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의 현판(懸板) 현판의 의미와 유래 우리의 옛 건축물들에는 대부분 건물의 이름이나 성격을 나타내는 현판(懸板)이 걸려 있다. 전통 사대부 집안의 개인 건물들 중에도 그러한 예를 많이 볼 수 있지만 서원이나 사당, 사찰 등에는 거의 예외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건물마다 현판이 있다. 특히 수많은 전각들이 밀집된.. 알아가며(자료) 2009.11.01
조선왕조 궁중음식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맥을 잇다 「궁중음식」은 조선왕조 518년(AD 1392~1910) 동안 서울에 소재한 궁궐 창덕궁, 경복궁, 덕수궁 등에서 왕족들이 실제 먹어온 일상식과 연회나 가례, 연향, 영접 행사 때 차려진 의례음식들로, 한국 최고 수준의 음식 문화를 간직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궁중의 .. 알아가며(자료) 2009.10.31
왕의 시(詩)에 답하다 - 갱재(賡載) 정조와 규장각 정조(1752~1800)는 세손시절 본인의 지위와 생명을 위태롭게 했던 외척과 환관세력을 물리치고, 사대부를 가까이 하며 학문육성과 인재양성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즉위 첫해에 규장각을 설치하였다. 규장각은 정조의 정책의지를 반영하고 이끌어가는 핵심기관으로 역할하였으며, 그 관원.. 알아가며(자료) 2009.10.31
<겸재화첩>과 선지훈 신부(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한국인 영혼의 한 부분’, 80년 만에 귀향하다 겸재가 누구던가. 아주 오랫동안 복사해 온 중국풍의 그림 전통에 의문 부호를 찍고, 우리 주변의 산천으로 시선을 돌려 ‘진경산수(眞景山水)’라는 크나큰 예술 성취를 이루어낸 ‘화성(畵聖)’이 아니던가. <겸재화첩>은 겸재가 그린, 그것도 21.. 느끼며(시,서,화) 2009.10.31
거대한 힘으로 만들어진 습곡구조의 아름다움 지각의 기억저장소, 자연이 만들어내는 역사 파노라마 화석과 함께 암석은 놀랄만한 지각의 변화들을 또 다른 형태로 기록하고 있다. 지각에는 우리가 상상할 수도 없는 정도의 거대한 힘이 항상 가해지고 있다. 수 만년 혹은 수십억 년 전의 지질시대 동안에도 그랬고, 지금 이 시간에도 우리가 딛고 .. 나아가는(문화) 2009.10.31
물푸레나무 나무가 있는 풍경 폭우가 쏟아진 다음날이었다. 어제도 나무들은 온몸으로 폭우를 홀로 견뎌냈을 것이다. 하지만 비탈진 면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는 나무들의 안부를 걱정하는 사람이 있었다. 매일 나무를 찾아 길을 나서는 그. 오늘도 어김없이 비가 온 다음날 쏟아지는 맑은 햇살을 맞으며 나무를 찾.. 나아가는(문화) 2009.10.31
우리 전통 속의 ‘국민신탁적’ 의미망들 국민신탁, 우리에게 전혀 새로운 것일까 오늘의 서구사회는 생태보존, 문화유산보존 등의 사회적 공공적 목적을 위하여 사적 개인재산의 행사도 엄격한 제한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땅과 산과 강변의 모든 것을 개인소유로만 인정하고 사적소유제에 의한 재산권 행사권한의 절대적 부여를 인정.. 나아가는(문화) 2009.10.31
미스 포터에서 비틀즈까지 :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의 본령, 영국의 NT운동 영국 내셔널 트러스트(NT)운동의 특성과 방식 잉글랜드 서북부에 위치한 레이크 디스트릭트(Lake District)라는 지역은 시인 워즈워드가 살면서 주옥같은 시를 썼던 곳으로 유명하다. 빼어난 자연풍광 덕택에 이곳은 영국의 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내셔널트러스트(National Trust=NT)란 시민보전단.. 나아가는(문화) 2009.10.31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 운동 - '문화유산국민신탁' ‘땅 한 평 갖기’운동에서 시작된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 “See The Unseen” 최근 매스컴에서 자주 접했던 어느 통신사 광고의 헤드 카피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라’는 이 한 문장을 인상적으로 기억하는 까닭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일’이 쉽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일. 그.. 나아가는(문화) 2009.10.31
해외 유출 문화재와 그 반환 떼제베와 외규장각 도서 해외 문화재 반환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그에 따른 활발한 반환운동은 실제 몇몇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 개중 일본 도쿄대학이 소장한 조선왕조실록이 반환된 일이라든가,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 길주 지역의 의병장 정문부의 활약상을 새긴 북관대첩비가 역시 일본.. 나아가는(문화) 2009.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