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조상 / 일본인의 조상 中→한반도→일본 민족이동 유전자로 밝혔다 HUGO 아시아지역 컨소시엄 73개민족 염색체 조사 일본인의 조상은 주로 한반도에서 건너간 사람들이었다는 사실이 대규모 유전자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인간게놈연구회(HUGO)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은 한국 일본 중국을 포함해 아시아 73개 민족의 염색체를 .. 나아가는(문화) 2009.12.12
해치흉배 조경(趙儆) 해치흉배 해치(獬豸)가 서울의 새로운 상징물로 지정되면서 광화문광장의 조형물로 또는 버스와 택시의 문양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 해치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 조경(趙儆, 1541-1609) 해치흉배(서울시 민속자료 제31호) 경기도 화성시 출토(1998. 9)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이 흉배는 .. 알아가며(자료) 2009.12.11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20세기 미국 현대미술의 독보적 여성화가 20세기 미국 현대미술의 독보적 여성화가,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싸워야 할 적은 남자가 아니라 바로 나 자신 여성화가 조지아 오키프는 여자만의 감각과 경험을 따르는 것이야말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해지는 길이라고 믿었다. 초기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신을 키운 건 ‘남자’라고 .. 느끼며(시,서,화) 2009.12.11
숙종 - 백성 속으로 들어가 '소통'의 정치철학 몸소 실천 신분 숨긴 숙종 “난 이 서방이오” 백성 속으로 들어가 ‘소통’의 정치철학 몸소 실천 숙종은 제갈량의 초상화를 그리게 하고 그 위에 제갈량의 일생을 묘사한 긴 시를 썼다. ‘제갈무후도’(1695년) 조선 숙종 때 경상도 봉화현에 사는 정역간(鄭易簡)은 시골 선비로 세상물정은 모르고 책만 읽는 샌.. 알아가며(자료) 2009.12.11
고국천왕과 동생들 - 발기, 연우(산상왕), 계수 ‘계수’의 처세술이 돋보이는 이유 형제들 왕권다툼 실리+명분으로 해결 … 아집과 독선 난무하는 우리 현실에 큰 교훈 황해도 고구려 유적인 안악3호분에 그려진 왕과 왕비(오른쪽). 왕은 안에 쓴 내관과 밖에 쓴 백라관이 뚜렷이 구분된다. 당시 고구려인은 이중관을 썼는데 흰 비단 관(백라관)은 .. 알아가며(자료) 2009.12.11
조선 운명 바꾼 '역관의 휴머니즘' - 홍순언 조선 운명 바꾼 ‘역관의 휴머니즘’- 선조 때 홍순언 명에서 만난 여인 공금으로 도와 … 후일 종계변무 · 임란 파병 보은 조선 사신들의 중국 사행길 풍경을 그린 18세기 연행도. 전체 14폭의 그림 가운데 조양문(朝陽門) 부분이다. 역관 홍순언은 공금으로 장례비용을 대줬던 여인을 조양문 밖 비단 .. 알아가며(자료) 2009.12.11
거북선의 잔해를 발견할 수 없는 까닭 거북선의 잔해를 발견할 수 없는 까닭 1905년 5월 27일 오후 2시경, 제정 러시아의 무적함대로 소문난 발틱함대가 7개월 간의 긴 항해 끝에 드디어 쓰시마해협에서 일본의 연합함대와 마주쳤다. 대치하고 있던 양측 함대의 거리가 약 8㎞로 좁혀지자 일본 해군 총사령관인 도고 제독의 오른손이 번쩍 올.. 알아가며(자료) 2009.12.11
런건 덜위치 미술관(Dulwich Picture Gallery) - 렘브란트, 카날레토 영국 런던 덜위치미술관(Dulwich Picture Gallery) 런던에 있는 덜위치 미술관은 영국 최초 공공미술관으로 1811년 미술상이었던 프랜시스 브루주아 경의 기증품으로 설립되었다. 프랜시스 경은 국제적으로 유명한 미술상으로 폴란드 국왕의 컬렉션을 대신하여 미술품을 수집하는 계약을 맺었으나 폴란드 왕.. 느끼며(시,서,화) 2009.12.11
정선의 <고산방학도(孤山放鶴圖)> [이순미]" href="http://cha.korea.kr/gonews/branch.do?act=detailView&dataId=155395388§ionId=co_sec_1&type=news&flComment=1&flReply=0"> 겸재 정선의 <고산방학도> 매화가 핀 설산에서 은일을 꿈꾸다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의 <고산방학도(孤山放鶴圖)>는 설산을 배경으로 곁에 시동을 둔 처사(處士)가 막 꽃이 피어.. 느끼며(시,서,화) 2009.12.09
근대문학유물 목록화 문화재청, 근대문학유물 목록화 완료 - 윤동주 · 심훈 육필원고, 김소월 진달래꽃 등 희귀 문학유물 다수 발굴 -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근대문화유산 문학분야 목록화 조사」사업을 완료하고 최종 조사보고서를 발간했으며, 2010년에는 목록화된 문학유물을 대상으로 문학사적, 자료적 가치가 큰 .. 알아가며(자료) 2009.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