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존덕정 - 어느 화학자의 눈에 비친 존덕정 어느 화학자의 눈에 비친 존덕정 [최종덕] l 문화유산 e-이야기 2007.10. 08 어느 화학자의 눈에 비친 존덕정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 요즘 이 말은 너무 유명해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이다. 그런데 나는 여기에 "아는 만큼 느낀다"는 말을 덧붙이고 싶다. 얼마 전 나는 화학을 전공한 과학자 .. 알아가며(자료) 2007.11.06
순종황제, 순정효황후 어차 - 창덕궁에서 고궁박물관으로 순종 어차 행렬 재현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 황제와 순종비인 순정효황후가 탔던 어차 행렬이 80여 년 만에 서울 도심에서 재현되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날 그동안 창덕궁 빈청에 보관되어 있던 어차 2대를 창덕궁, 종로, 세종로 사거리, 세종로를 거쳐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전하는 황.. 알아가며(자료) 2007.11.06
순종황제의 어차 관련 [융희황제를 모시던 사람들] 창덕궁 자동차 운전수 나카야마(中山)군 ▲ <매일신보> 1926년 5월 10일자 ====> (해당신문기사가 맨 앞쪽) 일요일(日曜日) 능행(陵行)에는 반드시 사찬이 계셨다. 친용자동차(親用自動車) 운전수(運轉手) 나카야마군(中山君) <매일신보 내용> 겉은 자지빛ㅡ 속은 샛.. 알아가며(자료) 2007.11.06
순종황제의 어차 기사(매일신보, 1917년 11월11일) 창덕궁 이왕전하, 1917년 대조전 화재때 자동차로 피신하다 ▲ 창덕궁 화재의 피해현황을 알리는 <매일신보> 1911년 11월 11일자이다. 오른쪽에 보이는 사진은 불타기 전의 '대조전' 풍경을 담은 것이다. 창덕궁에서 이른바 어차(御車)를 들여놓은 것이 1914년 이전인 것은 분명히 확인되나, 정작 순종.. 알아가며(자료) 2007.11.06
순종, 순종황후(순정효황후)의 어차에 관련된 기사내용들 ■ “순종, 순종황후 어차 복원” 현대자동차에 의해 복원, 수리되어 현재는 창덕궁 빈청에 전시된 순종과 황후의 어차(御車) 수리, 복원을 위해 아무런 조건 없이 10억7천만원이나 썼다는 현대자동차가 이 일을 맡은 내막은 이렇다. 1991년 스즈키 료라는 일본인 희귀자동차 수집가가 국내의 어떤 정치.. 알아가며(자료) 2007.11.06
[국립광주박물관] 河西 김인후 선생과 필암서원 (풍수문화) 호남의 위대한 유학자 키운 붓(筆) 바위(巖) 필암서원의 이름이 유래된 필암(붓 바위). 전라남도를 대표하는 문화유적지로 장성의 필암(筆巖)서원이 있다. 이곳은 하서(河西) 김인후 선생(1510~60)을 배향(配享)한 곳이다. 바로 가까운 곳에 하서가 태어난 맥동마을과 하서가 직접 자리를 잡은 부모 및 자.. 더듬어보고(전시) 2007.11.04
[국립광주박물관] 河西, 세상으로 나오다 - 하서 김인후와 필암서원 ■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하서 김인후와 필암서원』 전시기간 : 2007.9.18-11.11 국립광주박물관에서는 <하서 김인후와 필암서원 - 하서, 세상으로 나오다> 특별전으로 2001년 울산김씨문정공대종중에서 기증한 31점의 기증유물을 토대로 기획하였으며, 보물로 지정된 필암서원 소장유물 등 70여 점.. 더듬어보고(전시) 2007.11.04
[성균관대박물관(9.19-12.19] 경주 신라유적의 어제와 오늘 **<경주 신라 유적의 어제와 오늘-석굴암, 불국사, 남산>展 ** ** 9월 19일(수)∼12월 19일 / 성균관대박물관 ** ■ 성균관대박물관, 석굴암 유리원판사진 95년만에 첫 공개 특별전시회에는 일제 강점기 1913년 데라우치 총독에 의해 석굴암(石窟庵) 1차 해체, 복원할 때의 과정을 담은 유리원판 사진 12점.. 더듬어보고(전시) 2007.11.04
[서울역사박물관(8.31-9.9)] 중국 섬서성 문물정화 展 (추가) '삼채기타재악용(三彩騎駝載樂俑)' 은 녹색, 남색, 갈색의 세 가지 채색을 넣은 당삼채(唐三彩) 일종으로, 낙타를 타고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들을 형상화했다. 1959년 시안시(西安市) 서교중보촌(西郊中堡村)에서 출토된 이 당삼채는 목을 길게 늘어뜨린 채 우는 낙타 등의 선반 위에 오색찬란한 양탄자.. 더듬어보고(전시) 2007.11.04
[서울역사박물관(8.31-9.9)] 중국 섬서성 문물정화 展 섬서성 문물정화 특별전 1. 소장처 : 진시황병마용박물관/ 출토지 : 진용 2호갱 (높이 : 114cm, 秦나라) 이 병마용은 일반적으로 전투대열의 가장 앞에 위치한다. 무릎을 꿇고 있는 것은 전시에 방어자세를 취하기 위해서이고,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화살과 검까지 갖추게 된다면 적군의 진영을 순식간에 .. 더듬어보고(전시) 2007.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