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의 보고, 비무장지대(DMZ) 생태계의 보고, 비무장지대(DMZ) 조도순 / 카톨릭대학교 생명과학과 / 교수 엄밀한 의미의 비무장지대는 1953년에 설정된 경기도 파주군 장단반도의 임진강하구와 강원도 고성군 동해안 사이의 군사분계선에서 남과 북으로 각각 2km까지의 지역으로서, 폭 4km, 길이 약 250km의 좁은 띠로 이루어진 육상지역.. 나아가는(문화) 2007.11.30
[해인사] 목조 비로자나불- 대비로전의 화재 대비책 해인사에 불이 나면 불상이 사라진다 ? 해인사 대비로전의‘비상 하강시스템’내부 모습. 화재가 감지되면 대비로전 내부에 있던 비로자나불은 자동으로 지하 6m의 별실로 내려가고 2개의 방화문으로 차단된다. /연합뉴스 경남 합천 해인사(주지 현응 스님)의 ‘첨단 대비로전’이 눈길을 끌고 있다. 2.. 나아가는(문화) 2007.11.24
[국립중앙박물관] 고달사 쌍사자석등 <고달사 쌍사자 석등> 고려시대, 보물 282호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관을 들어서면 멀리 우뚝 솟은 경천사 십층석탑 앞으로 다소곳이 자리 잡은 쌍사자 석등을 만날 수 있다. 멀리서 보면 소박해 보이지만, 실제 높이는 3m나 되는 꽤 큰 석등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고달사터에 .. 나아가는(문화) 2007.11.22
음력 시월은 상달 음력 시월은 상달 고사가 있는 달 음력으로 시월을 상달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은 1년 중 제일 높은 달이라는 뜻인데, 상달을 10월로 정한 것은 우리나라를 세운 개천절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또 이 달에는 모든 국민들이 하늘에 소원을 비는 고사를 지냈는데, 이를 상달 고사라고 하였다. .. 나아가는(문화) 2007.11.18
한국 전통 목가구 - 木香에 스민 선조들의 숨결 木香에 스민 선조들의 숨결, 古가구 먼 고향에 대한 추억을 간직한 사람이라면 집 안 구석구석에 놓여 있던 오래된 가구들을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부엌에 있던 찬장과 가지런히 걸려 있던 소반들, 퀴퀴하지만 정감이 묻어 있던 반닫이, 빳빳하게 풀 먹인 옷들이 개어져 있던 수장농. 한.. 나아가는(문화) 2007.11.18
[한성백제] 석촌동고분 석촌동 고분 발굴조사 기록 1984년 7월 23일 월요일은 내가 태어나서 처음 발굴조사 현장에서 발굴 작업을 경험한 날로 기록되어 있다. 지금으로부터 23년 전 나는 고고미술사를 공부하는 대학교 2학년생이었다. 당시 내가 다니던 대학의 부속박물관에서는 서울 송파구 석촌동에 있는 “석촌동백제초기.. 나아가는(문화) 2007.11.17
전통 목가구 소목장(小木匠) - 이정곤 ■ 전통 목가구 제작 30년, 소목장(小木匠) 이정곤 “나무처럼 성찰하며 기다리라, 운명 같은 인연이 다가올 때까지” ------------------------------------------------------------------- 목가구를 만드는 과정은 기다림의 연속이다. 나무가 자랄 때까지, 제대로 마를 때까지, 계절이 맞을 때까지 기다리고 또 기다린다... 나아가는(문화) 2007.11.17
전통 목가구 소목장(小木匠) - 박명배 소목장 박명배 " 나무 선택부터 모든비결 전수 / "小木 가장 잘 가르친다" 명성 도면 · 현대식 工具 등 서양제작법 결합 나무 10년 말린후 건조한 겨울에만 작업 "전통 미감은 최순우선생에게 배웠죠" 전통가구 제작을 일컫는 소목(小木)은 전통 공예 가운데서도 가장 활동이 활발한 분야이다. 그만큼 .. 나아가는(문화) 2007.11.17
중요유형문화재 64호 - 두석장 박문열 ■ 두석장 박문열 두석장(豆錫匠, 중요무형문화재 64호) 박문열 그는 3남 4녀가운데 막내로 경북 경주시 황성동에서 태어난 그는 휴전 이듬해 목수였던 아버지를 잃고 다섯살 무렵에 서울로 올라왔다. 그의 가족은 마포구 도원동 효창공원 인근에 있는 방공호에 터를 잡았다. 일어서면 어른들은 머리가.. 나아가는(문화) 2007.11.17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 의궤儀軌) ‘의궤(儀軌)’란, 조선시대에 국가나 왕실에서 거행한 주요 행사를 기록과 그림으로 남긴 보고서 형식의 책이다. 의궤는 의식(儀式)과 궤범(軌範)을 합한 말로서, ‘의식의 모범이 되는 책’이란 뜻이다. 전통시대에 주요한 국가적 행사가 있으면 전왕 때의 사례를 참고하여 거행하는 것이 관례였으.. 나아가는(문화) 2007.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