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 오딧세이] 77. 돌무더기는 어디로 향했을까 [간도오딧세이] 돌무더기는 어디로 향했을까 대동여지도에서 백두산 인근 지역의 부분. 홍양호의 <백두산고>에는 정계비 인근에 있는 돌무더기(석퇴)에 대한 생생한 표현들이 나타나 있다. 산에 마른 도랑이 있는데 도랑 남쪽 언덕에 돌덩어리들이 쌓여 있다. 혹 10무(1무는 반걸음)에 한 무지가 있.. [간도 오딧세이] 2009.10.16
[간도 오딧세이] 76. 백두산의 역사적 수수께끼… [간도오딧세이] 백두산의 역사적 수수께끼 … 1940년대 일본인의 사진집에 나타난 돌무더기(석퇴). 백두산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역사적 숙제 2개가 있다. 이 가운데 하나가 백두산 정계비가 과연 어디로 사라졌느냐 하는 점이다. 지금 그 자리에는 정계비를 세웠던 주춧돌만 남아 있다. 정계비는 1931년 .. [간도 오딧세이] 2009.10.16
[간도 오딧세이] 75. 1885년 10월19일 백두산에서는... [간도오딧세이] 1885년 10월19일 백두산에서는 ... 1909년 5월 상순에 일본인들이 백두산 정계비에서 기념사진을 찍었다. 1885년 10월 이중하와 김우식이 이곳을 찾은지 불과 23년 후의 모습이다. 1880년대 북간도에는 조선 백성이 대거 정착했다. 대기근으로 고생한 함경도 백성들이 떼를 지어 두만강을 건넜.. [간도 오딧세이] 2009.10.16
유수리 백악기 공룡계곡 천연기념물 제390호 경상남도 진주에서 시내를 벗어나 하동으로 이어지는 2번 국도를 따라 승용차로 약 20분 정도를 달려 내동면 유수리라는 마을을 지날 때면, 도로 남쪽 건너편의 진주-사천간 지방도로와 2번 국도를 사이에 두고 동서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하천을 만나게 된다. 이 하천은 남강의 .. 나아가는(문화) 2009.10.15
국내 최대 익룡발자국 화석 발견 <익룡화석산지 분포도> 새롭게 발견된 발자국은 길이 354mm, 폭 173mm 이며, 전형적인 익룡 앞발자국의 특징인 비대칭형 세 발가락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지금까지 세계 최대 익룡 발자국으로 학계에 보고된 해남이크누스(Haenamichnus)는 앞발자국의 길이가 330mm, 폭 110mm, 뒷발자국의 길이가 350mm, 폭 105mm.. 나아가는(문화) 2009.10.15
나주 오량동토기요지 발굴조사 - 영산강유역 대규모 옹관가마터 영산강유역 대규모 옹관 가마터 확인 - 나주오량동토기요지 발굴조사(3차) 나주오량동토기요지(사적 제456호)는 영산강유역 특유의 대형전용옹관(大形專用甕棺) 가마터로 알려지면서 2004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전체유적 중 극히 일부에 대한 조사에 그치면서 실제 옹관가마였는지의 여부가 학.. 나아가는(문화) 2009.10.15
고려불화 -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고려불화의 백미 수월관음도 국내외에 160여 점 남아있는 고려불화 중 40여 점이나 되는 수월관음도는 압도적인 숫자라고 하겠다. 대부분 일본에 있는 고려불화들은 질(質), 양(量)면에서 매우 뛰어난 것으로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고려불화는 벽화를 포함하여 20여 점에 불과하다. 근래 일본에 산재한 .. 느끼며(시,서,화) 2009.10.14
근대공예유물 근대공예유물 4건 문화재 등록 확정 - 건칠반, 은제이화문탕기 등 - 문화재청은 건칠반, 은제이화문탕기 등 근대 공예유물 4건을 등록문화재로 등록 확정했다. 이번에 등록문화재로 등록되는 근대 공예유물 4건은 우리나라의 근대문화를 표상할 만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조형적 완결성이 뛰어나고 보.. 나아가는(문화) 2009.10.14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 항암 성분이 많은 된장찌개가 암을 일으킬 수 있다? 대한암협회와 한국영양학회가 3년간 한국 사람이 즐겨 먹는 음식의 항암 및 발암 효과를 정리해서 펴낸 ‘항암 식탁 프로젝트’란 책에는 된장찌개도 암을 유발하는 음식 리스트에 올라 있기 때문이다. 전통음식은 .. 찾아 떠나고(답사) 2009.10.13
황금 가을들판 -사진, 장승윤(동아일보기자),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에서 키다리 허수아비 뎅그렁 종을 치면 놀러 온 아기참새 깜짝 놀라 포로롱 고추잠자리는 동그랗게 빙빙 들판을 맴돌다 하늘 속으로 숨네 논두렁 코스모스 고운 빛 노랫소리 지나가던 실바람 살며시 들판에 입 맞추고 해는 뉘엿뉘엿 서산을 넘어가.. 하루하루~(일상) 2009.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