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홀름국립미술관 - <목욕하는 달라나지방의 소녀들> 아르침볼도<법학자> 스웨덴 스톡홀름 국립미술관 스웨덴 스톡홀름 국립미술관(National Museum Stockholm)은 북유럽 최고의 미술관으로 유럽의 미술관과 같은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6세기 구스타프 바사(Gustav Vasa) 왕이 그립스홀름 성(Gripsholm Slott)에 전시실을 만들어 자신의 소장품을 감상한 것이 시초이다. 그의 소장품은 스톡.. 느끼며(시,서,화) 2009.08.12
아폴로11호 달 착륙 - 1969년 7월21일 2시 56분20초 신문으로 바라본 1969년의 여름 1969년 7월21일 2시 56분 20초 “人間 달에 섰다” 1969년 7월 아폴로 11호의 달 정복은 지역과 인종, 이념을 떠나 전 세계를 감격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대사건이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었다. 인류 최초로 달에 상륙한지 40년이 지난 지금 그 때의 감동을 생생하게.. 알아가며(자료) 2009.08.12
편병(扁甁)에 깃든 회화성 편병(扁甁)에 깃든 회화성 조선시대에는 회화와 도자기가 가장 많이 발전한 시기였다. 회화는 초기부터 말기까지 산수(山水), 영모(翎毛), 화조(花鳥), 초상(肖像), 풍속(風俗) 등으로 그 주제가 다양하며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화풍의 수용을 통해 한국적 화풍을 변화 · 발전시켰다. 도자기는 분청사기.. 나아가는(문화) 2009.08.10
잃어버린 불두(佛頭) 잃어버린 불두(佛頭) 경주 지역을 돌아다니다 보면, 유독 목이 잘리고 몸이 동강이 나서 머리만 남아 있는 불상들이 여기 저기에 널려 있다. 이런 섬뜩한 모습의 불상을 만나게 되면 요즘 유행하는 말로 “누가 그랬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 일본사람들이 저지른 무모한 짓인가.. 느끼며(시,서,화) 2009.08.10
'서산마애삼존불'에서 '세한도'까지 瑞山磨崖三尊佛에서 <歲寒圖>까지 -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추구한 졸박(拙樸)의 美 - 인간은 주변에 처해진 자연 · 인문적 환경의 영향을 받고 산다. 인간을 둘러싼 인문 · 자연환경은 영원불변한 것이 아니기에 수시로 바뀌게 마련이다. 그렇지만 자연환경은 인문환경에 비해 수없는 세월이 흘.. 느끼며(시,서,화) 2009.08.10
조선의 상징거리 주작대로(육조거리)를 발견하다 조선의 상징거리 - 주작대로(관아거리, 육조거리)를 발견하다 발굴에 앞서 2008년 8월 26일 13시 30분, 서울특별시 도시개발본부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내용은 지금 광화문광장 조성거리 지역에 터파기 공사가 시작되었으니, 입회조사를 해달라는 것이었다. 당시 나는 김포 양촌(현 김포 한강신도시)의 발.. 알아가며(자료) 2009.08.10
유방과 카이사르 - 건곤일척(乾坤一擲) 후 제국 평정 유방과 카이사르 - 건곤일척 후 제국 평정 진시황 시대가 저물면서 대륙의 패권을 둘러싸고 벌인 격돌에서 유방(왼쪽)은 줄곧 항우에게 쫓기는 형세였지만 결국 패권을 움켜쥐었다. 죽느냐 사느냐,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팔걸이로 승부나 성패를 겨룰 때 동양에서는 ‘건곤일척(乾坤一擲)’이라는 말.. 알아가며(자료) 2009.08.10
함부르크미술관- 프리드리히'안개낀 바다위의 방랑자'/오노레 도미에'구출' 독일 함부르크미술관 독일에서 가장 큰 미술관을 소유하고 있는 함부르크 미술관은 후기 고딕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예술품들을 소장하고 있어 유럽에서도 대형 미술관으로 손꼽히고 있다. 항구도시 함부르크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관문답게 새로운 사상에 관대했다. 그런 사회 분위기 .. 느끼며(시,서,화) 2009.08.08
[간도 오딧세이] 70. 간도, 100년 동안의 고독 [간도오딧세이] 간도, 100년 동안의 고독 외교통상부가 간도되찾기운동본부에 회신한 공문. 2009년 9월4일은 1909년 간도협약이 체결된 지 100년이 된 날이다. 간도는 100년 전 간도협약으로 청나라 땅이 됐다. 압록강과 두만강 너머에 살던 수십만의 대한제국 백성은 남의 나라 땅에 사는 외국인 신세가 됐.. [간도 오딧세이] 2009.08.08
[간도 오딧세이] 69. 역대정부 간도정책 없었다 [간도오딧세이] 역대 정부 간도정책 없었다 8월 25일 ‘간도협약체결 100년의 재조명’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1969년 8월 정부에서 제작한 간도 관련보고서가 공개됐다. 간도협약 100주년이 바로 눈앞에 닥쳤다. 100년 동안 대한민국은 간도에 대해 어떤 준비를 해 왔을까. ‘없다’는 것이 .. [간도 오딧세이] 2009.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