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목가구 - 약장 [조용헌 살롱] 약장(藥欌) ▲조용헌 우리나라 목가구(木家具)는 소박하고 작아서 정감이 간다. 한약재를 넣어 놓는 약장(藥欌)도 정감 가는 목가구 가운데 하나이다. 적게는 6~8개의 네모진 서랍이 달린 가정용 약장에서부터 많게는 100개가 넘는 의원용 약장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다. 약장을 .. 나아가는(문화) 2007.11.03
한국 전통 목가구 - 장(欌)/ 농(籠)/ 반닫이/ 소반/ 등화구의 세부명칭 3층장 명칭 천판(天板) - 장롱이나 소반, 상자 등에서 하늘을 보고 있는 면의 널 개판(蓋板) - 장이나 농의 천판에 양 옆과 앞으로 뻗어 나오도록 댄 나무판 널(板) - 목재를 켠 나무판, 판재, 부위에 따라 앞널, 측널, 뒷널, 밑널, 층널로 불린다 쇠시리 - 각재의 모나 면을 모양지게 깎아 만든 것, 또는 그 .. 나아가는(문화) 2007.11.03
한국 전통 목가구 - 결구(結構) - 이음과 짜임 2 ◆ 쪽매이음 : 널판을 옆으로 대어 넓게 이어 붙이는 것 (1) 맞붙임(평판붙임) - 두 부재가 같은 면 내에서 접합하는 이음 (2) 빗쪽매(엇붙임) - 판자의 측면을 사면(斜面)으로 엇잘라서 맞춘 것 (3) 나비장 - 나비모양으로 깎음 (4) 띠열장붙임 - 두 널재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한 쪽매 (5) 혀쪽매 - 널 옆에 .. 나아가는(문화) 2007.11.03
한국 전통 목가구 - 결구(結構) - 이음과 짜임 1 < 목공예품의 이음과 짜임 > 목공예품의 짜임새를 보면 그것은 결국 우리나라 사람이 집을 짓는 것과 같다. 목조건물이 수백년씩 잘 견디는 것은 속 구조의 견실한 짜임 때문이며, 일그러진 듯 허술한 초가삼간이 끄떡없이 견디는 것도 그 나름의 이치가 있는 것이다. 목재를 눈질로 켜서 판재와 .. 나아가는(문화) 2007.11.03
한국 전통 목가구 - 화각공예 화각(華角) 공예 화각(畵角)이라고도 하는데, 소뿔의 뿌리쪽 하얀 부분을 종잇장처럼 얇게 떠내서 그 안쪽에다 채색의 그림을 그려서 목물(백골)의 표면에 장식적으로 붙이는 것으로 조선 후기에 유행한 우리나라만의 공예기법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화각장(畵角裝)공예’ 라고 해야 올바르다. 목기.. 나아가는(문화) 2007.11.03
한국 전통 목가구 - 황칠 (1) 경주에서 신라의'황칠(黃漆)' 확인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경주 계림북편에 위치하고 있는 황남동 123-2번지 유적에서 검출된 유기물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라의 ‘황칠(黃漆)’을 확인하였다. 이번에 확인된 황칠은 유적에서 출토된 인화문 토기의 바닥에 남아있는 유기.. 나아가는(문화) 2007.11.03
한국 전통 목가구 - 나전칠기 나전칠기(螺鈿漆器) 나전은 무늬대로 오려낸 자개를 물건 표면에 붙이거나 박아 넣어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나(螺) - 나선형의 껍질을 가진 조개종류 전(鈿) - 금, 은, 동의 금속판을 물건 표면에 새겨 넣어 장식한다는 뜻 나전기법은 기원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에서 유행한 목화(木畵)기법에 기원을 .. 나아가는(문화) 2007.11.03
한국 전통 목가구 ■ 전통 목가구 가구(家具)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생활도구를 ‘가구’라 한다. 옷의 수납과 음식의 저장과 운반, 휴식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귀중한 생활용품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나무로 만든 목가구를 주로 사용하였다. 이는 산지가 많고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 나아가는(문화) 2007.11.03
서울역사박물관 - 사이언스 터널 특별전(관련 기사) ■ 1. 서울역사박물관 ‘사이언스 터널’ 170m 터널 걸어가며 인류의 과학지식 한눈에 원자에서 우주까지 과학의 터널을 지나 12월2일까지 열리는 ‘사이언스 터널’은 독일의 대표적 기초과학 연구기관인 막스플랑크협회가 독일과 유럽 첨단과학이 이룬 과학기술의 성과를 한눈에 선보이는 세계 순회.. 더듬어보고(전시) 2007.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