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파주 주월리 육계토성 (下) | ||||
임진강이 휘돌아치는 2007년 4월 말. 기자는 11년전 홍수가 휩쓸고 간 자리, 고대사의 흔적들이 홀연히 펼쳐진 바로 그곳, 육계토성(파주 주월리)을 찾았다.
첫 느낌은? 실망 그 자체였다. 농사를 짓느라 땅을 갈아엎은 경작지, 그리고 성인지 둑인지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방치된 현장. ‘어디가 성벽인가’ 그러나 찰라의 실망감도 잠시.
육계토성을 발굴한 김성태 기전문화재연구원 학예실장이나 백종오 경기도박물관 학예사(현 충주대 교수) 등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북서쪽으로 한강을 끼고 강안을 따라 축조된 평지성인 풍납토성. 그리고 역시 북서쪽으로 임진강이 굽이 돌아가는 강안을 따라 축조된 평지성인 육계토성. 둘레 3.5㎞인 풍납토성과 그것의 절반 규모인 1.858㎞인 육계토성. 한강변 풍납토성은 이미 온조가 기원전 6년 천도했던 하남위례성으로 사실상 확정된 상태다. 혹 온조왕이 기원전 18년 어머니 소서노와 함께 고구려 유리왕의 핍박을 피해 내려와 처음으로 세운 나라(백제)의 첫 도읍지, 즉 하북위례성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 육계토성은 삼국사기에 나온, 13년간 이어진 백제의 도읍지?
발굴단을 이끌었던 김성태씨와 백종오씨의 논문과 해설이다. 일의대수로 이어진 백제적석총을 발굴한 주역. 그는 기원전후~1세기 적석총으로 보이는 학곡리 적석총에 대한 장문의 보고서를 쓰면서 ‘하북위례성’이란 항목을 삽입했다. 한마디로 하북위례성은 임진강변에 있었을 것이며, 그 위치로 바로 ‘육계토성’일 수밖에 없다고 지목한 것이다.
# 5가지 이유 그는 하북위례성=육계토성일 수밖에 없는 ‘5가지 이유’를 댄다.
우선 두 성 모두 하중도(河中島)에 입지하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일제시대 지도를 보면 자연 해자(垓字)처럼 돼 있다. 마치 섬처럼 보인다는 얘기다.
육계토성도 물길을 따라 성을 수축한 흔적이 보인다.
또한 두 성 모두 도강이 가장 유리한 교통로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
그리고 평지성인 토성이면서 청야수성을 위한 산성을 배후에 두고 있다는 점도 꼽힌다. 적이 쳐들어오면 주변에 적의 보급품이 될 만한 것들을 없앤 뒤 모든 백성이 배후의 산성에 들어가 적을 지치고 굶주리게 하는 전술이다. 고구려가 수당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것도 모두 이 청야전술 덕분이었다.
지안의 국내성이 바로 그렇고, 풍납토성이 그렇다. 평지성인 풍납토성의 배후엔 남한산성이, 육계토성의 뒤에는 칠중성이 서있는 것이다.
육계토성 인근 임진강변에는 학곡리 적석총을 비롯, 삼곶리·삼거리 등 모두 7기의 백제적석총이 확인됐다.
그런데 풍납토성 인근에도 그 유명한 석촌동 고분군이 밀집돼있다.
마지막으로 토성 안에 대규모 취락지가 확인된다는 점도 같다. 풍납토성 안과 마찬가지로 육계토성 내에는 발굴단이 온몸으로 지킨 취락유적이 확인됐다는 점을 이미 언급한 바 있다. 결국 육계토성 일대의 공간배치 구조는 고구려 왕도의 수법이 반영되었고, 13년후 하남위례성을 건설할 때의 모범이 되었다는 게 김성태씨의 단언인 것이다.
다른 증거들은 없을까. “말갈과 낙랑의 위협 때문”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삼국사기에는 “기원전 16년 말갈이 북쪽 경계를 쳐들어 왔다”, “말갈 적병 3000명이 와서 위례성을 포위하자 왕은 성문을 닫고 나가 싸우지 않았다”는 등의 말갈 침입 기사가 도처에 깔려있다. 그러자 낙랑태수가 사자를 보내 협박했다. 결국 낙랑과 말갈의 위협 때문에 하북위례성→하남위례성 천도를 결심하게 된 것이다. 김성태, 백종오씨 등 발굴자들은 여기에도 착안점을 둔다. 한국사에서 천도라는 것은 특정의 대하천 유역에서 다른 대하천 유역권으로 공간적인 이동을 해온 게 일반적이다. 한강이북(하북위례성)→한강이남(풍납토성)으로 천도했을 가능성은 적다고 봐야 한다. 당시 백제와 낙랑의 접경이 예성강을 중심으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면 자연 백제의 배후 중심지는 임진강일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또한 육계토성 일대는 예나 지금이나 북방·남방세력의 침공로로 중요시됐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대목이다. 하지만 육계토성은 2000년 수수께끼로 남아있던 한국고대사의 진실, 즉 백제 탄생의 비밀을 밝혀줄 열쇠일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방치, 그 자체다. 얼마전 육계토성은 ‘경기도문화재’ 지정이 결정됐다. 당연히 ‘국가사적’으로 지정돼야 했지만 ‘도지정 문화재’로 격하된 것이다. 만약 육계토성이 요즘 트렌드인 ‘고구려 유적’으로 지정신청되었다면 어땠을까. 백제는 지금 이 순간에도 격하되고 있는 것인가. |
파주, ‘통일한국 수도論’까지
파주는 예로부터 참 매력적인 고을이었던 것 같다.
천도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각광 받은 걸 보면 도읍지와 무슨 인연이 있는 게 아닌가 싶다.
광해군 4년(1612년)의 일.
술관(術官) 이의신이 한양의 왕기가 쇠하였으니 길지인 교하(파주)로 천도하자는 상소를 올렸다.
광해군은 이듬해 비밀리에 비변사에 전교를 내려 교하지역의 형세를 살피게 했다.
하지만 수포로 돌아간다.
승정원과 대신들이
▲배후도시를 에워쌀 만한 고산준령이 없고,
▲측면으로 도시를 옹위하는 하천이 없는 습지라는 점 등을 들어 반대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허균도 1617년 김제남과 역모를 모의하면서 수도를 교하로 옮기자고 주장했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풍수학자인 최창조 교수까지도 통일한국의 수도로 파주 교하를 지목했을 정도이니….
그런데 만약 2000년전 백제 온조왕의 첫 정착지가 바로 이곳 파주 육계토성이라면….
400년전 이의신이나 허준의 교하 천도론 뿌리에는 온조왕의 첫 도읍지가 혹 숨겨져 있지 않을까.
각설하고 한강변 풍납토성과 임진강변 육계토성의 입지와 규모,
형태는 놀라우리만치 유사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조사결과를 보면
풍납토성과 육계토성의 위상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분명하다.
풍납토성에서는 청동초두, 외래계 도·토기(가야, 왜, 중국자기, 도기편), 와전류 등이 출토되었다.
한성백제가 중국을 비롯하여 가야, 왜와도 문물 교류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사유구는 물론 도로시설까지 발굴되어 명실공히 왕성의 가치가 드러나 있다.
육계토성 발굴조사 결과
풍납토성에 비해 유구의 종류와, 출토유물의 종류 및 토기 기종구성이 비교적 단순한 편이다.
하지만 육계토성에서도
한성백제 전기 주거지와 백제토기 성립기의 토기인 흑색마연토기 등
헤아릴 수 없는 백제초기 유구와 유구들이 나온다.
몇몇 기종은 한강유역에서 출토되는 유물보다 앞선 시기의 것들이다.
육계토성은 향후 조사에서 백제의 최초 정착지라는 점과,
한성백제 전성기에는 북쪽 국경지역이라는 특수성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육계토성은 한강 이북 고대사의 수수께끼를 풀어줄 역사의 비밀창고라는 점에서
반드시 집중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권순진 / 한국국방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9. 파주 적성 객현리 (0) | 2007.12.09 |
---|---|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10. 파주 주월리 육계토성 上 (0) | 2007.12.09 |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12. 매소성 대첩 上 (0) | 2007.12.09 |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13. 매소성 대첩 下 (0) | 2007.12.09 |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14. 임진진 上 (0) | 2007.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