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열전 - 박창훈 한국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 박창훈 1940년 5월 1일자 『동아일보』에는 일제시기의 대표적 화상(畵商)으로 조선미술관을 경영한 오봉빈의 「서화골동의 수장가 - 박창훈씨 소장품매각을 기(機)로」라는 장문의 글이 실렸다. 오봉빈은 이 글에서 당시 주요한 고미술품 수장가로 '오세창 ⋅ 박영철 ⋅.. 느끼며(시,서,화) 2009.10.26
[조선왕릉의 비밀] 27. 명빈묘 명빈묘(明嬪墓) 사적 제 364 호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 14 조선 3대 태종의 후궁 명빈(明嬪, ?~1479) 김씨의 능이다. 명빈 김씨는 출생 연도나 행적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1411년(태종 11)에 명빈으로 책봉된 뒤 죽을 때까지 태종에서부터 성종에 걸쳐 7대의 내명부를 지켰으나 태종과의 사..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26. 성묘, 안빈묘 성묘(成墓) 사적 제 365 호/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산 55 조선 14대 선조의 후궁 공빈(恭嬪, 1553~77) 김씨의 능이다. 공빈 김씨는 광해군을 낳고 2년 후에 27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임해군과 광해군의 어머니인 공빈 김씨는 양주에 묻혔다. 광해군은 즉위 후 신하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1610.. 지켜(연재자료) 2009.10.22
[경기도박물관] 세계문화유산 등재기념, 조선왕릉 사진전 조선 왕릉 세계문화유산 등재 기념, 조선왕릉 사진전 전시기간 : 2009. 11. 2(월) ~ 2010. 2. 21(일) 전시장소 :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ⅠⅡ 주제 : 사진으로 보는 조선왕릉의 세계 내용 : 왕릉 사진 및 자료 85점 (※조선왕릉 42기 소재지 : 경기 31, 서울 8, 강원 1, 북한 2) 전시 구성 □ 제1부 : 신성 공간, 왕릉.. 더듬어보고(전시)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25. 소경원, 의령원, 효창원, 회묘 소경원 (비공개) /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길(원당동) 산 37-1 (서삼릉내 위치) 서삼릉 가는길 : 서울시내 → 구파발 → 삼송리 검문소에서 좌회전(삼송역) → 농협대학 지나서 이정표 소경원(昭慶園) 조선 16대 인조의 아들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45)의 원이다. 소현세자는 인조의 큰아들이자 효종의 형이..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24. 영원(英園) 영원(비공개)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홍유릉내 위치) 영원(홍유릉) 가는길 : 서울시내 → 내부순화도로 → 북부간선도로 → 춘천방향 → 남양주시청방향→ 이정표 영원(英園)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英親王, 1897~1970)과 방자비의 합장묘이다. 영친왕의 이름은 은(垠), 고종의 일곱째 아들..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23. 영휘원, 숭인원 사적 제 361 호 /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204-2 영휘원(永徽園) 원(園)은 왕릉과 달라 대체로 석물이 작고 무인석이 생략되며, 무덤 규모도 작다. 그래서 영휘원은 봉분 주변에 부채형 모양의 곡장이 둘러쳐져 있고, 석양과 석호도 양쪽에 1쌍씩 4기가 배치되었다. 조선 26대 고종의 후궁이며 영친왕의 생..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22.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 순창원(順昌園) 조선 13대 명종의 큰아들 순회세자(順懷世子, 1551~63)와 그의 빈 공회빈(恭懷嬪, ?~1592) 윤씨의 능이다. 순회세자는 7세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황대임의 딸과 혼담이 오갔으나 그녀가 병약하여 1년 넘게 가례를 미루자 1559년 윤옥의 딸로 세자빈이 교체되어 가례를 올렸다. 그러나 순회세자..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21. 순강원, 휘경원, 영빈묘 순강원 (順康園) 사적 제 356호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50 조선 14대 선조의 후궁 인빈(仁嬪, 1555∼1613) 김씨의 능이다. 인빈 김씨는 14세에 선조의 후궁이 되어 왕의 총애를 가장 많이 받아 정원군(추존 원종, 인조의 아버지)을 포함해 4남 5녀를 두었다. 무덤 주위에 곡장을 둘렀으며, 묘비석을 .. 지켜(연재자료) 2009.10.22
[조선왕릉의 비밀] 20. 연산군묘 / 광해군묘 연산군묘 (燕山君墓) 사적 제 362호 /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 77 조선 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은 1494년 성종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연산군은 초기 4년 정도는 성종조의 유풍이 남아 있어 문치(文治)를 비교적 잘 이루었으나 그 뒤로 무오사화, 갑자사화와 같은 큰 옥사를 일으켜 많은 선비들을 죽였.. 지켜(연재자료) 2009.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