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왕흥사지 10차 발굴조사 - 6세기대 최대규모 백제 강당지 확인 6세기대 최대 규모의 백제 강당지 확인 - 부여 왕흥사지 제10차 발굴조사 자문회의 및 현장설명회 실시 -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김용민)는 지난 3월에 착수한 부여 왕흥사지(사적 제427호) 제10차 발굴조사에 대한 성과를 2009년 9월 30일(수)에 공개할 예정이다. 부여 왕흥사지는 백제의 왕.. 나아가는(문화) 2009.10.05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명 칭 ◦ 인류의 무형유산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목 적 ◦ 문화다양성의 원천인 무형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국가적, 국제적 협력과 지원을 도모하기 위함 ▢ 연 혁 ◦ 1992년, 유네스코 .. 나아가는(문화) 2009.10.05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처용무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 확정 문화재청이 인류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이하 ‘세계무형문화유산’이라 칭함)으로 등재 신청한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과 처용무가 2009년 9월 30일 .. 나아가는(문화) 2009.10.05
[조선왕릉의 비밀] 16. 영녕릉(세종대왕릉/ 효종릉) 사적 제 195호 /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황대리 산 83-1 영녕릉 가는 길 : 영동고속도로 여주IC → 여주읍 방향(37번 도로) → 왕대리방향(42번 도로에서 365번 도로) → 이정표 영릉(英陵) 눈부신 치적으로 조선 역대 왕 가운데 특별히 ‘대왕’으로 불리는 세종이 소헌왕후와 함께 잠들어 있다. 합장릉 형식.. 지켜(연재자료) 2009.10.04
[조선왕릉의 비밀] ⑮ 융건릉 사적 제 206호 /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산1-1 융건릉 가는길 : 수원역 → 오산방향(병점역) → 안녕동(343번도로) → 이정표 융릉(隆陵) 사도세자(추존 장조)와 혜빈 홍씨(추존 장조왕비 헌경왕후)의 합장릉, 혼유석은 하나만 놓았다. 모란과 연꽃 무늬가 화려한 병풍석과 꽃봉우리 모양의 인석이 눈길을 끈.. 지켜(연재자료) 2009.10.04
400년 전 원이엄마의 편지 - 1998년 고성이씨(이응태) 묘에서 출토 420년 동안 숨어있던 사랑과 이별의 드라마 택지공사장에서 마주친 사백여 년 전 여인의 얼굴 어떤 지역이든 그 지역의 역사가 묻혀 있는 곳은 주거지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야산들이다. 지방 소도시의 경우 시가지를 둘러싸고 있는 야산들은 그대로 그 지역의 역사의 현장이며 거기에는 멀게는 수천 .. 나아가는(문화) 2009.10.04
고대 제5의 문명 - 뉴허량(牛河梁)의 홍산문화 고대 제5의 문명 - 홍산문화 역사스페셜의 추적 ‘불편한 진실’을 덮나 韓 “제5의 문명, 중국 기록 없어” vs 中 “중국 내 모든 역사는 중국사” 1.한국인의 반(反)동북공정 정서를 비난한 기사가 실린 중국 ‘환구시보’ 사이트. 2. 뉴허량에서 나온 여신상의 머리 부분. 눈에 푸른 옥돌을 박아 형형.. 알아가며(자료) 2009.10.03
코펜하겐미술관 - 파리스의 심판/ 마티스의 부인(초록색 선) 덴마크 미술의 중심 '코펜하겐 미술관'의 작품들 상식을 벗어나 색의 본질을 추구하다 덴마크는 천년이 넘도록 군주제가 오래도록 유지된 나라로서 코펜하겐 국립미술관은 왕실의 소장품으로 비롯된 미술관이다. 코펜하겐을 건설한 크리스티안 4세는 왕궁을 장식할 미술품을 수집했으며 그의 아들 .. 느끼며(시,서,화) 2009.10.01
담양 메타세쿼이아길 담양 메타세쿼이아길 걷기 계절의 터널 속으로… 우수수 황금비 맞으며 방안에서 문득 꺼내본 당신의 얼굴이 젖어있다 머뭇거리던 당신의 마음이 한순간 멎는다 불빛이 죽은 먼지처럼 이글거린다 벽면을 바라보던 눈알이 허공에 포물선을 그리며 금싸라기처럼 만개한다 내 몸과 공간 사이에 경계가 .. 찾아 떠나고(답사) 2009.10.01
차례상 차 례 상 생활지혜 듬뿍 담긴 영양식탁 “오월 농부, 팔월 신선” “일년 삼백육십일이 더도 덜도 말고 팔월 한가위만 같으라” 오곡과 과일이 풍성해 마음이 넉넉한 계절인 팔월 한가위를 1년 중에서 가장 좋은 날로 생각한 우리 조상들이 한 말이다. 이렇게 좋은 날, 많은 사람들이 지내는 예가 있으.. 하루하루~(일상) 2009.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