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쯤 벗은 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作 아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모나리자’ 비슷한 외모의 초상화 발견 - '옷 벗은' '누드 모나리자'도 그렸을까? - '모나리자의 누드 초상화'로 알려진 그림 (사진= 이탈리아 이데알레 박물관) 프랑스 루브르미술관에 전시된 명작 ‘모나리자’와 상당히 비슷한 분위기의 반누드 여성 초상화가 발견되어, 르네상.. 느끼며(시,서,화) 2009.06.21
체코 슈텐른베르크 국립미술관 - 루크레이아의 자결/ 성 히에로니무스 체코 슈텐른베르크 국립미술관 소련이 동유럽을 지배하면서 프라하에 있는 미술관들은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종전과 더불어 체코 정부는 국립미술관법을 개정하면서 건물을 신축하기보다는 수도원과 성 그리고 과거 무역박람회장을 미술관으로 이용하기로 했다. 1948년 개관한 국립 미술관은 8개의 .. 느끼며(시,서,화) 2009.06.21
타락죽을 먹고 중종은 비소에 중독되다 타락죽을 먹고 비소에 중독되다 “요즈음 풍한증이 있어서 이 때문에 오른쪽 어깨가 붓고 아프다. 이제 약을 하문해야겠으니 내의원 관원 하종해와 홍침을 불러 맥을 본 의녀의 말을 듣고 나서 합당한 약을 올리게 하라.” 이는 1532년(중종 27) 10월 21일자의 ‘중종실록’ 기록이다. 조선왕조실록 중 유.. 알아가며(자료) 2009.06.21
도봉서원과 각석군刻石群) 도봉서원과 각석군(刻石群) 조선 전 · 후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인 조광조와 송시열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며 서울 지역 인재들이 다수 모여들어 학문을 닦던 도봉서원(道峰書院)과 송시열 · 송준길 등 당대 명필들의 글씨가 새겨진 도봉서원 앞 계곡의 바위들[각석군(刻石群)]이 도봉산 계곡과 함.. 알아가며(자료) 2009.06.17
선택의 법칙 : 10-10-10 중요한 선택을 앞두고 있다면 10분-10개월-10년 후를 상상하라! 무수한 선택 앞에서 망설이거나,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딜레마에 빠진 모든 현대인들에게 10-10-10 법칙을 !! , 누구나 살아가면서 끊임 없이 결정을 해야 합니다. 그 결정이 쉬울 때도 있고,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지만, 때로는 쉽게 결.. 하루하루~(일상) 2009.06.17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방랑연운(放浪煙雲) - 청명 임창순 展 방랑연운(放浪煙雲) - 청명 임창순 展 ‘글씨&사람’ 시리즈 첫 전시 ‘방랑연운 - 청명 임창순의 삶과 예술 展’ 2009년 4월 16일 - 5월 10일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임창순(任昌淳, 1914-1999) 선생의 작고 10주기를 기념하여, 우리 시대 서예(書藝) · 금석학(金石學) · 서지학(書誌學) · 한문학(漢文學) 등 .. 더듬어보고(전시) 2009.06.17
[건국 60년 특별연재/책으로 본 한국 현대인물사 ⑪] 백낙청 [건국 60년 특별연재/책으로 본 한국 현대인물사 ⑪] 백낙청 부르주아 출신으로 가시밭길 택한 ‘민족문학론’의 대표 부유한 집안 내력, 미국 유학 경험, 서울대 교수. 귀공자 백낙청의 앞날은 확실하게 보장돼 있었다. 그러나 분단된 조국을 두고 고고한 상아탑에 안주할 수 없었던 그는 계간지 ‘창.. 지켜(연재자료) 2009.06.16
거울 보는 여자 - 벨라스케스, 프리드리히, 페르난도 보테로, 로트레크 作 거울을 보는 여자 벨라스케스 '거울을 보는 비너스’ 1644년, 캔버스에 유채, 122×177cm, 런던 내셔널갤러리 소장 여자에게 거울은 또 다른 자아다. 여자가 거울 앞에 오래 앉아있는 것은 남자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거울을 통해 자신의 아름다움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거울은 또한 여자에게 정.. 느끼며(시,서,화) 2009.06.16
경복궁 궁장(宮牆)의 전모(全貌)를 밝히다 경복궁 궁장(宮牆)의 전모(全貌)를 밝히다 - 서편 궁장지 발굴조사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경복궁 광화문 복원공사 현장 내 서쪽 궁장(宮牆, 궁궐 담장)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를 2009년 3월부터 6월 현재까지 실시하여 2008년도 동편 궁장 발굴조사에 이어 경복궁 궁장의 웅장했던 .. 알아가며(자료) 2009.06.15
백자항아리를 사랑한 화가, 도상봉 백자항아리를 사랑한 화가, 도상봉 조선의 백자, 순백의 항아리는 한국의 미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백자항아리를 주재로 그림을 그린 화가들이 많은 점 또한 그 상징성 때문이다. 그러나 특별한 모양도 문양도 없는 수수하고 흰 항아리 그림을 통해 한국적인 미감의 깊이를 분명하게 드러낸.. 나아가는(문화) 2009.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