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의 딸 사랑 영조의 딸 사랑 오호라! 여기는 나의 어린 딸 향염이 묻힌 곳이다. 딸은 정유년(1717, 숙종 43) 4월22일 장의동 집에서 태어났다. 성질이 영민하고 미목이 청수하여 내가 늦게 이 딸을 얻은 후 기뻐함과 사랑함이 자못 심했다. 뜻하지 않게도 무술년(1718) 4월 초8일 병이 □□하니 나이 .. 알아가며(자료) 2011.11.09
'식초' 활용백서 식초 활용백서 1만 년 전, 우연히 술이 발효되면서 만들어진 식초. 일반적으로는 음식 맛을 돋우고 풍미를 좋게 하는 음식재료로 사용됐지만 몇 년 전 건강과 미용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한다거.. 하루하루~(일상) 2011.11.08
경복궁 전각의 이름에 담긴 뜻은? 경복궁 전각(殿閣)의 이름에 담긴 뜻은? 조선이 건국되고 3년이 지난 1395년(태조 4) 9월 29일. 한양의 북악산 아래 넓은 터에는 390여 칸 규모의 새 궁궐이 들어섰다. 이 궁궐이 바로 200년 가까이 조선 왕조에서 법궁(法宮)의 지위를 유지한 경복궁(景福宮)이다. 새 궁궐의 영건을 축하.. 알아가며(자료) 2011.11.08
현대의 지도자들, 선비의 ‘언행일치’ 정신 본받아야 현대의 지도자들, 선비의 ‘언행일치’ 정신 본받아야 조선왕조는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고 그 이념을 국시로 삼은 유교국가이다. 조선 초부터 문치주의(文治主義)를 표방하고 지식에 기반을 둔 문화국가를 지향하였다. 바로 그러한 국가를 만들어간 대표적 지식인이 성리학을 주.. 나아가는(문화) 2011.11.07
부여 능산리 출토 목간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立立立 立立立 “망측스럽게….” 2000년 4월 충남 부여 능산리 절터 주변 웅덩이에서 야릇한 유물이 출토됐다. ‘남근(男根)’목간이었다. 길이가 22.6㎝(두께 2.5㎝)나 됐다. 목간의 밑부분은 약간 뾰족하게 다듬었고, 그것도 모자라 구멍까지 뚫었다. 한쪽 면에는 ‘천(天)’자와 ‘무봉(.. 나아가는(문화) 2011.11.04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12. 영기꽃에서도 용처럼 갖가지 보주가 화생 12. 모든 꽃잎에서 나오는 보주 영기꽃에서도 용처럼 갖가지 보주가 화생 지난주에는 용의 입에서 보주가 하나에서 네 개, 그리고 무량보주가 나오는 도상을 보았다. 이 연재의 글을 쓰는 동안 아주 최근 일이지만, 용에서와 마찬가지로 연꽃에서도 보주가 하나에서 네 개, 네 개보.. 느끼며(시,서,화) 2011.11.03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11. 보주(寶珠)는 우주의 축소판으로 영기가 충만 11. 용의 입에서 나오는 보주(寶珠) 보주는 우주의 축소판으로 영기가 충만 월지(안압지)에서 출토한 보주(寶珠)에 관한 논문을 1976년에 쓴 이후, 보주에 대한 화두를 놓은 적이 없다. 보주를 인식하여 가는 과정은 매 단계가 드라마였다. 용과 마찬가지로 보주에 관하여 1초도 진지.. 느끼며(시,서,화) 2011.11.03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10. 여래가 영기화생하여 생명의 근원이 되다 10. 서안출토 금동여래삼존상 분석 여래가 영기화생하여 생명의 근원이 되다 1996년, 중국 섬서성 서안시(西安市)에서 출토된 6세기 북위-동위(北魏-東魏)시대의 금동여래 삼존상은 놀라운 발견이었다.(도 1-1) 상태도 좋거니와 양식이 앞서 소개한 용흥사 출토 보살의 영기화생 도상.. 느끼며(시,서,화) 2011.11.03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9. 영기싹에서 시작하여 용을 거쳐 보살이 화생 9. 中 용흥사(龍興寺) 발견 석회암보살상 영기싹에서 시작하여 용을 거쳐 보살이 화생 지난 7회 연재에서 포항 보경사 비로전의 불단의 영기문을 소개하였는데, 채색분석을 하지 않았었다. 이미 와당의 영기문을 충분히 채색분석하여 자세히 보여주었으므로 모두가 불단의 영기문.. 느끼며(시,서,화) 2011.11.03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8. 지혜의 눈으로 보면 용과 여래는 하나다. 8. 백제 용 입상(龍立像) 화상전(畵象塼) “지혜의 눈으로 보면 용과 여래는 하나다” <금강경>에 이르기를,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형상으로써 나를 보려 하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찾으려 하면 그 사람은 길을 잘못 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코 여래를 볼 .. 느끼며(시,서,화) 201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