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기 - 숨 쉬는 그릇 흙이 살아 있어야 옹기가 숨을 쉰다 우리나라 산과 들은 경작하기에 좋은 토양을 갖고 있어 옹기장이한테는 더 할 나위 없는 보물창고이다. 나지막한 산 아래 비스듬히 누워있는 밭머리 위로 뻘건 속살을 내놓은 자그마한 산언덕이 자리하고 있는데, 옹기를 만드는 노인은 “바로 저거야.”하고 삽자.. 나아가는(문화) 2010.11.10
북청사자놀음(중요무형문화재 제15호) 보유자 - 이근화선 사자놀이의 고장, 함경남도 북청 북청물장수로도 유명한 북청. 1950년대까지만 해도 북청지방에서는 음력 정월 열 나흗날 밤, 달이 뜨면서 시작된 사자놀이가 며칠이고 계속되었다. 북청 사람들은 그렇게 마을의 온갖 잡귀를 쫓아내고 풍년을 기원했다. “오색실로 사자 몸체를 만들고 탈을 만들어서, .. 나아가는(문화) 2010.11.10
하회탈 - 한국문화의 대표 이미지 하회마을의 산 증인 하회탈 하회마을은 역사가 깊은 전통마을로 인정되어 민속마을로 지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하회마을은 낙동강 물줄기가 부용대의 높은 절벽과 한없이 넓은 백사장을 끼면서 마을의 동북, 남을 돌아 흐르는 산태극수태극(山太極.. 나아가는(문화) 2010.11.10
다방의 역사 - 100년 전 커피 한 잔의 추억 커피를 사랑한 고종과 호텔식 다방 커피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약 1890년 전후로 추정된다. 1895년에 발간된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의하면, 커피는 1890년 경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한다. 특히 고종이 커피를 즐겨 마셨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1896년 아관파천 때 러시.. 나아가는(문화) 2010.11.10
왕이 공식적으로 술 마시는 날, 궁중 연향 화합과 통합을 위한 궁중 연향 『경국대전』은 조선시대 국가통치의 기본법전으로 지금의 헌법과 같은 역할을 했다. 『경국대전』은 하늘과 땅 그리고 춘하추동의 운행질서를 본떠 여섯 장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에서 예의와 관련된 예전(禮典)은 만물을 소생시키는 봄과 같다고 하여 춘관(春官)이라.. 나아가는(문화) 2010.11.10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 조선을 말하기에 앞서 우리는 우리에 대하여 남이 하는 말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말은 그렇게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역사학자들이 범하기 쉬운 가장 큰 오류 중의 하나는 아마도 자기 연민(憐憫)과 그로 인한 사실의 호도(糊塗)가 아닐까 생각된다. 이는 역사학에서 가장 경.. 알아가며(자료) 2010.11.10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세계관 화이론(華夷論)의 문제의식 세계를 중화(中華)와 이적(夷狄)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중화를 높이고(尊中華) 오랑캐를 물리친다(攘夷狄)는 당위성을 주장하는 화이론은 중국 고대로부터 존재해 온 동아시아의 기본적 세계관 중 하나였다. 이적 즉 오랑캐와 대비되는 중화의 실체는 시대에 따라 다르.. 알아가며(자료) 2010.11.10
한국, 세계와 만나다. 상상 속 하늘과 땅 우리가 우주를 가보지 못했을 때 우주를 상상하듯이 우리 조상들도 하늘과 땅의 모습을 상상하고 또 알아갔다. 동양사회에서 하늘은 인간 세상의 모든 일을 주재하는 인격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천체 운행의 이상이나 기상이변 등은 예외 없이 왕도정치를 촉구하는 하늘의 경고로 .. 알아가며(자료) 2010.11.10
[국립고궁박물관특별전] 베트남 마지막황실(응우옌 왕조)의 보물 「베트남 마지막 황실의 보물」특별전 전시기간 : 2010.11.09(화)~ 2011. 02.06(일) 전시장소 :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 특별강연 : 2010.11.18(목)/ 12.16(목)국립고궁박물관 강당 주최 : 국립고궁박물관 후원 : 주한 베트남 대사관 / 후에 유적보존연구소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2010년 11월 9일부터 2011년 2.. 더듬어보고(전시) 2010.11.08
풍납토성 제7차 발굴조사 - 한성백제 최초의 적심시설, 초석건물지 확인 풍납토성에서 한성백제 최초의 적심시설 및 초석 건물지 확인 - 풍납토성 제7차 발굴조사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백제의 도성유적으로 알려진 풍납토성(사적 제11호)에 대한 제7차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한성백제시대(漢城百濟時代, B.C.18~A.D.475) 건물지 4동 등 총 100여 기의 유구를 확인했다. 특.. 알아가며(자료) 201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