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ㅇ후한 말 삼국으로 분열, 대립하는 역사를 개괄적으로 설명 ㅇ진수의『삼국지』부터 나관중의『삼국지연의』에 이르기까지
正史 삼국지가 演義로 변화 발전하는 과정 조명 ㅇ우리나라에 삼국지가 유입 · 대중화되는 과정을 옛 기록을 통해 설명 ㅇ영상자료를 통해 『삼국지』의 시대 배경과 인물의 고향 탐방
<우리민화 속 삼국지> ㅇ우리민화로 보여 지는『삼국지』의 대중화 양상 ㅇ민화 <삼국지>의 주요 장면을 소설『삼국지』내용과 연결시켜 설명
<서울역사문화 속 삼국지> ㅇ동묘를 비롯하여, 관성묘, 사당의 무신도 등을 통해
서울의 역사문화 속 '삼국지' 조명 ㅇ신앙으로 자리 잡은 '삼국지' 등장인물들을 살펴봄 ㅇ특히, 관우의 경우 武神 · 財物神 · 巫俗神 등 신앙의 대상으로까지
숭배된 배경 등 조명
<대중문화 속 삼국지> ㅇ근대 이후에서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삶 속에 깊숙이 침투한
'삼국지'의 영향력을 신문,소설, 만화 등을 통해 조명 ㅇ국내에서 번역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의 다양한 양상과
거기에서 파생된 변형소설들을 전시 ㅇ고우영 만화는 특별코너를 만들어
만화책, 대본, 영상물, 원화 등 모아서 전시
<에필로그> ㅇ'삼국지' 관련 포토존, 스탬프, 고사성어맞추기, 책쉼터 등으로 구성
진 행
|
전 시 내 용
|
비 고
|
프롤로그 |
• 후한 말 삼국으로 분열, 대립하는 역사를
개괄적으로 설명
• 진수의『삼국지』부터
나관중의『삼국지연의』에 이르기까지
正史 삼국지가 演義로 변화, 발전하는 과정
• 우리나라에 경우 삼국지가 유입․
대중화되는 과정을 옛 기록을 통해 설명
• 영상자료를 통해 『삼국지』의 시대배경과
인물의 고향 탐방 |
- 진수(陳壽), 『삼국지(三國志)』
- 우씨(虞氏), 『전상삼국지평화
(全相三國志平話)』
- 나관중(羅貫中),
『삼국지통속연의
(三國志通俗演義)』
- 이지(李贄),
『이탁오선생비평삼국지
(李卓吾先生批評三國志)』
- 모종강(毛宗崗),
『모종강비평본제일재자서
(毛宗崗批評本第一才子書)
수상삼국지연의
(繡像三國志演義)』
-『한양가』
-『옥단춘전』
-『성호사설』
|
우리민화
삼국지 |
• 우리민화로 보여지는『삼국지』대중화 양상
• 민화 <삼국지>의 주요 장면을
소설『삼국지』의 내용과 연결시켜 설명 |
- 필자미상 삼국지도
- 민화삼국지팔곡병풍
- 삼국지도, 국립민속박물관소장
- 삼국지설화도, 경기대박물관소장
- 삼고초려도, 경기대박물관 소장
|
서울역사문화
속
삼국지 |
•동묘를 비롯하여, 관성묘, 사당의 무신도를
통해 서울의 역사문화 속 삼국지 조명
• 신앙으로 자리잡은 삼국지 등장인물을 살펴봄
• 특히, 관우의 경우 武神․ 財物神․ 巫俗神 등
신앙의 대상으로까지 숭배된 배경 등 조명 |
- <삼국지도>, 9점,
- 백자동묘치성병명병
- <관제묘창건기현판>
- 『관제보훈상주』
- 『관성제군명성경』
- 은평구 사신당 소장 무신도
|
대중문화
속
삼국지 |
• 근대 이후에서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삶 속에
깊숙이 침투한 삼국지의 영향력을 신문, 소설,
만화 등을 통해 조명
• 국내에서 번역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의
다양한 양상과 거기서 파생된 변형소설들 전시
• 고우영 만화는 특별코너를 만들어 만화책,
대본, 영상물, 원화 등 모아서 전시 |
- 박태원, 서인국, 방기환, 최영해
박종화, 김광주, 김동성, 김구용
정비석, 김홍신, 황석영 등
국내소설가들의 『삼국지』
- 고우영 ․ 이희재 ․ 이충호 등
국내 만화가들의 『삼국지』
-『대담강유실기』등 변형소설
|
에필로그 |
•『삼국지』관련영상물과 놀이기구, 피규어를
통한 체험코너 구성
• 각 인물의 상징 무기를 모형으로 제작하여
관람객으로 하여금 직접 만져 보고,
포토존을 할 수 있는 코너로 조성
관우-청룡언월도, 유비-쌍고검,
장비-장팔사모, 여포-방천화극
|
- 만화 비디오 삼국지
- NHK 인형 삼국지
- <레카 삼국지>, 드림픽쳐스 21
- 삼국지캐릭터액션 피규어4종
- 삼국지캐릭터 장기판 / 별장기
- 삼국지 게임 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