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 이익 선생의 공부법 성호 이익 선생의 공부법 ■ 학자의 필수품, 휴대용 메모장 ‘온고지신’은 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배운다는 뜻이다. 배움에 있어서 이보다 더 나은 방법은 없다. 그러나 실제로 새 것을 배우기는 쉬워도 옛것을 익히기는 어렵다. 누구든지 옛 것을 익혀 머릿속에 차곡차곡 담아 두고 싶어 하지만, 어.. 알아가며(자료) 2011.08.06
하야시 시헤이는 왜 독도를 '황색' 표시했을까 하야시 시헤이는 왜 독도를 '황색' 표시했을까 최근 들어 독도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 당국의 태도가 무모한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독도의 날을 제정하고, 독도가 일본의 영토임을 설명하는 역사교과서가 편찬됐다. 심지어 무력에 의한 독도 탈취설까지 나오는가 하면 국방백서에 독도를 일본 영토.. 알아가며(자료) 2011.08.03
정조의 수원화성에 백성들이 몰려든 까닭 정조의 수원화성에 백성들이 몰려든 까닭 수원화성은 당초 10년을 예정하고 공사를 시작하였으나 33개월이 채 안되어 끝이 난다. 작금의 공공프로젝트가 빈번히 지연되고 과다예산 지출과 품질 문제 등이 뉴스로 등장할 때마다 정조의 화성프로젝트에 대해 솔직히 궁금증이 인다. 총 10년 일정의 공사.. 알아가며(자료) 2011.08.02
역동서원(易東書院) 편액의 의미 역동서원(易東書院) 편액의 의미 - 뜻이 담긴 현판, 편액 현판(懸板)은 글씨나 그림을 나무판ㆍ종이ㆍ비단에 쓰거나 새겨서 문 위에 거는 액자류를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현판은 건물에 거는 모든 목판을 지칭하며, 편액(扁額)은 건물 정면의 문과 처마 사이에 거는 목판을 일컫는 것으로, .. 알아가며(자료) 2011.08.01
『동국통감』 서문 - 단군에서 고려시대까지 역사를 체계화하다. <동국통감> 서문 - 단군에서 고려시대까지 역사를 체계화하다. 조선은 건국 후 왕조 개창의 정당성을 널리 알리고 건국을 합리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선 역사서의 편찬에 착수하였다. 태조대에 정도전이 『고려국사』(37권)를 편찬하였고, 태종대에 권근이 『동국사략』(6권)을 편찬한 데 이어, .. 알아가며(자료) 2011.08.01
<흥왕조승(興王肇乘)> - 홍양호가 정조에게 헌정한 조선 건국사 <흥왕조승(興王肇乘)> - 홍양호가 정조에게 헌정한 조선 건국사 우리나라에는 건국 이야기가 많다. 역대로 많은 나라가 흥망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고조선을 일으킨 단군을 필두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탐라 등 여러 나라에서 건국 영웅이 등장했다. 처음엔 건국 영웅의 신이(新異)한 사적을 .. 알아가며(자료) 2011.08.01
조선시대 사람들, 왕실과의 사돈 어떻게 생각했을까 조선시대에 왕실과의 사돈 어떻게 생각했을까 조선 왕실은 결혼 기피대상 1호 조선시대 사람들은 왕실과 사돈 맺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을까. '그런 기회가 오면 덥석 물었겠지'라고 생각하면, 오판이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태반이었기 때문이다. 그 같은 분위기를 증명할 만한 사료는 .. 알아가며(자료) 2011.07.28
<조선언문실록> - 조선의 한글 연애편지 스캔들 <조선언문실록> - 조선언문실록 “한글은 세계 여러 문자 가운데 가장 과학적인 문자다.” “세종대왕의 가장 위대한 치적은? 훈민정음 창제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청소년 시절에 학교에서 배운 내용이다. 좀 삐딱한 학생은 한글이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는 점에 대해 “국수주의적인 자화자.. 알아가며(자료) 2011.07.27
조선시대 공신(功臣) 녹훈(錄勳)의 내용과 의미 조선시대 공신(功臣) 녹훈(錄勳)의 내용과 의미 목 차 1. 개관 2. 조선 28功臣의 錄勳 경위와 내용 3. 공신녹권(功臣錄券), 등록(謄錄)의 편찬 경위와 내용 4. 공신 회맹록(功臣 會盟錄)의 편찬 경위와 내용 5. 공신 녹훈(功臣 錄勳)의 의미 1. 개 관 조선 왕조는 개국 이래로 중요한 정치적 사건과 전쟁, 역모,.. 알아가며(자료) 2011.07.26
조선시대 품계 조선시대 품계(品階) 1품-9품까지 9등급의 관계(官階)는 정(正)과 종(從)으로 구별되어 모두 18관품으로 구성되었다. 정3품 통정대부 이상 품계의 관원들은 당상관 정3품 통훈대부 이하 품계의 관원들은 당하관 당하관은 또 나뉘는데, 종6품 이상의 관원들은 참상관(각 관품별로 두 개의 품계) 정7품 이하.. 알아가며(자료) 201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