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성보박물관] 일본 가가미진자(경신사) 소장 '수월관음도' 일본 가가미 진자(경신사, 鏡神社) 소장 '수월관음도' 14년만에 통도사에서 다시 전시 일본 가가미진자(鏡神社) 고려 수월관음도 특별전 ‘600년만의 귀향 - 일본 가가미진자 고려 수월관음도 특별전’ 전시일자 : 2009년 4월 30일~2009년 6월 7일 제작시기 : 고려(1310년), 비단에 채색 작품크기 : 419.5×252.2cm, .. 더듬어보고(전시) 2009.06.03
1600년만에 그 완전한 실체를 드러낸 신라 중장기병(重裝騎兵) 베일 속의 신라 중장기병(重裝騎兵) 1600년만에 그 완전한 실체를 세상에 드러내다 ! 중무장하고 말 탄 삼국시대 중장기병 장수가 1600년 만에 무덤 밖으로 걸어나왔다. 4~6세기 신라 왕족 · 귀족의 집단묘역으로 알려진 경주 쪽샘지구에서 중장기병이 착용한 갑옷 · 마구류가 온전한 모습으로 출토됐.. 나아가는(문화) 2009.06.02
[간도 오딧세이] 59. 1세대 간도연구가 김득황박사, 아쉬운 은퇴 [간도오딧세이] 1세대 간도연구가 김득황박사, 아쉬운 은퇴 김득황 박사 만주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만한(滿韓)사전이 있다. 만주어는 중국에서도 거의 사라졌다. 그 만주어를 알기 쉽게 사전을 만든 이가 있다. 그는 또 만주어를 공부할 수 있도록 <만주족의 언어>라는 책을 펴냈다. 1995년에 두 번, .. [간도 오딧세이] 2009.05.31
[간도 오딧세이] 58. 중국의 영토 논리에 어떻게 맞설 것인가 [간도 오딧세이] 중국의 영토논리에 어떻게 맞설 것인가 연변대학의 한 교수가 몇 년 전 한국의 간도연구가에 이메일을 보냈다. 자신의 제자가 간도와 관련된 영토 문제를 다루는 박사논문을 쓰려고 하니 한국 책을 보내달라는 부탁이었다. 백두산 정계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기록은 중국의 기록을 훨.. [간도 오딧세이] 2009.05.31
[간도 오딧세이] 57. 1909년을 기억하다 [간도오딧세이] 1909년을 기억하다 1909년 10월 하얼빈역에서 내리고 있는 이토 히로부미 일행. 딱 100년 전인 1909년 우리나라는 어떤 상황이었을까. 외교권조차 박탈당해 일본의 속국이 되다시피 한 지경에 이르렀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나라의 운명은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했고, 다음해인 1910년 일본에 .. [간도 오딧세이] 2009.05.31
고려시대 남경의 설치와 간선교통로의 변화 (3) 고려시대 남경의 설치와 간선교통로의 변화 (3) - 사평나루의 번영 - 정요근(중세사 1분과) 고려중기 남경의 설치 이후 광나루를 대신한 한강의 횡단지점은 사평나루(사평도)였다. 사평나루는 현재 서울의 한남대교의 지점에 위치하였다. 사평나루는 광나루에 비해 하류에 위치하였으나, 남경이 설치된.. 알아가며(자료) 2009.05.29
백제의 변려문(駢儷文) 유물에 남아있는 백제의 변려문 - 금석문과 목간 변려문(駢儷文)은 변체문(駢體文)ㆍ사륙변려(四六駢儷) 또는 사륙문(四六文)이라고도 하며 간단하게 줄여서 변문(駢文)이라고도 한다. 이른바 ‘대구(對句)’를 많이 사용하여 지은 문장형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 어원은 ‘두 필의 말을 한 수레에 멍.. 알아가며(자료) 2009.05.28
청동기시대의 석기 청동기시대의 석기 ‘청동기시대’ 하면, 명칭 그대로 ‘청동기’가 먼저 머리속에서 떠오를지도 모른다. 물론 청동기의 출현은 인류 역사상 획기적인 일이지만, 청동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의 상황은 세계의 각 지역마다 아주 다양하다. 그 가운데 한반도의 경우 청동기는 일부의 지배계층만이 .. 알아가며(자료) 2009.05.28
조선시대 사형집행인 - 망나니 조선시대 사형집행인 - 망나니 1. 사형제도의 또 다른 피해자, 사형집행인 전쟁 때도 아닌데 사람이 사람을 합법적으로 죽이는 행위, 잘 아는 바와 같이 이것이 사형이다. 그동안 줄곧 논란이 된 사형제도가 우리나라에서도 머지않아 폐지될 것 같다. 2008년 현재 사형을 집행하지 않은지 10년이 넘은 우.. 알아가며(자료) 2009.05.28
반가사유상 -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 -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은 반가좌(半跏坐)라는 특이한 자세 때문에 얼굴과 팔, 허리 등 신체 각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치마의 처리도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반가사유상의 등장은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 조각사의 출발점이라 해도 좋.. 알아가며(자료) 200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