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橋)의 애환 오지의 산과 들에 방치된 채 사라져가는 다리들이 많지만 다리의 돌 하나하나에는 예술과 해학이 있고,늘 함께하는 사람의 냄새가 있다. 과거와 미래, 세속과 영원, 마음과 마음의 연결을 상징했던 다리, 그 안에 담긴 역사의 의미를 재발견하다. 새로운 세계와의 연결과 신천지의 입구인 다리 우리나.. 나아가는(문화) 2009.07.31
우리의 옛 다리 자연과 하나 된 아름다운 다리들 굳이 쌓지 않아도 돌이 모여 다리가 되는 경우도 있다. 징검다리가 그런 곳이다. 사람이 건널 수 있는 가장 원시적인 다리 형태로서 주변의 바윗돌을 이용해 건너기 적당한 간격으로 가설하였다. 정원이나 연못에 놓인 디딤돌 역시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드러낸 징검다.. 나아가는(문화) 2009.07.31
나주 복암리유적 출토 - 목간(木簡) 한국 목간 발굴현황 중국은 2세기초 채륜(蔡倫)이 제지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이전부터 종이가 대중화된 이후에도 죽간(竹簡, 대나무)과 목독(木牘, 나무)을 사용하여 왔는데, 확인된 예가 수십만 점에 달한다. 이웃 일본은 백제의 박사(博士) 왕인(王仁)과 그 이후의 활발했던 한반도와의 교류를 통.. 나아가는(문화) 2009.07.31
개 - 인간과 가장 가까운 자연문화유산(진도개, 삽살개) 만남의 시작 개는 약 12,000년 전 야생으로부터 인간에 의해 가축화되었으며, 반려동물로서의 역사도 시작을 같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늑대의 후손이라 할 수 있는 개는 인간과 사회적인 구조가 비슷하였고 먹이사슬 안의 경쟁자이며 사냥의 대상이었으나, 인간은 야생개가 먹이를 찾아내는 탁월.. 나아가는(문화) 2009.07.31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중요무형문화재 제71호) 제주도의 영등신앙과 영등굿 제주도는 2월 초하루에 영등할망이 들어오면 날씨가 갑자기 추워진다. 그러므로 영등신은 바람의 신으로 지독한 혹한의 꽃샘추위를 가져오는 신이다. 제주도의 영등달은 그래서 매우 춥다. 영등할망이 올 때 딸을 데리고 오면 딸과는 사이가 좋아 날씨가 좋다. 그러나 며.. 나아가는(문화) 2009.07.31
호머 헐버트 -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독립운동가 헐버트 박사의 한국사랑 헐버트(Homer B. Hulbert)박사는 구한말 1886년 제물포에 첫발을 내디딘 이래 교육자, 역사학자, 한글학자, 언론인, 선교사, 독립운동가로서 한국문명화와 한국의 국권수호를 위해 온몸을 불사른 분이다. 헐버트박사는 1863년 1월 26일 미국 버몬트 주 뉴 헤이븐(New Haven)에서 대학총장.. 나아가는(문화) 2009.07.31
군산 야미도와 도약하는 한국의 수중발굴 군산 야미도와 도약하는 한국의 수중발굴 도굴범과의 숨바꼭질로 시작된 야미도 수중발굴 우리나라에서 수중문화재 발굴조사는 대부분 어로작업 도중 유물을 발견한 사람이 관계기관에 신고하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해당 해역에 대한 유물 매장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하지만, 200.. 나아가는(문화) 2009.07.31
압슬 - 무릎을 짓밟는 고문 무릎을 짓밟는 고문, 압슬 심재우(중세사 2분과) 1. 남영동 대공분실 5공화국의 서슬 퍼런 독재정권 시절에 악명을 떨치던 남영동 대공분실. 경찰청 보안3과가 자리했던 이 7층짜리 건물은 한국 현대사의 어두운 과거를 뒤로 한 채 현재는 2005년 경찰청 인권보호센터를 거쳐 박종철 인권기념관이 자리하.. 알아가며(자료) 2009.07.31
‘순우곤의 治’를 아는가 ‘순우곤의 治’를 아는가 방탕에 빠진 왕 깨우쳐 나라 바로잡기 전국(戰國)시대 강태공과 관중의 정신을 계승해 부국강병의 패도(覇道) 문화를 발전시킨 제나라 수도 린쯔(臨淄). 이제는 한 귀퉁이만 남은 제나라의 성이지만 당시 수많은 학자가 몰려들어 학문의 절정기를 이뤘다. 사마천(司馬遷 · .. 나아가는(문화) 2009.07.31
현존 최고(古) 신라비 - 포항 학성리 碑 논쟁 '포항 학성리碑' 논쟁예고 처음 나온 인명, 관등명 6세기 이전신라연구 '전환점' 지난 5월 경북 흥해읍에서 발견된 옛 신라비(왼쪽)와 그 탁본. 명문 내용 등으로 미뤄 501년 혹은 441년 만들어진 현존 최고의 신라비임이 확실시된다. ‘학성리 비’로 부르고 있으나, 첫 발견 장소가 흥해읍 중성리여서 ‘.. 나아가는(문화) 2009.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