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60년대 석굴암 잘못 복원
성균관大 박물관, 1913년 보수공사 직전 사진 공개
입구쪽 팔부신중 한 쌍, 원래는 90도로 꺾어 세워져
석굴암 원형 싸고 40년간 논쟁 ‘천장에 창 있었다’ 등 논란 여전
1960년대 석굴암 복원이 잘못됐음을 뒷받침하는 사진이 발견됐다.
현재 석굴암 입구 좌우에 있는 팔부신중(八部神衆·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 한 쌍은
다른 팔부신중과 함께 일렬로 서 있지만, 원래는 90도 각도로 꺾어져 세워져 있었다는 것이
석굴암 보수공사(1913~1915) 직전에 촬영한 사진을 통해 드러난 것이다.
성균관대 박물관이 17일 공개한 이 사진은
석굴암 본존불을 바라볼 때 오른쪽에 있는 금강역사상과 팔부신중을 촬영했는데,
팔부신중은 현재와는 달리 3개만이 일렬로 서 있다. 나머지 하나는 90도 각도로 꺾여 서 있다.
이 팔부신중의 그림자가 바로 앞의 팔부신중에 비쳐있다는 사실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
▲ 1910년대 초반 일제가 보수하기 직전의 석굴암 팔부신중상 부분(점선으로 표시된 부분).
입구에 있는 팔부신중은 다른 팔부신중과 달리 90도로 꺾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성균관대 박물관 제공
일제는 심한 훼손으로 붕괴가 우려되던 석굴암을 1910년대 해체한 뒤 복원하면서
좌우 입구에 있는 팔부신중 한 쌍을 다른 팔부신중과 90도 각도가 되도록 세워 놓았다.
그러나 문화재관리국이 1961~1964년 석굴암을 다시 복원하면서
이 팔부신중을 다른 팔부신중과 일렬이 되도록 세웠다.
당시 복원 관계자들은 “일제가 석굴암의 원형도 모르고 훼손시켰다”고 주장해
이후 40여 년간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은
“지난 2001년 서지학자 고(故) 이종학씨가 ‘조선미술대관’(1910년 간행)에 실렸던
석굴암 본존불 왼쪽 편의 팔부신중 사진을 공개했지만
당시는 사진 상태 때문에 입구에 있는 팔부신중이 90도 각도로 꺾였다고
100% 장담할 수 없었다”며 “이번 사진은 석굴암의 원형을 찾는 결정적 자료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유홍준 문화재청장도 “팔부신중 위치가 잘못됐다는 것은 이제 명확해졌다”며
“그러나 지금 당장 석굴암에 손을 댈 수는 없고, 언젠가 보수할 때 고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 사진은 1910년대 경주에서 동양헌(東洋軒)이라는 사진관을 운영하던
일본인 다나카가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 강점기에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지낸 후지타 료사쿠가 소장했다가
1953년 성균관대가 구입해 소장해 왔다.
석굴암 팔부신중의 구조는 명확해졌지만, 석굴암은 여전히 많은 논쟁거리를 품고 있다.
석굴암 본존불에 자연 채광할 수 있도록 천장에 창이 있었다는 주장(광창설 · 光窓說)도 그런 예다.
그러나 광창이 천장에 있으면 하중을 견딜 수 없다는 반론도 있다.
본존불이 바라보는 방향이 문무왕릉으로도 알려진 대왕암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동짓날 해 뜨는 방향이라는 설도 있다.
석굴암이 무리수인 √2의 비례미에 따라 기하학적으로 건축됐다는 주장도 있다.
일본인 측량기사 요네다 미요지가 1940년에 발표한 논문 이후 수많은 학자들이 따랐다.
1960년대에 석굴암을 정밀 실측한 결과, 석굴암 본존불을 모신 곳은 요네다의 주장처럼
반지름 3m60 정도의 반듯한 원형이 아니라,
곳에 따라 반지름 길이가 1m 이상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기하학적 비례미는 애초 없었던 것이다.
- 2007.09.18 / 조선일보/ 신형준 기자 hjshin@chosun.com
=====================================================
(2) ‘굴절’된 석굴암 원형 논란
굴절형 前室구조 재확인됐지만 “일렬형이다” 의문 여전히 가져
“8부신중 조각은 6개” 주장도 여덟 神을 여섯 神이라 하는 격
불국사와 함께 세계문화유산에 오른 석굴암의 원형을 둘러싼 논쟁은 지난 40여 년간 계속돼 왔다.
본존불 앞에 있는 전실(前室)의 모습을 둘러싼 논쟁이 첫째다.
전실 맨 앞부분을 장식한 팔부신중(八部神衆 ·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이
지금처럼 일렬이었는가, 아니면 맨 처음에 있는 좌우 한 쌍이 꺾여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최근 성균관대 박물관이
일제가 석굴암을 보수 공사하기 직전인 1910년대 초반에 찍은 사진을 공개하면서
전실 앞부분 좌우 팔부신중 한 쌍은 꺾여 있었다는 사실이 다시 확인됐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여전히 의문을 제기한다.
1910년대 초반 사진을 근거로, ‘팔부신중’ 조각이 원래는 6개였는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당시 사진을 보면 전실 입구 꺾인 부분에는 팔부신중 조각이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전실 입구가 꺾여 있는 굴절형이었다는 사실에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있다.
- ▲ 일제가 석굴암을 수리하기 직전(1913년)에 촬영한 사진이다.
- 석굴암 본존불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섰을 때,
- 석굴암 전실 왼쪽 맨 앞부분을 찍었다.
- 팔부신중상 옆으로 돌을 쌓아 올린 것을 볼 때,
- 이 부분이 90도 각도로 꺾인 부분임을 알 수 있다.
- - - - 나카무라 료헤이의‘조선 경주의 미술’중에서.
사실 규명을 위해선 석굴암의 보수 역사를 알 필요가 있다.
붕괴 위험마저 보이던 석굴암을 보수한 것은 1913~1915년이었다.
당시 사진을 보면 석굴암은 조각상들 사이가 서로 벌어져 뒤편에 쌓은 돌이 보일 정도였다.
일제는 본존불을 제외한 모든 부재(部材)를 해체한 뒤 다시 세웠다.
이후 습기가 차는 문제가 발생하자 1920년대 부분 보수를 다시 했고,
문화재관리국이 1961~1964년 또 다시 보수했다.
이때 전실 입구에 꺾여 있던 좌우 팔부신중 한 쌍을 다른 팔부신중과 일렬이 되도록 폈다.
여기서부터 전실 구조 논쟁이 시작됐다.
조선시대 이전에 석굴암을 상세히 표현한 그림이나 도면은 없다.
일제가 보수에 들어가기 직전에 만든 ‘석굴암 재래 기초 평면도’나
세부 촬영 사진이 가장 오래된 자료다.
최근에 잇따라 공개되고 있는 당시의 사진을 보면
전실 앞부분은 한결같이 90도로 꺾여 있다. 따라서 석굴암의 ‘원형’을 이야기할 때
전실 입구 좌우측이 꺾였는가 아닌가를 논하는 것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문제는 1910년대의 사진에는 꺾인 부분에 조각상이 ‘안 보인다’는 점이다.
팔부신중 조각은 8개가 아니라 6개였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하는 근거다.
이는 “안 보이기 때문에 없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주장이다.
게다가 일제가 석굴암을 보수하면서
석굴암 ‘주변’에서 발견한 팔부신중상 두 구(具)를 꺾인 곳에 붙였고,
일제는 이 두 구가 어디에 있던 것인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주장이 가능했다.
그러나 불교미술사 어디에도 ‘육(6)부신중’이란 없다.
신라인들이 팔부신중을 조각하면서 8구가 아니라 6구만 만들었을 까닭도 없다.
이것은 한 사찰의 일주문에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만들면서 3구만 세웠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나 비슷하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전 국립경주박물관장)도
“팔부신중에는 팔이 여러 개인 아수라가 있는데,
일제가 석굴암에서 발견해 붙인 조각상이 아수라였다”며
“일제가 붙인 팔부신중상은 신라인들이 만든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미술사)도
“일제가 팔부신중 두 구의 좌우측을 바꾸어 붙였을 수는 있지만
이 팔부신중이 전실에 있던 팔부신중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 2007.09.20 / 조선일보 신형준 기자 hjshin@chosun.com
=====================================================
(3) '석굴암'
1907년 조선에 사는 일본인들 사이에 “경주 토함산 동쪽에서 큰 석불(石佛)이 발견됐다”는 소문이 돌았다. 산속 석굴 안에 있는 불상을 우연히 본 우체부가 일본인 우체국장에게 말한 것이 퍼져 나간 것이다. 전국의 도굴꾼이 토함산으로 몰려왔다. 석불 주위 감실(龕室)의 불상 10개 중 2개가 사라졌다. 소네 통감이 다녀간 뒤 석불 뒤 작은 5층 석탑도 없어졌다. 1100년을 평화롭게 앉아 있던 돌부처에게 시련이 시작됐다.
▶ 첫 총독 데라우치는 토함산에 올라 석굴암을 둘러보고 대대적인 보수를 지시했다. 창건 후 처음 석굴암을 해체한 뒤 다시 정비하는 큰 공사가 1913년부터 3년 동안 벌어졌다. 일제는 석굴을 보호한다며 콘크리트로 두께 2m의 외벽을 세웠다. 공사가 끝나자 석굴 안에 물이 차고 이끼가 끼기 시작했다. 일제는 증기를 뿜어 이끼를 씻어냈다.
▶ 석굴암 보존·관리는 해방 후에도 골칫거리였다. 1957년 “펄펄 끓는 수증기 세례에 다박솔로 문질러댄 석굴암”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증기 세척을 하청받은 업자가 ‘한 자(尺) 이상 떨어져서 너무 뜨겁지 않게’ 하라는 작업 원칙을 전혀 지키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또 한 번 석굴암 보수공사를 하기로 했다. 1963년 습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석굴 앞에 목조건물을 만들었다. 그래도 습기가 없어지지 않자 에어컨을 설치하고 관람객의 내부 출입을 금했다.
▶ 그 보수공사 때 책임자들 사이에 격론이 벌어졌다. 입구 양쪽 팔부신중(八部神衆·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 가운데 맨 앞 한 쌍만 90도 꺾여 있는 것이 원래 모양이냐, 아니면 일자(一字)였던 것을 일제가 첫 보수 때 꺾었느냐는 논쟁이었다. 결국 당시 중앙감독관이던 황수영 박사의 주장에 따라 꺾인 부분을 바로 폈다. 그런데 그제 성균관대 박물관이 공개한 첫 보수공사 직전의 석굴암 사진을 보면 원래 90도로 꺾여 있다.
▶ 석굴암은 인도 아잔타, 중국 돈황·운강·용문 석굴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적 석굴사원이다. 1909년 전문가로는 처음 석굴암을 둘러본 도쿄대 교수 세키노 데이(關野貞)는 “동양 무비(無比·비할 데 없음)의 작품”이라고 찬탄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올라 있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도 광창(光窓) 존재 여부를 비롯해 석굴암이 원래 어떤 모습이었는지도 정확히 모른다. 길이 10m의 돌을 자르면서 1㎜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았던 신라시대 조상님께 죄송스럽기만 하다.
- 조선일보,[만물상] 2007.09.18 이선민 논설위원 smlee@chosun.com
- 2007-09-23
|
'더듬어보고(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청주박물관]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 (0) | 2007.11.22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 - 미술1관 (0) | 2007.11.17 |
[성균관대박물관] 석굴암, 1910년대 사진 공개 여파 (0) | 2007.11.11 |
[간송미술관] 2006년 봄-간송 탄신 백주년기념 특별대전 (0) | 2007.11.10 |
[서울대박물관] '마지막 황실, 대한제국' 사진전 (0) | 200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