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 조재삼이 지은 ‘송남잡지’ 완역 …
수많은 단어 유래 설명 귀중한 자료
멸치 · 방귀 · 가시나 · 사나이 · 살구 · 고자
고린내 · 조선 · 주전부리 · 을씨년스럽다 . . . 등의 어원 ?
“고려조에 이부춘의 아들 이름이 나해(那海)였는데, 그 용모가 매우 아름다웠기 때문에 ‘나해처럼 생긴(似那海)’ 남자를 ‘사나이’ 라고 불렀다.”
“고자(高子, 지금은 鼓子) 는 우리나라 말로 내시를 이르니 ‘조고(趙高 · 중국 秦나라의 환관)의 자식’이라는 뜻이다.”
민간어원은 대개 황당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민간에서는 사실로 받아들이곤 한다. 때론 확인되지 않는 어원을 민간어원에서 찾기도 한다. 민간어원의 문화사적 의의도 여기에 있다.
조선 후기 재야 선비 송남(松南) 조재삼(趙在三 · 1808~1866)은 ‘사나이’와 ‘고자(鼓子 · 생식기가 불완전한 남자)’의 어원을 역사 속 인물에서 찾았다. 조재삼은 평생 손 가는 대로 잡다하게 이곳저곳에서 모으고 분류한 백과사전인 <송남잡지(松南雜識)>를 저술한 인물.
우주의 발생부터 이기론, 풍속, 은어, 속어 등을 메모 형태로 집대성한 책으로 최근 한국학술진흥재단이 지원하는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소명출판)>에 포함돼 전 13권 분량으로 완역됐다. <송남잡지>를 완역한 경북대 강민구 교수(한문학)는 “논문을 쓸 때 주요 내용을 찾기 쉽게 카드로 만들어 쓰는 것처럼, 별도 책을 집필하기 위해 분야별로 분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어쨌든 조재삼의 어원 설명은 현재 시각에서 보면 포복절도할 만한 내용도 있지만 국어사적으로 어원을 바꿔야 할 내용도 심심찮게 눈에 띈다.
우주 발생부터 은어·속어까지 담아
경상도에서 여성, 주로 젊은 여성을 비하하거나 가까운 사이에서 부르는 ‘가시나(가시내)’. 조재삼은 이 말의 뿌리를 한자어 ‘稼産兒(가산아)’라고 주장하면서 유래를 원(元) 간섭기 고려시대 풍습에서 찾았다. “고려 말 원나라에서 어린 여자아이를 선발해 갔는데, 가정(稼亭) 이곡(李穀)이 원으로 가서 그 혁파를 상소했다. 그래서 지금 촌 여자아이들을 ‘가시나(稼産兒)’로 칭한다.” 그의 설명대로라면 ‘가산아(가시나)’는 가정이 구한 아이가 된다.
그는 또 다른 해석도 소개한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고려 말에 영남의 남정(男丁)을 선발해 군대에 내보내는데 남정이 부족해 대신 여자들로 충원했다. 그래서 ‘가시나(假似那海)’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가 채록한 ‘고린내’ 와 ‘방귀’에 대한 해석도 흥미롭다. “연암 박지원이 ‘중국 사람은 몹시 더러운 냄새를 고리취(高麗臭)라고 한다. ‘麗’의 음은 ‘리’이다. 고려 사람의 닦지 않은 발 냄새다’라고 했다.”
- 배수강 기자 bsk@donga.com - 주간동아, 2009.01.27 671호(p66~68)
|
'알아가며(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상열차분야지도와 28수 (0) | 2009.02.22 |
---|---|
천상열차분야지도의 구성 (0) | 2009.02.20 |
인조와 소현세자 - 치욕 속에 살았던 임금과 치욕을 극복한 세자 (0) | 2009.02.16 |
정조(正祖)와 정순왕후(貞純王后) (0) | 2009.02.16 |
동의보감(東醫寶鑑) (0) | 2009.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