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가며(자료)

경복궁 전각의 이름에 담긴 뜻은?

Gijuzzang Dream 2011. 11. 8. 22:49

 

 

 

 

 

 

 

경복궁 전각(殿閣)의 이름에 담긴 뜻은?

 

  

 

조선이 건국되고 3년이 지난 1395년(태조 4) 9월 29일.

한양의 북악산 아래 넓은 터에는 390여 칸 규모의 새 궁궐이 들어섰다.

이 궁궐이 바로 200년 가까이 조선 왕조에서 법궁(法宮)의 지위를 유지한 경복궁(景福宮)이다.

새 궁궐의 영건을 축하하며 잔치를 베푸는 자리에서,

술이 한껏 거나해진 태조는 참모 정도전에게 궁궐과 각 전각의 이름을 짓도록 명하였다.

과연 정도전은 무엇에 근거해서 궁궐의 이름을 지었을까?

『태조실록』 1395년 10월 7일의 기록에는

정도전이 중심이 되어 각 건물의 이름을 짓게 된 동기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경복궁 전경

  

판삼사사 정도전(鄭道傳)에게 분부하여 새 궁궐의 여러 전각의 이름을 짓게 하니,

정도전이 이름을 짓고 아울러 이름 지은 의의를 써서 올렸다.

새 궁궐을 경복궁이라 하고, 연침(燕寢)을 강녕전(康寧殿)이라 하고,

동쪽에 있는 소침(小寢)을 연생전(延生殿)이라 하고,

서쪽에 있는 소침(小寢)을 경성전(慶成殿)이라 하고,

연침(燕寢)의 남쪽을 사정전(思政殿)이라 하고,

또 그 남쪽을 근정전(勤政殿)이라 하고,

동루(東樓)를 융문루(隆文樓)라 하고, 서루(西樓)를 융무루(隆武樓)라 하고,

전문(殿門)을 근정문(勤政門)이라 하며, 오문(午門)을 정문(正門)이라 하였다.


[命判三司事鄭道傳, 名新宮諸殿。 道傳撰名, 幷書所撰之義以進。 新宮曰景福, 燕寢曰康寧殿, 東小寢曰延生殿, 西小寢曰慶成殿, 燕寢之南曰思政殿, 又其南曰勤政殿, 東樓曰隆文, 西樓曰隆武, 殿門曰勤政, 午門曰正門。]

  

이어서 정도전은 침전을 강녕전(康寧殿)이라 한 것의 의미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서경(書經)』「홍범구주(洪範九疇)」에는 사람이 살면서 누릴 수 있는

다섯 가지 복[五福]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세 번째가 바로 ‘강녕’이다.

壽(수: 장수)ㆍ富(부: 부귀)ㆍ康寧(강녕: 평안)ㆍ攸好德(유호덕: 덕을 좋아함)ㆍ

考終命(고종명: 천명을 다함)의 다섯 가지 덕은

그 중간인 ‘강녕’을 들어서 다 차지할 수 있다고 여겼다.

정도전은 한가하고 편안하게 혼자 거처할 때에도 마음을 바르게 해야 왕의 자리가 세워지며

오복(五福)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때 위(衛)나라 무공(武公)을 예로 들었는데, 무공은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곳에서도

부끄러움이 없도록 행동하여 90세가 넘도록 오복을 누린 인물이었다.

한가하고 아무도 없는 왕의 사적인 공간에서도

스스로 경계하며 마음을 바로 할 것을 바라는 마음이 배어있는 곳이 강녕전이었다.

 


강녕전

  

실록의 기록을 보자.

 

강녕전(康寧殿)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서경』홍범 구주(洪範九疇)의 오복(五福) 중에 셋째가 강녕(康寧)입니다.

대체로 임금이 마음을 바루고 덕을 닦아서 황극(皇極)을 세우게 되면,

능히 오복을 향유할 수 있으니, 강녕이란 것은 오복 중의 하나이며

그 중간을 들어서 그 남은 것을 다 차지하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른바 마음을 바루고 덕을 닦는다는 것은 여러 사람들이 함께 보는 곳에 있는 것이며,

역시 애써야 되는 것입니다.

한가하고 편안하게 혼자 거처할 때에는 너무 안일(安逸)한 데에 지나쳐,

경계하는 마음이 번번이 게으른 데에 이를 것입니다.

마음이 바르지 못한 바가 있고 덕이 닦이지 못한 바가 있으면,

황극이 세워지지 않고 오복이 이지러질 것입니다.

옛날 위(衛)나라 무공(武公)이 스스로 경계한 시(詩)에,

‘네가 군자와 벗하는 것을 보니 너의 얼굴을 상냥하고 부드럽게 하고,

잘못이 있을까 삼가는구나. 너의 방에 있는 것을 보니,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곳에서도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는구나.’ 했습니다.

무공의 경계하고 근신함이 이러하므로 90을 넘어 향수했으니,

그 황극을 세우고 오복을 누린 것의 밝은 징험이옵니다.

대체로 공부를 쌓는 것은 원래가 한가하고 아무도 없는 혼자 있는 데에서 시작되는 것입니다.

원컨대 전하께서는 무공의 시를 본받아 안일한 것을 경계하며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두어서 황극의 복을 누리시면,

성자신손(聖子神孫)이 계승되어 천만대를 전할 것입니다.

그래서 연침(燕寢)을 강녕전이라 했습니다.


[其康寧殿曰: 『洪範』九 五福, 三曰康寧, 蓋人君正心修德, 以建皇極, 則能享五福。 康寧乃五福之一, 擧其中以該其餘也。 然所謂正心修德, 在衆人共見之處, 亦有勉强而爲之者。 在燕安獨處之時, 則易失於安佚, 而儆戒之志, 每至於怠矣, 而心有所未正, 德有所未修, 皇極不建, 而五福虧矣。 昔者衛武公自戒之詩曰: “視爾友君子, 輯柔爾顔, 不遐有愆。 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 武公之戒謹如此, 故享年過九十, 其建皇極而享五福, 明驗已然。 蓋其用功, 嘗自燕安幽獨之處始也。 願殿下法武公之詩, 戒安佚而存敬畏, 以享皇極之福, 聖子神孫, 繼繼承承, 傳于千萬世矣。 於是稱燕寢曰康寧。]

  

경복궁의 편전을 사정전이라 한 것에 대해서는

정사를 함에 늘 생각하고 생각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서경(書經)』에 ‘생각하면 슬기롭고, 슬기로우면 성인이 된다.’고 했으니,

생각이란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 그 쓰임이 지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도전은 백성들 중에는 슬기롭고 어리석고 어질고 불초한 사람이 섞여 있고,

모든 일에는 옳고 그르고 이롭고 해됨이 섞여 있어서,

임금이 된 자가 깊이 생각하고 세밀하게 살펴야만

인재를 등용하고 일을 마땅히 처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정도전은 이 건물에서 왕이 매일 아침에 정사를 보고 조칙(詔勅)을 내려 지휘할 때,

한 번 더 생각하기를 바라며 사정전이라 이름하기를 청하였다.



사정전

  

그 사정전(思政殿)에 대해서 말하면,

천하의 이치는 생각하면 얻을 수 있고 생각하지 아니하면 잃어버리는 법입니다.

대개 임금은 한 몸으로써 높은 자리에 계시오나,

만인(萬人)의 백성은 슬기롭고 어리석고 어질고 불초(不肖)함이 섞여 있고,

만사(萬事)의 번다함은 옳고 그르고 이롭고 해됨이 섞여 있어서,

백성의 임금이 된 이가 만일에 깊이 생각하고 세밀하게 살피지 않으면,

어찌 일의 마땅함과 부당함을 구처(區處)하겠으며,

사람의 착하고 착하지 못함을 알아서 등용할 수 있겠습니까?

예로부터 임금이 된 자로서

누가 높고 영화로운 것을 바라고 위태로운 것을 싫어하지 않겠습니까마는,

사람답지 않은 사람을 가까이 하고 좋지 못한 일을 꾀하여서 화패(禍敗)에 이르게 되는 것은,

진실로 생각하지 않는 것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시경』에 말하기를, ‘어찌 너를 생각지 않으랴마는 집이 멀다.’ 하였는데,

공자(孔子)는 ‘생각함이 없는 것이다. 왜 멀다고 하리오.’ 하였고,

『서경』에 말하기를, ‘생각하면 슬기롭고 슬기로우면 성인이 된다.’ 했으니,

생각이란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 그 쓰임이 지극한 것입니다.

이 전(殿)에서는 매일 아침 여기에서 정사를 보시고 만기(萬機)를 거듭 모아서

전하에게 모두 품달하면, 조칙을 내려 지휘하시매 더욱 생각하지 않을 수 없사오니,

신은 사정전이라 이름하옵기를 청합니다.


[其思政殿曰: 天下之理, 思則得之, 不思則失之。 蓋人君以一身, 據崇高之位, 萬人之衆, 有智愚賢不肖之混; 萬事之繁, 有是非利害之雜。 爲人君者, 苟不深思而細察之, 則何以別事之當否而區處之, 人之賢否而進退之? 自古人君, 孰不欲尊榮而惡危殆哉, 親近匪人, 爲謀不臧, 以至禍敗者, 良由不思耳。 《詩》曰: “豈不爾思! 室是遠而。” 孔子曰: “未之思也, 夫何遠之有!” 《書》曰: “思曰睿, 睿作聖。” 思之於人, 其用至矣, 而是殿也, 每朝視事於此, 萬機荐臻, 皆稟殿下, 降勑指揮, 尤不可不之思也。 臣請名之曰思政殿。]

  

정도전은 정전인 근정전의 이름에 대해서는 부지런함이 위정자에게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근정(勤政)’이란 부지런하게 정치하라는 뜻이다.

예로부터 나라를 통솔하는 자에게는 부지런함이 요구되었다.

이는 『서경』에 ‘편안히 노는 자로 하여금 나라를 가지지 못하게 하라.’ 하고,

문왕(文王)이 ‘아침부터 날이 기울어질 때까지 밥 먹을 시간을 갖지 못하며,

만백성을 다 즐겁게 하였다.’ 는 데에서도 알 수 있다.

정도전 역시 편안히 쉬기를 오래 하면 교만하고 안일한 마음이 쉽게 생기기 때문에,

임금은 무릇 부지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정도전이 모든 일에 부지런해야 함을 말한 것이 아니라,

‘부지런할 바’를 알아서 부지런히 정치해야 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정도전은 왕이 부지런히 해야 할 것으로

‘아침에는 정사를 듣고, 낮에는 어진 이를 찾아보고, 저녁에는 법령을 닦고,

밤에는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근정전

  

근정전(勤政殿)과 근정문(勤政門)에 대하여 말하오면,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다스려지고 부지런하지 못하면 폐하게 됨은 필연한 이치입니다.

작은 일도 그러하온데 하물며 정사와 같은 큰 일이겠습니까?

『서경』에 말하기를, ‘경계하면 걱정이 없고 법도를 잃지 않는다.’ 하였고,

또 ‘편안히 노는 자로 하여금 나라를 가지지 못하게 하라.

조심하고 두려워하면 하루이틀 사이에 일만 가지 기틀이 생긴다.

여러 관원들이 직책을 저버리지 말게 하라. 하늘의 일을 사람들이 대신하는 것이다.’ 하였으니,

순임금과 우임금의 부지런한 바이며,

또 말하기를, ‘아침부터 날이 기울어질 때까지 밥먹을 시간을 갖지 못해

만백성을 다 즐겁게 한다.’ 하였으니, 문왕(文王)의 부지런한 바입니다.

임금의 부지런하지 않을 수 없음이 이와 같습니다. (...)

그러나, 임금의 부지런한 것만 알고 그 부지런할 바를 알지 못한다면,

그 부지런한 것이 너무 복잡하고 너무 세밀한 데에만 흘러서 볼 만한 것이 없을 것입니다.

선유(先儒)들이 말하기를, ‘아침에는 정사를 듣고, 낮에는 어진 이를 찾아보고,

저녁에는 법령을 닦고, 밤에는 몸을 편안하게 한다.’는 것이 임금의 부지런한 것입니다.

또 말하기를, ‘어진 이를 구하는 데에 부지런하고 어진 이를 쓰는 데에 빨리 한다.’ 했으니,

신은 이것으로써 이름하기를 청하옵니다.


[其勤政殿、勤政門曰: 天下之事, 勤則治, 不勤則廢, 必然之理也。 小事尙然。 況政事之大者乎? 《書》曰: “儆戒無虞, 罔失法度。” 又曰: “無敎逸欲有邦, 兢兢業業, 一日二日, 萬機。 無曠庶官, 天工人其代之”, 舜、禹之所以勤也; 又曰: “自朝至于日中昃, 不遑暇食, 用咸和萬民”, 文王之所以勤也。 人君之不可不勤也如此。 (...) 然徒知人君之勤, 而不知所以爲勤, 則其勤也流於煩碎苛察, 不足觀矣。 先儒曰: “朝以聽政, 晝以訪問, 夕以修令, 夜以安身。” 此人君之勤也。 又曰: “勤於求賢, 逸於任賢。” 臣請以是爲獻。]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궁궐 전각 하나하나의 이름은 그냥 쉽게 지어진 것이 아니었다.

성리학을 이념으로 했던 조선시대에는 『시경』과 『서경』 등의 유교 경전을 기본으로 하여,

조선의 꿈과 이상을 고스란히 건물의 이름에 심어 두었던 것이다.

최근 궁궐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경복궁에는 주말마다 시민, 학생, 외국인 등의 인파가 넘쳐난다.

이제 학생이나 시민들이 선생님이나 해설사의 설명을 적는 모습은 결코 낯설지가 않다.

경복궁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궁궐의 전각에 담긴 이름의 의미를 알아가는 것도 좋을 것이다.

특히 근정전이 상징하는 부지런함이 ‘부지런히 할 바를 알고 부지런해야 한다.’고 한 점은

현재에도 시사하는 바가 결코 적지 않다. 늦

가을 낙엽으로 덮인 고궁을 산책하며, 선인들의 지혜를 음미해 보았으면 한다.

- 신병주, 건국대 사학과교수

- 2011년 11월 7일한국고전번역원 고전포럼, 191회 [고전의 향기]

 

 

 

 

 

'알아가며(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청주문화전자대전  (0) 2011.11.09
영조의 딸 사랑  (0) 2011.11.09
‘양직공도’에서 발견된 신라ㆍ고구려 제기  (0) 2011.10.26
冊 <난설헌>  (0) 2011.10.26
세종대왕의 백독백습법  (0) 201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