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의 비밀] 19. 온릉(溫陵) - 중종비 단경왕후 사적 제 210 호 (비공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19 온릉(溫陵) 조선 11대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端敬王后, 1487∼1557) 신씨의 능이다. 중종반정으로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왕비의 부친 신수근이 반정으로 참살되어 죄인의 딸이 왕비로 부적하다는 반정공신들의 ..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18. 파주 장릉(長陵) - 인조왕릉 사적 제 203 호 (비공개) / 경기도 파주시 갈현리 산 25-1 파주 장릉(長陵) 인조와 인렬왕후의 합장릉이다. 영조 때인 1731년 현재의 장릉 자리로 이장하면서 왕과 왕비를 합장하였다. 선조의 손자이며 광해군의 조카인 인조(1595~1649)는 서인 세력을 등에 업고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17. 영월 장릉(莊陵) - 단종릉 사적 제 196호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086 장릉 가는길 : 경부,중부고속국도 → 신갈,호법분기점(영동고속도로) → 만종분기점(중앙고속도로) → 제천IC(38번국도) → 서영월 나들목 → 장릉방향 우회전(58번국도) → 장릉 장릉(莊陵) 추봉된 왕릉의 예에 따라 병풍석, 난간석과 무석인이 생략되었..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서대문(돈의문) 원형복원 - 2013년까지 서대문 고가차도 철거, <돈의문> 94년 만에 원형복원 (2013년까지) - 서울시, 서울성곽 4대문 완성과 전 구간 보존ㆍ활용 위한 종합정비 계획 발표 - 서대문 고가차도 2011년까지 철거, 돈의문 복원의 완벽한 역사성 회복 - 돈의문 역사문화공원 조성, 인근의 경희궁, 경교장 등과 연계 운영 - 인왕산, 남.. 나아가는(문화) 2009.10.21
[국립중앙박물관] 잔치풍경 -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 "잔치 풍경-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ㅇ전 시 명 : 잔치풍경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ㅇ전시기간 : 2009.10.10(토)~12.6(일) ㅇ전시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시실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으로 특별전 “잔치 풍경 -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를 개.. 더듬어보고(전시) 2009.10.21
판수(判數)에 대하여 판수(判數)에 대하여 오문선 - 서울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Ⅰ. 판수(判數)의 개념 1880-90년대 조선의 풍속과 문물에 관심을 보인 이방인들을 위한 상업적 그림으로 추정되는 기산풍속도는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 사이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민속 연구자료로서 소중한 가치를 가졌다. 기산풍속도 가운.. 알아가며(자료) 2009.10.18
진석근 전 대령 - 일본 자위대에서 독도 논문 쓰다 일본 자위대에서 독도 논문 쓴 진석근 전 대령 “목숨이 붙어 있는 한 역사 바로잡기 계속하겠다” 1997년 일본 자위대 연수기간에 독도가 우리 땅임을 밝히는 논문을 발간해 파란을 일으킨 진석근 전 대령. 올봄 ‘독도의 진실’이라는 만화를 펴낸 그는 군복무 시절 ‘잃어버린 우리 상고사’를 비롯.. 알아가며(자료) 2009.10.17
프릭 컬렉션- 선과 악의 알레고리(헤라클레스의 선택) / 밀회(사랑의 진행) 프릭 컬렉션(Frick Collection)의 작품들 미술관이 많은 도시 뉴욕에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다음으로 규모는 작지만 중세에서 19세기 후반까지의 미술품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미술관은 프릭 컬렉션(Frick Collection)이다. 맨해튼에 위치하고 있는 프릭 컬렉션은 철강 사업으로 부를 축적한 헨리 클레이 .. 느끼며(시,서,화) 2009.10.16
연필이 컴퓨터보다 강하다? 연필이 컴퓨터보다 더 강하다 ? 자판보다 펜을 이용했을 때 에세이 빨리 작성해 전북 전주시 풍남동에 위치한 최명희문학관에서는 10월 10일부터 18일까지 ‘제3회 전북지역 초등학생 손글씨 공모전’에서 입선한 수상작들이 전시된다. 손글씨 공모전이란 말 그대로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가 아닌, 손.. 나아가는(문화) 2009.10.16
조선의 밤하늘을 수놓은 ‘불빛 기운’의 정체 조선의 밤하늘을 수놓은 ‘불빛 기운’의 정체 삭막한 도시에서도 자연이 매일 바꾸어 그리는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 하나 있다. 창문 너머 끝없이 펼쳐진 ‘하늘’이란 흰 도화지가 바로 그것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이 바뀔 때마다 농도와 투명도가 서로 다른 파랑 물감을 풀어놓고, 그 .. 알아가며(자료) 2009.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