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 독립운동가' 미공개기록 추가 발견 미공개 '간도 독립운동 기록' 추가 발견 일제 강점기에 일본이 중국 간도 지역에서 활동중인 독립운동가들을 체포한 내용이 담긴 문서가 발견됐다. 중국 간도 지역에서 초기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됐던 우리 선열들의 늠름한 모습이 담긴 내용. 특히 이 문서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180명에 이르는.. [간도 오딧세이] 2009.09.04
간도협약 100년...'간도를 되찾자' 간도협약 100년...'간도를 되찾자' 오늘(2009-09-04)은 일제와 청나라가 조선을 배제한 채 만주 일대를 중국 영토로 인정한 '간도협약'을 맺은지 100년이 되는 날. 통일 후에 대비해 이 간도 협약이 무효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자는 운동이 전개돼 주목을 끌고 있다. 간도는 백두산 북쪽 만주지역 일대로, 현.. [간도 오딧세이] 2009.09.04
[간도 오딧세이] 70. 간도, 100년 동안의 고독 [간도오딧세이] 간도, 100년 동안의 고독 외교통상부가 간도되찾기운동본부에 회신한 공문. 2009년 9월4일은 1909년 간도협약이 체결된 지 100년이 된 날이다. 간도는 100년 전 간도협약으로 청나라 땅이 됐다. 압록강과 두만강 너머에 살던 수십만의 대한제국 백성은 남의 나라 땅에 사는 외국인 신세가 됐.. [간도 오딧세이] 2009.08.08
[간도 오딧세이] 69. 역대정부 간도정책 없었다 [간도오딧세이] 역대 정부 간도정책 없었다 8월 25일 ‘간도협약체결 100년의 재조명’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1969년 8월 정부에서 제작한 간도 관련보고서가 공개됐다. 간도협약 100주년이 바로 눈앞에 닥쳤다. 100년 동안 대한민국은 간도에 대해 어떤 준비를 해 왔을까. ‘없다’는 것이 .. [간도 오딧세이] 2009.08.08
[간도 오딧세이] 68. 간도협약 무효 이후를 걱정하지 말자 [간도오딧세이] 간도협약 무효 이후를 걱정하지 말자 한 유럽고지도에 나타난 조선과 청의 국경선. 두만강과 압록강 위쪽에 국경선이 그어져 있다.(이돈수교수 제공) “당신은 어떤 역사적 근거가 한국과 중국의 국경선을 결정짓는다고 생각합니까.” 답의 갈래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19.. [간도 오딧세이] 2009.08.08
[간도 오딧세이] 67. 간도협약 100년 시효설은 맞지 않다 [간도오딧세이] '간도협약 100년' 시효설은 맞지 않다 2004년 한 전시회에 출품된 국화 작품에서 '간도 지역'이 우리 땅으로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최근 재미교포인 폴 김(김태영) 박사의 간도반환 소송 추진에 대한 기사가 화제가 됐다. 김 박사는 “오는 9월4일은 중국이 ‘우리 땅’ 간도를 실효 .. [간도 오딧세이] 2009.08.08
[간도 오딧세이] 66. 간도협약 이후 무효상황 계속되었다 [간도오딧세이] 간도협약 이후 무효상황 계속되었다 간도에 살던 조선족들이 널뛰기를 하고 있다. 1909년 간도협약 이후 간도의 사정은 어떠했을까. 압록강과 두만강이 중국과의 국경선이 됐다. 조선인은 청의 법을 따라야 했고, 청의 재판을 받아야 했다. 협약에 따라 인명에 관한 중요사안에 대해서.. [간도 오딧세이] 2009.08.08
[간도 오딧세이] 65. 간도 모금, 480만3830원 [간도오딧세이] 간도 모금, 480만3830원 다음 아고라에서 7월7~26일 20일 동안 간도 모금 청원이 진행됐다. 7월 한 달 동안 인터넷의 다음 아고라 모금청원 코너에서는 ‘간도, 빼앗긴 우리 땅을 되찾는데 힘이 되어 주세요!’라는 모금 청원이 한여름을 뜨겁게 달궜다. 7월7~26일 20일 동안 모금이 진행된 결.. [간도 오딧세이] 2009.07.24
[간도 오딧세이] 64.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사건 [간도오딧세이]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사건 백두산 물줄기 약도. 송화강의 지류인 토문강, 정계비 사이에 토퇴와 석퇴가 있다. 오른쪽 강은 두만강으로, 홍토수가 비교적 윗쪽에 있다. 토문강과 홍토수는 연결되지 않으며, 사이로 장백산맥이 지난다. 간도협약이 체결되기 바로 전 해인 1908년 유건봉.. [간도 오딧세이] 2009.07.24
[간도 오딧세이] 63. 간도를 얻기 위해 '5개' 내준 청나라 [간도오딧세이] 간도를 얻기 위해 '5개' 내준 청나라 간도협약이 체결되기 전 대한제국의 지도에는 두만강 건너 북간도가 한국의 땅으로 표시돼 있다. 우연히 인터넷 백과사전을 검색하다 간도 관련 내용을 들여다보았다. ‘간도’에 대해서는 문제점이 보이지 않지만 간도협약 부분은 뭔가 이상하다... [간도 오딧세이] 2009.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