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 조선을 말하기에 앞서 우리는 우리에 대하여 남이 하는 말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말은 그렇게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역사학자들이 범하기 쉬운 가장 큰 오류 중의 하나는 아마도 자기 연민(憐憫)과 그로 인한 사실의 호도(糊塗)가 아닐까 생각된다. 이는 역사학에서 가장 경.. 알아가며(자료) 2010.11.10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세계관 화이론(華夷論)의 문제의식 세계를 중화(中華)와 이적(夷狄)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중화를 높이고(尊中華) 오랑캐를 물리친다(攘夷狄)는 당위성을 주장하는 화이론은 중국 고대로부터 존재해 온 동아시아의 기본적 세계관 중 하나였다. 이적 즉 오랑캐와 대비되는 중화의 실체는 시대에 따라 다르.. 알아가며(자료) 2010.11.10
한국, 세계와 만나다. 상상 속 하늘과 땅 우리가 우주를 가보지 못했을 때 우주를 상상하듯이 우리 조상들도 하늘과 땅의 모습을 상상하고 또 알아갔다. 동양사회에서 하늘은 인간 세상의 모든 일을 주재하는 인격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천체 운행의 이상이나 기상이변 등은 예외 없이 왕도정치를 촉구하는 하늘의 경고로 .. 알아가며(자료) 2010.11.10
[국립고궁박물관특별전] 베트남 마지막황실(응우옌 왕조)의 보물 「베트남 마지막 황실의 보물」특별전 전시기간 : 2010.11.09(화)~ 2011. 02.06(일) 전시장소 :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 특별강연 : 2010.11.18(목)/ 12.16(목)국립고궁박물관 강당 주최 : 국립고궁박물관 후원 : 주한 베트남 대사관 / 후에 유적보존연구소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2010년 11월 9일부터 2011년 2.. 더듬어보고(전시) 2010.11.08
풍납토성 제7차 발굴조사 - 한성백제 최초의 적심시설, 초석건물지 확인 풍납토성에서 한성백제 최초의 적심시설 및 초석 건물지 확인 - 풍납토성 제7차 발굴조사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백제의 도성유적으로 알려진 풍납토성(사적 제11호)에 대한 제7차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한성백제시대(漢城百濟時代, B.C.18~A.D.475) 건물지 4동 등 총 100여 기의 유구를 확인했다. 특.. 알아가며(자료) 2010.11.08
화천 원천리 백제 유적 현장설명회 화천 원천리 백제 취락유적 - 4대강 살리기 북한강구간에서 대규모 백제 취락유적 발견 - 백제가 한성 도읍기(BC 18~AD 475) 시절 현재의 강원 화천 일대까지 진출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이 발견됐다. 문화재청에서 허가하고,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기관인 예맥문화재연구원에서 화천 원천리 유물산.. 알아가며(자료) 2010.11.08
국보ㆍ보물「석조문화재」지정명칭 변경 국보ㆍ보물「석조문화재」지정명칭 변경 - 국보 제2호 원각사지십층석탑 등 415건 - 문화재청은 국가지정문화재 중 국보ㆍ보물「석조문화재」 415건(국보 62건, 보물 353건)의 지정명칭을 변경 예고했다. 문화재청에서는 그동안 지정명칭의 명명(命名) 방식이 일제강점기와 근ㆍ현대를 거치며 왜곡되고,.. 알아가며(자료) 2010.11.08
서울성곽길~북한산 둘레길 서울 성곽길~북한산 둘레길 첫 연결 외사산과 내사산 연결해 새로운 산책로 조성 서울 내사산과 외사산 첫 연결 서울 둘레길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또 하나 추가됐다. 서울 둘레길은 제주도 올레길처럼 서울 도심에서 자연을 느끼며 거닐 수 있는 총 202㎞ 코스로, 내사산과 외사산으로 나눠진다. 그런.. 찾아 떠나고(답사) 2010.11.05
조선 불화 '감로도' 일본에서 400년만의 귀환 조선 불화 '감로도' 400년만의 귀환 , 日 주지 스님 자발적 기증 일본에서 돌아온 16세기의 감로도. 테두리의 장황은 일본으로 유출된 뒤 덧붙여진 것이다. 임진왜란 무렵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보이는 보물급 조선 전기(16세기) 대형 불화 1점이 일본인의 기증으로 돌아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일본 교.. 느끼며(시,서,화) 2010.11.04
국립중앙박물관 명품 20 (Masterpieces 20) 국립중앙박물관 명품 20 (Masterpieces 20) 2010년 용산 개관 5주년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 명품 20을 선정하였다.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문화재 약 25만점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가운데 시대별, 종류별 대표성과 학술적 위상, 그리고 전시실 안배 및 전시 .. 더듬어보고(전시) 201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