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 3. 사마광과 성호 이익의 이불 사마광과 성호 이익의 이불 자신의 신념을 이불에 새겨 덮고 자던 그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자치통감(資治通鑑)’은 ‘지난 일을 거울삼아 치도(治道)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는 뜻이다. 역사가들은 자치통감을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와 더불어 불후의 걸작으로 칭송한다. 이 책을 지은 .. 지켜(연재자료) 2011.06.27
[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 2. 조선 선비의 거울 조선 선비의 거울 아버지가 남겨준 거울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 새겨 ○ 선비의 아침 풍경 조선시대 거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이빨을 마주치고 뒤통수를 퉁기며, 침을 잘게 씹어 진액을 삼킨다. 옷소매로 갓을 쓸어 티끌을 털어내며, 세수할 땐 주먹의 때를 비비지 말고, 양치질할 때는 냄새가 없게.. 지켜(연재자료) 2011.06.27
[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 1. 기물명(器物名)을 찾아서 사물에 새긴 깊이와 멋… 신상좇는 시대 꾸짖는 듯 ○ 목욕탕에서 훔쳐본 문신 10년 전쯤 해운대의 목욕탕. 동서 내외가 출근하면서 집 앞의 목욕탕에 꼭 가보라 권했다. 바다 전망이 ‘끝내준다’고 했다. 한적한 오전이라 탕에는 아무도 없었다. 알몸에 대양을 품고 몽롱하.. 지켜(연재자료) 2011.06.27
[주영하의 음식 100년] 1. 국밥집 [주영하의 음식 100년] 우리가 먹는 음식에는 살아온 내력이 담겨 있습니다. 개화기 이후 한국에서는 외식업의 발달과 함께, 음식의 변형이 이뤄져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국의 음식담론을 주도해온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민속학)가 지난 세기 서울 북촌의 식당과 요리 문화.. 지켜(연재자료) 2011.03.11
2. <예(義)> 조선의 선비정신 - 趙光祖와 義 조선의 선비정신 - 趙光祖와 義 임금이 나라를 잘 다스리려면 利의 근원을 막아야 한다” 조광조는 당시 선비들의 행태가 바르지 못한 원인을 “이익(利)만 알고 의리(義)를 모르는 데서 나온 것”으로 진단했다. 따라서 “외람되게 정해진 훈공을 고치지 않는다면 이익의 근원을 막을 길을 원천적으.. 지켜(연재자료) 2011.02.14
1. <인(仁)> 조선의 선비정신 - 율곡과 心 조선의 선비정신 - 율곡과 心 ‘폐정(弊政)의 원인은 君臣 간의 소통 단절’ 율곡은 임금이 정치를 잘하겠다는 마음(心)만으로는 정치를 잘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 마음 자체가 없다면 시작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고 여겼다. 여기서 율곡은 선조에게 임금의 마음을 강조하지 않.. 지켜(연재자료) 2011.02.14
[이광형의 ‘문화재 속으로’] ⑪신라시대 인형 토우(土偶) 신라시대 인형 토우(土偶) 흙으로 빚은 인형을 뜻하는 토우(土偶)는 어떤 형태나 사람 또는 동물을 본떠서 만든 토기를 말합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비교적 흔한 토우장식토기는 한반도에서는 신라문화권에서 집중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지요. 하지만 발굴조사를 통해 수습한 유물은 별로 없고 기증품.. 지켜(연재자료) 2011.01.13
[이광형의 ‘문화재 속으로’] ⑩ 800년 만의 인양, 고려시대 조운선 800년 만의 인양, 고려시대 조운선 1208년 2월, 전라도 남단 포구에서 돛배 한 척이 닻을 올렸습니다. 해남 나주 장흥 등지의 곡물과 특산품을 가득 실은 이 조운선(漕運船)의 행선지는 고려 도읍인 개경(개성)이었죠. 벼 조 기장 메밀 콩 고등어 새우 게 멸치 젓갈 청자주전자 등 1400여 점을 싣고 가던 이 .. 지켜(연재자료) 2011.01.13
[이광형의 ‘문화재 속으로’] ⑨ 16세 가야 소녀 송현이 16세 가야 소녀 송현이 키 153.3㎝ 목이 긴 8등신 미녀, 힘겨운 생활하다 주인따라 순장 키 153.3㎝에 턱뼈가 짧고 얼굴이 둥글넓적하며 목이 긴 미인형. 허리는 21.5인치로 평균 26인치인 현대 한국여성에 비해 날씬한 8등신. 어떤 여성의 몸매일까요. 1500년 만에 복원된 6세기 가야 소녀 ‘송현’의 신체조.. 지켜(연재자료) 2011.01.13
[이광형의 ‘문화재 속으로’] ⑧ 길 위의 삶, 부보상 길 위의 삶, 부보상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보물 제527호)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유심히 살펴보시죠. 25가지 생활풍속화를 엮은 화첩 중 하나로, 낡은 벙거지를 쓰고 지게를 멘 사내와 아이를 업고 머리에는 광주리를 받쳐 인 아낙네가 행상을 떠나는 모습입니다. 봇짐장.. 지켜(연재자료) 2011.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