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초상화이야기 1 - 통치자의 위엄 초상화 이야기 - 통치자의 위엄 문명의 발생과 함께 정복자와 통치자의 초상은 권력을 시각화함으로써 현존 지배질서의 정당화와 지배이념의 확대 재생산에 기여하는 훌륭한 도구로서 발전해왔는데, 바빌론의 왕 함무라비 이래 통치자의 초상에 내포된 이러한 맥락은 동서고금.. 느끼며(시,서,화) 2011.11.17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14. 영기문 꼬리에서 ‘용’ ‘봉황’ 등이 화생한다 14. 향로에 표현된 용 영기문 꼬리에서 ‘용’‘봉황’ 등이 화생한다 ‘고려청자 사자향로’ 라는 뚜껑에 있는 영수(靈獸)는 사자가 아니라 용의 다른 모습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의 향로에는 용이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 역시 용에서 여래와 보살이 화생하는 진실과 맥을 .. 느끼며(시,서,화) 2011.11.17
[강우방의 새로쓰는 불교미술] 13. 영기꽃에서 무량보주 화생은 무량여래의 '화생' 13. 영화(靈化)된 꽃 ‘영화(靈花)’ 영기꽃에서 무량보주 화생은 무량여래의 ‘화생’ 이 연재에서 ‘영기꽃’은 영화된 꽃 즉 영화(靈花)를 말한다. 연꽃이 불화나 도자기에 많이 등장하는데 자세히 보면 현실에서 보는 연꽃이 결코 아니고 영화된 연꽃이다. 즉 여러 가지 영기문.. 느끼며(시,서,화) 2011.11.17
박규수 - 변화하는 세계에 눈뜬 근대인 “오늘날 중국이 어디에 있는가? 저리 돌리면 미국이 중국이 되고, 이리 돌리면 조선이 중국이 되니 어떤 나라도 가운데로 오면 중국이 되는데 오늘날 어디에 중국이 있는가?” 관료로서는 최고자리라 할 수 있는 우의정을 끝으로 현직에서 물러난 박규수가 서울 북촌 자신의 서.. 알아가며(자료) 2011.11.15
고종 · 명성황후 제사 상차림서 잊혀진 우리 음식 177종 발견 고종 · 명성황후 제사 상차림서 잊혀진 우리 음식 177종 발견 '나복황볶기탕' '조아승' 등 궁중음식 매뉴얼 '발기' 찾아 1920년 4월15 일 고종의 혼백을 모신 효덕전에서 다례를 행할 때 들어간 음식목록을 담은 다례 발기. 고종 황제(재위 1863~1907)와 그의 비 명성황후(1851~1895)의 장례.. 나아가는(문화) 2011.11.10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 5. 오대산 상원사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 5. 오대산 상원사 시대와의 불화와 긴장, 그 자체가 지혜 아닐까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文殊殿)’ 현판은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의 부탁으로 썼다. 벌써 10여 년 전의 일이다. 정념 스님은 당시 상원사 주지로 계실 때였는데 상원사가 화재를 입고 나서 .. 나아가는(문화) 2011.11.09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 4. 홍명희 문학비 · 생가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 4. 홍명희 문학비 · 생가 약자 임꺽정의 피신처 '산' ... 내 겨울 감방을 추억한다 ‘벽초 홍명희문학비’는 1998년 홍명희 30주기, <임꺽정> 연재 70주기를 기념한 제3회 홍명희문학제 때 건립되었다. 그때는 글씨만 써 보내고 제막식에는 참석하지 못.. 나아가는(문화) 201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