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오슬로 뭉크미술관 - 뭉그 '절규' / '마돈나'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한 뭉크 인간의 불안과 고독을 표현한 <절규(The Scream)> 노르웨이 오슬로 뭉크미술관은 에드바르트 뭉크의 유언에 의해 설립된 미술관이다. 뭉크는 전 생애를 이곳저곳 여행하면서 살았지만 말년의 28년 동안은 오슬로 근처에서 보냈다. 고향은 뭉크 인생의 중.. 느끼며(시,서,화) 2009.07.09
스위스 바젤미술관 - 무덤 속의 그리스도 / 오디세우스와 칼립소 스위스 바젤미술관(Fondation beyeler) 스위스 바젤미술관은 유럽 최초의 공공 미술관이다. 바젤 미술관이 대중들에게 처음 공개된 배경은 수집가들이 시민계급이었기 때문이다. 프랑스와 독일이 인접해 있는 스위스 바젤은 중세 중엽 인쇄술이 발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부터 중세 인문주의 사상의 중심.. 느끼며(시,서,화) 2009.07.08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학 강좌’ - 이태수 교수/ 니코마코스 윤리학강연 한국학술진흥재단 제2기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학 강좌’ 이태수 인제대 교수(서양철학) - 니코마코스 윤리학 강연 - (1) ‘최고의 행복’ 지금 가능하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도덕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담은 책이다. 서양 사상사 최초로 윤리 문제를 포괄적,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 알아가며(자료) 2009.07.08
어제어필(御製御筆)과 사자관(寫字官) 어제어필(御製御筆)과 사자관(寫字官) 궁궐은 왕을 나타낸 '봉(鳳)'과 왕비를 뜻하는 '황(凰)'을 그린 <鳳凰圖>로 장식되었고, 임금님 용상 뒤에는 <일월오악도(日月五嶽圖)>가 펼쳐져 해, 달 ,산, 솔, 물의 천계 · 지계 · 생물계의 영구한 생명력을 표상하여 왕의 지고한 권위를 드러내었다. 이.. 나아가는(문화) 2009.07.08
[간도 오딧세이] 63. 간도를 얻기 위해 '5개' 내준 청나라 [간도오딧세이] 간도를 얻기 위해 '5개' 내준 청나라 간도협약이 체결되기 전 대한제국의 지도에는 두만강 건너 북간도가 한국의 땅으로 표시돼 있다. 우연히 인터넷 백과사전을 검색하다 간도 관련 내용을 들여다보았다. ‘간도’에 대해서는 문제점이 보이지 않지만 간도협약 부분은 뭔가 이상하다... [간도 오딧세이] 2009.07.08
[국립고궁박물관] '숭례문현판’ 특별전시 ‘숭례문 현판’ 옛 모습으로 거듭나다! - 수리복원이 완료된‘숭례문현판’특별전시 -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숭례문 화재로 일부 훼손되었던 현판의 복원을 완료하고 2009년 7월 7일(화)부터 8월 16일(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중앙홀 에서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복원된 현판.. 더듬어보고(전시) 2009.07.08
수중문화재의 보고(寶庫) - 태안 마도 수중문화재의 보고(寶庫) - 태안 마도 - 고려, 조선, 송·원·청대 380여점 도자기 인양 및 매장선체 발견-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성낙준)는 2009년 4월 26일부터 6월 23일까지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 대한 수중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와 중국의 도자기 380여 점을 인양하고, 2.. 나아가는(문화) 2009.07.08
윤동주 '별 헤는 밤'의 비밀 윤동주 '별 헤는 밤'의 비밀 2009년은 유엔(UN)이 결의하고 국제천문연맹(IAU), 유네스코(UNESCO)가 지정한 '세계 천문의 해'이다. 실제로 2009년은 아주 뜻깊은 해이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만들어서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주년, 허블의 우주 팽창 발견 80주년, 인류의 달 착륙 40주년, 외계 지성체 탐.. 나아가는(문화) 2009.07.05
[사림]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 경계인을 위한 변명 ①-③ [사림열전]은 '도학(道學)정치'의 큰 뜻을 펴다 비운의 죽음을 맞이한 정암 조광조의 선배에 해당되는 김종직, 김시습, 남효온, 정여창, 김일손, 김굉필 등 조선 초기 사림(士林)들의 삶과 사상과 행적을 역사학자의 시선으로 정직하게 그려내.. 알아가며(자료) 2009.07.05
세자 책봉 - 왕의 즉위 - 왕의 죽음 조선시대 왕위 계승의 원칙에는 두 가지가 있었다. 우선 중전의 몸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 왕위를 계승해야 하는 것이고, 왕이 될 사람은 덕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 그 두 번째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왕손은 '대를 이을 아들'이라는 의미의 세자(世子)로 책봉되어, 후계자로서의 준비에 만전을 .. 나아가는(문화) 2009.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