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세자는 독살되었는가? 1645년 4월, 소현세자는 독살되었는가? 신병주(중세사 2분과) 1637년 삼전도 굴욕의 항복의 상징으로 인질로 끌려갔던 소현세자. 인조의 뒤를 이어 왕위 계승을 눈앞에 두고 있었던 세자가 8년 만의 인질 생활을 끝내고 귀국한 지 두 달 만에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국가의 공식 기록인 실록의 기록에서 조.. 알아가며(자료) 2009.05.22
밀레 - 괭이를 든 사람 밀레 '괭이를 든 사람' '괭이'는 사회변화를 애써 무시하는 밀레의 보수성을 표현 밀레의 '괭이를 든 사람' 캔버스에 유채, 80×90㎝, 1863년, J.폴 게티미술관 소장. 박수근과 반 고흐의 우상이었던 '농민화가' 장 프랑스와 밀레(Jean Francois Millet, 1814~1875). 그의 그림에는 도시 노동자의 세계가 없다. 초상화.. 느끼며(시,서,화) 2009.05.21
런던 월리스 컬렉션 - 웃고있는 기사(프란스 할스) / 그네(프라고나르) 런던 하트퍼드 하우스 월리스 컬렉션 런던의 하트퍼드 하우스에 있는 월리스 컬렉션은 우리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17세기에서 18세기의 유럽의 걸작들을 소장하고 있어 세계적인 미술관으로 명성이 높다. 월리스 컬렉션의 중요 작품의 축을 이루고 있는 소장품들은 하트퍼드 후작 4세가 생애.. 느끼며(시,서,화) 2009.05.20
바티칸에서 건너온 '호신십자고상(護身十字苦像)' 바티칸에서 건너온 '호신십자고상(護身十字苦像)' 우리나라는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다종교국가로서 종교와 관련된 문화재가 많이 남아있다. 종교문화재라하면 불교를 먼저 떠올리게 된다. 그것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고유의 종교로 뿌리를 내려 전국.. 나아가는(문화) 2009.05.19
조선왕릉 40基 세계유산 된다 조선왕릉 40基 세계유산 된다 유네스코 내달 확정…“왕조 전체 지정 유례없는 일” 서울과 경기, 강원도에 있는 조선시대(1392~1910년) 왕릉 40기를 망라한 ‘조선왕릉(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의 유네스코(UNESC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 등재가 사실상 확정됐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 나아가는(문화) 2009.05.18
짙은 염색으로 사치를 누린 ‘백의민족’ 짙은 염색으로 사치를 누린 ‘백의민족’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백의민족’으로 알려져 왔다. 즉, 흰색 옷을 즐겨 입는 민족이란 뜻이다. 고대 부족국가인 부여 때부터 흰옷을 널리 입었다고 하니, 우리 민족이 흰옷을 즐겨 입기 시작한 역사는 무척 오래된 셈이다. 우리 민족이 유독 흰옷을 즐겨 입.. 나아가는(문화) 2009.05.18
연산군과 유자광 오욕의 역사는 또 반복된다 실체 드러나는 ‘노무현 게이트’, 연산군-유자광과 닮은꼴 조선 정조 때의 궁중연회 1000여 년 전 고려 성종대에 활약한 문하시중 최승로(崔承老 · 927~989)가 국왕에 올린 ‘시무책’ 28조 중 제14조는 이상적인 제왕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바라건대 성상께서는 하루.. 알아가며(자료) 2009.05.18
정조의 <어찰첩(御札帖)> 너무나 인간적인 성군의 재발견 '어찰첩'으로 본 정조 "아, 제 우리가 알고 있던 훈남 이미지를 버려야 하나….” 여기저기서 탄식이 들려온다. 정조(1752~1800년)에 대한 얘기다. 소설, 드라마, 영화를 통해 성군(聖君)으로, 인자한 왕으로, 개혁 군주로 그려진 조선 22대 왕(재위 1776~1800년) 정조. 이런 탄식.. 알아가며(자료) 2009.05.18
책의 발달과 형태 책의 기원 우리의 선조들의 정신적인 문화유산인 전적류 문화재는 형태별로 크게 책(冊), 첩(帖), 축(軸), 장(裝)으로 나뉘어지는데 이는 시대의 흐름과 인쇄문화의 발달 등에 따라 전적문화재의 형태도 변형되어 온 것이다. 책(冊)이라는 용어 자체도 대나무와 나무조각을 엮은 모양을 보고 만들어진 .. 알아가며(자료) 2009.05.18
현존最古 추정, 신라 비석 포한 학성리에서 발견 현존最古 추정 신라 비석 발견 포항 학성리비 서기 501년 제작 가능성 경북 포항시 흥해읍 학성리에서 501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신라시대 비석이 발견됐다. 이곳은 현재 가장 오래된 신라 비석으로 공인된 ‘영일 냉수리비’(503년 건립 추정, 국보 264호)가 1989년 발견된 곳에서 동쪽.. 나아가는(문화) 2009.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