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전체 글 3141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9. 영기싹에서 시작하여 용을 거쳐 보살이 화생

9. 中 용흥사(龍興寺) 발견 석회암보살상 영기싹에서 시작하여 용을 거쳐 보살이 화생 지난 7회 연재에서 포항 보경사 비로전의 불단의 영기문을 소개하였는데, 채색분석을 하지 않았었다. 이미 와당의 영기문을 충분히 채색분석하여 자세히 보여주었으므로 모두가 불단의 영기문..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8. 지혜의 눈으로 보면 용과 여래는 하나다.

8. 백제 용 입상(龍立像) 화상전(畵象塼) “지혜의 눈으로 보면 용과 여래는 하나다” <금강경>에 이르기를,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형상으로써 나를 보려 하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찾으려 하면 그 사람은 길을 잘못 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코 여래를 볼 ..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7. 불단에서도 와당의 도상이 그대로 표현

7. 통도사와 보경사 불단의 영기문 분석 불단에서도 와당의 도상이 그대로 표현 우리는 지금 단지 와당을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래를 만나러 가는 대장정의 첫 출발을 내딛고 있다. 즉, 절대적 진리에 접근하기 위하여 와당의 조형원리를 처음으로 추구하기 시작하고 있다. ..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6. 용은 동물이 아니라 영기문으로 구성된 물

6. 경복궁 근정문 발견 용관련 유품 “용은 동물이 아니라 영기문으로 구성된 물” 도 6. 영조가 쓴 현판, 乾九古宮. 지금까지 지붕을 장엄한 ‘용’과 ‘연꽃’과 ‘영기문’ 등을 새긴 여러 가지 와당을 자세히 다루었다. 용과 연꽃이 물을 상징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5. 용 · 연꽃, 영기문 정립은 통일신라 시기에 완성

5. 공주 주미사 출토 기와 분석 용 · 연꽃, 영기문 정립은 통일신라 시기에 완성 1. 공주 주미사지 출토 와당 한 세트. 백제 제석사 암막새의 영기문을 앞서 자세히 분석했다. 이상하게도 중국에는 이런 곡선을 가진 암막새가 만들어진 적이 없으니 백제 제석사 암막새는 한국의 와..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4. 용의 입에서 다양한 '영기문'이 나온다.

4. 고구려벽화의 조형 분석 용의 입에서 다양한 영기문이 나온다 매주 쓰고 있는 이 연재는 틀린 용어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틀린 해석도 지적하며 올바른 용어와 해석을 제시하며, 올바로 논증하고 있으니 이 글은 논문의 성격을 띤다. 무의미하거나 오류가 많은 헤아릴 수 없는 ..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3. 인동당초문, 만초문이 아니라 '영기문'이다

3. 백제 제석사 암막새기와 인동당초문 · 만초문이 아니라 영기문이다 영기문을 인동당초문이라 부르는 것은 번개를 보고 반딧불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영기문은 무한히 다양하게 성립되므로 일일이 명칭을 붙이기 어려우며, 영기문이란 무늬 일체의 통칭이다. 7년 전 쯤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