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555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 (3) 조선백자와 한국문화의 정체성

‘문화유산을 보는 눈’ "중국자기 모방" 주장은 자기 폄훼 3. 조선 백자와 한국문화의 정체성 문화유산을 보는 안목을 키우는 데는 훌륭한 작품을 좋은 선생님과 함께 보는 것만한 게 없습니다. 그리고 그 때 좋은 선생이란 살아있는 사람이 아니라 책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 (4) 선사시대와 한민족의 뿌리

‘문화유산을 보는 눈’ 청동기의 주역 '퉁구스 예맥족'이 기원 4. 선사시대와 한민족의 뿌리 미술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하는데 인간의 역사라고 하는 게 참 매력적인 연구 분야입니다. 지구 역사는 45억년을 헤아리고 있지요. 이 중에서 인간의 역사는 불과 200만년 전으로 얘기되고 있으..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 (5) 삼국시대 고분미술

‘문화유산을 보는 눈’ '강인(고구려) - 우아(백제) - 화려(신라)' 세 나라 개성 오롯이 5. 삼국시대 고분미술 인간 삶의 아이러니이지만 옛날 사람들이 살았던 일상생활의 자취는 모두 없어져 버리고 죽음의 자취만 남아서 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삶을 복원하는 것이 고고학의 큰 테마가 돼 버렸습니..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 (6) 불교미술의 원리와 삼국, 통일신라 불상

‘문화유산을 보는 눈’ 삼국불상 '미소'가 통일신라 들어 '근엄' 6. 불교미술의 원리와 삼국, 통일신라 불상 모든 고대국가가 형성되는 데는 3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영토의 확장과 율령으로 대표되는 강력한 통치체계의 확립, 그리고 이데올로기로서의 종교가 그것이에요. 샤먼의 전통으로 유지될 때..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 (7) 삼국,통일신라 석탑의 등장과 발전

‘문화유산을 보는 눈’ '화강암 석탑'은 한민족 강인함의 상징 7. 삼국, 통일신라 석탑의 등장과 발전 과정 절에 가면 보이는 것이 거의 다 석탑이기 때문에 석탑이 불교를 믿는 나라의 공통적인 형식이라고 알기 쉬운데, 사실 석탑은 우리 고유의 양식입니다. 인도에서 동점(東漸)한 불교가 중국과 한..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 (8) 고려시대 불상과 석탑

‘문화유산을 보는 눈’ 신라와 달리 현세적 작품 많았다 8. 고려시대 불상과 석탑 지금 여기서 말하는 고려시대 불상은 고려시대 때 제작된 불상을 말하며 미술사에서도 그렇게 쓸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고려사람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고려시대 제작된 불상은 물론 그 이전 시대에 만들어진 불상..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Ⅱ (2) 아, 아름다워라, 고려 불화여 !

‘문화유산을 보는 눈’ 보살의 '시스루 패션' . . . 700년전 섬세美 2. 아, 아름다워라, 고려 불화여 ! 고려불화가 우리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 무렵부터로 얼마 안된 일입니다. 일제 강점기 때 활약한 미술사가 우현 고유섭 선생의 유고를 모은 ‘한국미술사급(및) 미학논고’ 중 고려시대 그림..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Ⅱ (3) 조선은 초상화 왕국

‘문화유산을 보는 눈’ '터럭 하나도 사실에 가깝게' 예술혼의 寶庫 3. 조선은 초상화 왕국 조선을 ‘초상화의 왕국’이라고 제가 표현하는 이유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초상화가 많이 제작됐고 지금까지도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양이 남아있기 때문이지요. 조선시대 회화사를..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특설강좌Ⅱ (4) 동양화의 원리와 조선 전기의 회화

‘문화유산을 보는 눈’ '詩書一致' 바탕 위에 개성적 화풍 창출 4. 동양화의 원리와 조선 전기의 회화 제임스 케일이 쓴 ‘중국회화사’에도 나오지만 동양화의 특징은 서양화보다 무려 700년이나 이른 10세기 무렵 인물화에서 산수화로, 채색화에서 수묵화로, 실용화에서 감상화로 주류가 바뀌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