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일의 문명교류기행] (21) 바닷길로 들어온 불교 (21) 바닷길로 들어온 불교 동방의 별빛따라 뱃길에 실려온 ‘염화미소’ 기원후 4년에 53불상이 표착했다고 전하는 금강산 유점사의 옛 전경. (〈북한불교답사기〉, 민족사, 1990, 27쪽) 문화현상 가운데서 종교는 전파성이 가장 강한 분야다. 특히 불교 같은 보편종교는 자연이나 혈연 구조에 바탕을 둔 .. 지켜(연재자료) 2009.05.17
[정수일의 문명교류기행] (22) ‘로마문화의 왕국’, 신라 (22) ‘로마문화의 왕국’, 신라 비단길 따라온 로마, 로마를 넘어선 신라 (위 사진) 경주 미추왕릉 C지구 3호분에서 출토된 5~6세기 상감옥 목걸이와 세부(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보물 634호) 어느 외국 학자는 상당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3국 시대의 신라는 ‘로마문화의 왕국’이라는 평가를 내리.. 지켜(연재자료) 2009.05.17
[정수일의 문명교류기행] (23) 파도처럼 밀려온 서역문물 (23) 파도처럼 밀려온 서역문물 서역문물 얼마나 넘쳐났기에‥‥ 신라왕 “외래 사치품 엄금” (위로부터) 사산(이란)계 무늬가 있는 8세기 입수쌍조문석조유물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 상원사 동종에 있는 서역악기 공후와 생을 주악하는 비천상(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서아시아산 침향, 버선 · 고.. 지켜(연재자료) 2009.05.17
[정수일의 문명교류기행] (24) 무언의 증인, 무인석 (24) 무언의 증인, 무인석 터번 쓴 무인, 복주머니 찬 까닭은? (위로부터)괘릉 무인석의 좌, 우, 중앙 얼굴모습. ·경주 외동면 괘릉리에 있는 괘릉의 전경 (필자 제공) 신라의 천년 고도 경주에서 동쪽으로 35리쯤 가면 외동면 괘릉리에 자리한 괘릉에 이른다. 사적 제26호인 괘릉은 신라의 수많은 능 중에.. 지켜(연재자료) 2009.05.17
[정수일의 문명교류기행] (25) 중세 아랍인이 본 신라 (25) 중세 아랍인이 본 신라 “돛배 띄워라, 동방의 이상향 신라로 가자” 중세 아랍 상인들이 남해로에서 이용하던 돛배 (<이슬람세계> 케임브리지대학 출판부, 1996, 131쪽) 우리와 이웃하면서 한 문명권에서 살아온 중국이나 일본말고 이 세상에서 우리를 가장 먼저 알고 찾아와서 교제한 사람들은.. 지켜(연재자료) 2009.05.17
[현대사 아리랑] 유영준 여맹위원장 [현대사 아리랑] 여맹위원장 유영준 “여남평등 이룩하여 평등조선 건설하자 !” ‘여남평등’을 외쳤던 유영준(가운데). 양옆은 당시 여성운동을 같이 했던 동료들이다. 왼쪽이 황신덕, 오른쪽이 최은희. <푸른역사 제공> 먼지투성이 전차길에서 겨우 몇 걸음 골목 안으로 들어서니까 호젓이 가.. 지켜(연재자료) 2009.05.17
[간도의 한국인] 간도의 첫 한인공동체 명동촌 [간도의 한국인] 김재홍씨 수집자료 단독 공개 ‘독립운동 씨앗’ 뿌리던 산천…그 숨결 아직도 들리는 듯 겨레의 꿈 키우던 광야…그때처럼 윤동주의 별도 뜬다네 명동촌 설립자인 김약연 선생의 증손자 김재홍씨 “지금도 용정의 규암(김약연) 선생 댁 마당에서 뛰어놀던 기억이 선하다.” 북한학 .. [간도 오딧세이] 2009.05.17
삼년산성(三年山城) - 폐허의 미학(美學) 삼년산성, 복원된 서쪽 성벽의 모습(남서에서) 삼년산성, 복원된 서쪽 성벽의 모습(북서에서) 성곽(城郭)의 나라 《좌씨전(左氏傳)》에 “거안사위(居安思危)”, “유비무환(有備無患)” 즉, “평안(平安)할 때 위험을 생각을 하고, 평시(平時)에 유사시(有事時)를 대비해 둠으로써, 훗날의 환란(患亂)을.. 찾아 떠나고(답사) 2009.05.15
광주 신창동 저습지(低濕地) 유적 - 2천년 전의 복합농경유적 2,000년의 시공을 가로지르는 역사의 현장 신창동유적이 다른 유적과 달리 학계는 물론 일반인의 관심을 집중시킨 이유는 무엇보다도 2,000년 전의 선사시대 마을의 생활을 포괄하는 당시의 사회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직접적인 자료가 출토된다는 데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신창동유적은 인간의 통과.. 나아가는(문화) 2009.05.15
한국건축에 적용된 수(數)와 도형(圖形), 그리고 그 의미 건축에 적용된 수(數)의 상징성 수(數)는 저마다 다른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수가 지닌 상징적 의미는 시대와 지역, 그리고 민족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로 변화해왔다. 우리 민족도 다른 민족과 구분되는 수에 대한 관념을 형성해 왔으며, 그러한 수의 상징성이 건축에 적용된 사례를 많이 찾아볼 수 .. 나아가는(문화) 2009.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