수적 개혁이든, 변화를 중시하는 진보적 개혁이든 지식인이 추구하는 시대정신이 당대에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많은 경우 그 .. 알아가며(자료) 2011.04.18
정몽주와 정도전 신념윤리의 보수적 개혁가 정몽주 책임윤리의 진보적 개혁가 정도전 정몽주와 정도전은 고려 말 대표적인 지식인 정치가였다. 두 사람은 똑같이 개혁을 추진했지만, 방법론에선 그 방향을 달리했다. 체제 내 개혁을 추진한 정몽주는 충(忠)을 위해 목숨을 내던졌고, 혁명적 개혁을 꿈꾼 정도전은 조선.. 알아가며(자료) 2011.04.18
황성신문사 세번째 사옥(을사늑약 직전 옛 제용감 관아) 황성신문 세 번째 사옥 사진 찾아냈다 을사늑약 직전 옛 제용감 관아 4개월간 사용 2005년은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당시 민족지 황성신문은 장지연이 피를 토하며 쓴 논설 ‘시일야방성대곡’으로 온 백성의 심금을 울렸다. 그러나 황성신문 관련 사진 한 장 남아 있지 않은 게 .. 알아가며(자료) 201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