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나르도 다빈치 ‘모나리자’ 비슷한 외모의 초상화 발견
- '옷 벗은' '누드 모나리자'도 그렸을까? -
| ||||
프랑스 루브르미술관에 전시된 명작 ‘모나리자’와 상당히 비슷한 분위기의 반누드 여성 초상화가 발견되어,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화가 · 조각가 · 건축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가 '모나리자'와 함께 '반누드 모나리자'도 그렸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6월12일(현지시간) 디스커버리 뉴스는 '모나리자'와 매우 흡사한 반누드화가 최근 발견돼 거장 다빈치의 '모나리자' 연작이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미국 MSNBC가 보도했다.
나폴레옹 1세의 삼촌인 조제프 페슈(1763∼1839) 추기경의 개인서재의 나무벽 뒤에 1세기 동안 감춰져 있었던 '반쯤 벗은 모나리자'는 '모나리자'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845년 작성된 관련 문서에 따르면 반누드 모나리자는 다빈치가 직접 그린 작품이거나 적어도 다빈치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다빈치가 태어난 토스카나 지방의 마을 빈치의 이데알레 박물관에서 현재 전시 중이다.
이데알레 박물관의 알레산드로 베초시 관장은
“이 반누드 초상화는 다 빈치가 그린 '모나리자'와 포즈나 전체 분위기 등이 매우 흡사하다.
얼굴 정면 표정과 두 손의 위치, 배경의 공간개념, 풍경에 대한 거리감, 양 옆의 세로줄 등은
유명한 '모나리자'와 뚜렷한 연계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거의 1세기 동안 숨겨져 있었던 반누드 초상화의 여인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의 '모나리자'와 정확하게 닮지는 않았지만, 연관성은 충분히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모나리자 반누드화는 다빈치와 제자들이 그린 일련의 에로틱 초상화 중 일부였으나
당시에는 부적절한 일로 간주돼 외부에 공개되지 못했을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초상화에 붙은 1845년 작성된 메모에는 ‘다 빈치에 의해 그려진 모나리자 초상화’라고 기록돼 있다.
미술 애호가, 미술품 수집가였던 페슈 추기경은 1845년 부유한 로마귀족 가문으로부터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프랑수아 1세의 정부(情婦)를 모델로 한 '모나리자' 초상화를 구입하였고,
페슈 추기경 사후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친 반누드 초상화는 나폴레옹 3세에게 넘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나폴레옹 1세의 둘째 동생인 뤼시앙 보나파르트의 자손 주세페 프리몰리 백작에게로
흘러 들어갔다.
미술애호가인 페슈 추기경은 다빈치의 '성 히에로니무스' 등 내로라하는 미술품을 여러 점 소장하고
있었다. 페슈 추기경은 로마의 어느 중개상에서 '성 히에로니무스'를 발견했다.
'성 히에로니무스'는 현재 바티칸 미술관에 전시돼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산하 다빈치연구소의 카를로 페드레티 소장은
"다빈치가 누드 모나리자를 그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베초시 관장은 “다빈치의 그림 '모나리자'와 매우 유사한 누드화가 최소 6점이 전해지는데,
이 작품들은 모두 다 빈치가 그린 모나리자 누드 초상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다 빈치가 그린 모나리자 누드 초상화는 애인이나 매춘부를 그린 그림으로 ‘모나바나’로 불리지만
아쉽게도 실제 그림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그림은 잃어버린 다빈치의 누드화 원본에서 영감을 받은,
다 빈치에게서 그림을 배우던 학생들 작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모나리자 누드화는 다빈치와 제자들이 그린 일련의 에로틱한 초상화 가운데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당시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져 공개되지 못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과거에도 '누드 모나리자'가 존재한다는 주장이 몇 차례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기록만으로
이번에 발견된 그림 '반누드 모나리자'가 다빈치의 작품인지 진위 여부는 입증할 수는 없다.
작품의 제작연대와 화가를 밝히기 위한 과학적, 미술사학적 조사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과학적 조사를 통해 제작연대와 작가를 밝힌 뒤에나 판명될 것으로 보인다.
- 2009-06-15- 일간신문 등에서 정리
'반누드 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作 아니다 !
![]() |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화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 작품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다.
6월1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문제의 그림과 관련해
다빈치의 작품이 아니라는데 의견을 함께 했다.
'누드 모나리자'는 다빈치가 태어난 토스카나 지방 빈치의
이데알레 박물관에서 뜨거운 관심 속에 현재 전시 중이다.
다빈치의 '모나리자'로부터 영감을 얻어 탄생한 회화, 조각,
미디어 이미지 등 5000여 점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이번 전시회는 오는 9월 30일까지 열린다.
다빈치 논쟁을 불러왔던 그림 '반누드 모나리자 초상화'는 나폴레옹 1세의 삼촌인 조제프 페슈(1763∼1839) 추기경의 서재에 1세기 동안 감춰져 있다 재발견되었다.
그림 속의 여인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걸려 있는 '모나리자'와 꼭 닮지 않았다.
하지만 어떤 연관성은 있는 듯하다.
이데알레 박물관의 알레산드로 베초시 관장은
"얼굴 정면, 두 손의 위치, 배경의 공간 개념, 양 옆의 세로줄 모두 '모나리자'와
매우 유사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산하 다빈치연구소의 카를로 페드레티 소장은
"다빈치가 누드 모나리자를 구상했을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말했다.
- 2009. 06.17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느끼며(시,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파엘로 - 아테네 학당(The School of Athens) (0) | 2009.06.22 |
---|---|
라파엘로(Raffaello Sanzio, 1483~1520) (0) | 2009.06.22 |
체코 슈텐른베르크 국립미술관 - 루크레이아의 자결/ 성 히에로니무스 (0) | 2009.06.21 |
거울 보는 여자 - 벨라스케스, 프리드리히, 페르난도 보테로, 로트레크 作 (0) | 2009.06.16 |
파리 로댕미술관 - 로댕 <지옥의 문> / '다나이드' (0) | 200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