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특별전 유물 (2). 청자상감포도동자문동채주자 [미리보는 특별전 대표 유물 ― '한국문화(文化), 그 찬란한 기억'] 2. 청자상감포도동자문동채주자 유려한 선과 해학적 상감(象嵌)의 완벽한 조화 주전자 받침까지 완벽 보존 순종, 지금 돈 10억에 구입 대한제국 제실박물관의 첫 구입품인 청자상감포도동자문동채주자. 호리호리한 표주박 모양의 주전.. 더듬어보고(전시) 2009.06.26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특별전 유물 (3). 호우총 호우 [미리보는 특별전 대표 유물 ― '한국문화(文化), 그 찬란한 기억'] 3. 호우총 호우 신라 고분에서 광개토왕 추모 기념품이… 고구려에 인질로 간 내물왕 아들이 가져와 양국 교류 보여주는 5세기 희귀 명문(銘文)자료 1946년 경주 호우총 발굴 조사에서 출토 된 호우 밑바닥에 ‘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 더듬어보고(전시) 2009.06.26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조선 왕릉, 불멸의 왕을 만나다 이제까지 왕릉에 대한 관심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거의 비슷하게 생긴 것처럼 보이는 왕릉은, 개별 왕릉 하나하나에 대한 역사와 문화에 얽힌 이해 없이는 별다른 감흥을 일으키지 못한다. 이 왕릉의 주인이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떤 정치를 펼쳤고, 후대의 왕은 선왕과 .. 지켜(연재자료) 2009.06.26
신(神)의 정원, 조선 왕릉 [신의 정원 조선 왕릉] 지상에서 영원으로 聖과 俗이 숨쉬는 공간 한양에서 10리 밖, 100리 안에 자리잡은 조선 왕릉의 분포 현황 1.건원릉(健元陵) 2.정릉(貞陵) 3.헌릉(獻陵) 4.영릉(英陵) 5.현릉(顯陵) 6.장릉(莊陵) 7.사릉(思陵) 8.광릉(光陵) 9.경릉(敬陵) 10.창릉(昌陵) 11.공릉(恭陵) 12.선릉(宣陵) 13.순릉(順.. 지켜(연재자료) 2009.06.26
사극으로 역사읽기 - MBC 드라마 '동이' [김종성의 사극으로 역사읽기] MBC 드라마 '동이' 인현왕후 폐위 사유는 '뒷담화' 최 숙빈 · 장 희빈 · 인현왕후의 여인천하를 다루고 있는 MBC 드라마 <동이>. '야당'인 장희빈은 '여당'이자 '기호 1번'인 인현왕후를 폐위시키고 궐 밖으로 내모는 데에 성공하였다. 드라마 속에서 인현왕후의 폐위는.. 지켜(연재자료) 2009.06.26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 11. 영행열전(佞幸列傳)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⑪] 영행열전(佞幸列傳) 아첨꾼으로 찍히면 말년 안 좋고 비참한 평가 받는다 일러스트레이션·이우정 악어의 이빨 사이에 낀 고기조각을 뽑아 먹고 사는 악어새는 권력자 곁에서 기생하며 부와 권력을 누리는 인물을 상징한다. 아첨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그러나 .. 지켜(연재자료) 2009.06.26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 ⑩ 골계열전(滑稽列傳)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 ⑩] 골계열전(滑稽列傳) 인기와 성공 안겨주는 유머의 법칙 골계(滑稽)는 ‘우스꽝스러움’ ‘익살’ ‘유머’를 의미한다. 기지, 풍자, 반어, 해학을 품고 있다. 숭고함이나 비장감의 대척점에 있다. 때론 권위를 조롱하고, 엄숙한 상황을 바람 빠진 풍선처럼 헐렁하게.. 지켜(연재자료) 2009.06.26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 ⑨ 순리(循吏) 열전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 ⑨] 순리(循吏)열전 공직자가 단순한 원칙만 지켜도 세상이 달라진다 ‘순리(循吏)'는 청관(淸官)이다. 일을 투명하게 처리한다. 불의에 따르지 않고 이권을 탐하지 않는다. 오직 국민과 공익의 편에 선다. 이들의 언행은 복잡하지 않다. 언제였던가, 장마가 져서 서울 .. 지켜(연재자료) 2009.06.26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 ⑧ 편작과 창공 - 춘추전국시대의 名醫 [21세기 ‘사기열전(史記列傳)’ ⑧] 편작 창공 열전 환자에 대한 긍휼, 시대를 초월한 名醫의 조건 의사는 부와 명예를 보장하는 직업으로 손꼽히지만, 의사라고 다 같은 대우를 받는 건 아니다. 환자와 보호자는 명의 앞에 머리를 조아리지만, 실력 없는 의사는 범죄자보다 더 멸시한다. ‘사기열전’.. 지켜(연재자료) 2009.06.26
[건국 60년 특별연재/책으로 본 한국 현대인물사 ⑫] 김수환 추기경 [건국 60년 특별연재/책으로 본 한국 현대인물사 - ⑫ 마지막회] 김수환 추기경 우리 시대 ‘어른’의 성(聖)과 속(俗) 순례길 존경할 만한 어른이 없는 사회는 암울하다. 반세기 넘게 한국 가톨릭계에 몸담고 있으면서 사회 약자에게 힘이 되어준 김수환 추기경은 선종(善終)하면서까지 한국인의 가슴.. 지켜(연재자료) 2009.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