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현대 미술관
독창성의 모순 - <아비뇽의 처녀> vs <캠벨 수프 깡통>
뉴욕 현대 미술관은 현대 미술만 전시할 목적으로 1929년 설립된 최초의 미술관으로 릴리 P 블리스, 록펠러, 메리 퀸 설리번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들을 기증하면서 시작되었다. 뉴욕 현대 미술관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나치의 퇴폐미술로 낙인 찍혀 나온 작품들을 사들인 미국의 부유한 기증자들과 나치의 박해를 피해 망명한 예술가들이 기증하면서부터이다. 3천200여 점의 회화, 조각, 모던 아트, 영상, 영화, 사진, 건축 등 다양한 장르를 구분해 전시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19세기 후반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현대 미술 걸작들은 따로 선별해서 전시하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다. 이 작품은 현대 미술의 기원이 되는 중요한 작품 중에 하나로서 르네상스 시대부터 그림에서 표현되었던 이상적이고 고전적인 형태의 여성에서 벗어나 심하게 왜곡된 형태로 여성을 표현했다. 피카소는 전통적인 구성 방식이나 원근법에서 탈피해 독창적인 양식을 선보인 것이다.
<아비뇽의 처녀들>은 다섯 명의 벌거벗은 매춘부가 그려져 있는 작품으로서 화면 오른쪽 두 명의 여인이 커튼을 열어젖히고 있고 열린 커튼 사이로 세 명의 여인이 유혹적인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풍만한 가슴을 강조하기 위해 팔을 들어 올리고 있는 모습은 고전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그들도 여성의 특유의 풍만하고 부드러운 여성미는 보이지 않고 단순하면서도 납작한 형태를 띠고 있는 면들로 구성되어 있다. 아프리카 미술의 영향을 받아서다. 피카소가 여인의 얼굴에 가면을 그려 넣은 것은 아프리카 가면이 악령을 막아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피카소는 한때 성병에 걸려 고생했었다. 피카소는 이 작품에서 ‘자신이 그린 최초의 액막이 회화’였다고 회상했다. 인간의 육체는 과일과 마찬가지로 금방 시들어 버린다는 의미를 지닌다. 사창가의 장면을 습작하고 있었다. 이 작품의 습작에서는 두 명의 남자가 여자들에게 둘러싸여 있었지만 습작을 계속 진행시키면서 피카소는 남자를 화면에서 제외시켰다. Sketch for The Demoiselles d'Avignon. 1907. Watercolor on paper. Museum of Art, Philadelphia, PA, USA.
처음에 피카소는 외설적인 주제의 이 작품에 <철학적 사창가>라는 제목을 붙였지만 친구가 1916년 <아비뇽의 처녀들>이라는 제목으로 바꾸면서 알려졌다.
그런데 20세기 최고의 작품으로 남아있는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은 루브르에 기증하겠다는 소장가 자크 두세의 손을 떠나 마침내 미국으로 건너가게 된다. 미술작품만이 아니라 두세는 그의 이름을 딴 필사본 도서관이 따로 있을 정도로 작가들의 필사본 수집가로 더 유명한 수집가였다. <아비뇽의 처녀들>이 미국으로 건너가다니, 그것도 고작 2만8천달러에. 프랑스로서는 가슴을 치고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2차대전 후 수 세기 동안 누려왔던 예술의 메카로서의 명성을 빠른 속도로 미국에 내주게 된 데에는 지나치게 신념에 찬 프랑스 관료들의 안목이 큰 몫을 한 셈이다. 하지만 프랑스 교과서 어디에서도 이런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야사(野史)라는 것이다.
독창성 개념 파괴한 앤디 워홀 <캠벨 수프 깡통>
만화나, 영화, 텔레비전 등 대중 매체의 이미지를 차용해 표현하면서 팝 아트라는 미술사조가 등장했다. 팝 아트는 당시 미국의 미술계를 휩쓸고 있던 추상표현주의의 대안으로 부상한 미술사조로서 앤디 워홀은 1960년대 미국에서 부상한 팝 아트의 공동 설립자다. 팝 아트 예술가들은 미국 문화 속의 언어와 이미지 대중매체에 큰 관심을 가졌다. 그는 순수 예술가로서 인정받기를 원했다. 하지만 1960년대 초 앤디 워홀은 목표를 바꾸었다. 영화배우와 1달러 지폐, 깡통 수프들이 작품의 주제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미술이 일반적인 대중들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듯이 대중들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사용해 작품을 제작했다.
이 작품은 깡통 같은 미국의 가치에 대한 워홀의 관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1962년 워홀은 슈퍼마켓 식품 진열방식에 따라 대량생산되는 캠벨 수프 깡통을 전시했는데 당시 그림들의 가격은 100달러였으며 캠벨 수프의 가격 29센트와 비교되었다. 그는 이 작품을 제작하면서 의식적으로 고가의 미술품 거래와 식료품 거래를 동등한 것으로 암시해 사회적 도발을 야기시켰다. 그는 작품 하나하나 독창성을 가지고 있는 미술의 개념을 파괴했다. 미국 사회의 일용품을 차용해 이를 상업 미술품으로 이미지를 바꾸는 방식이 곧 앤디 워홀의 예술세계를 대변하게 된다. 앤디 워홀은 예술가로서 명성을 얻기 위해 노력한 유일한 팝 아트 예술가로서 그는 자신을 위해 온갖 형태의 미디어 작품을 만들면서 시대 욕구에 적절하게 반응했다. - 박희숙, 서양화가, 미술 칼럼니스트 - 2009. 03.18 ⓒ ScienceTimes [명화산책]
|
'느끼며(시,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젠 들라크루아(Eugene delacroix)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0) | 2009.03.22 |
---|---|
보티첼리 - ‘프리마베라(Primavera)’ (0) | 2009.03.21 |
다비드 -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 (0) | 2009.03.18 |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 - 이수스 전투 (0) | 2009.03.16 |
암스테르담 미술관 - '야간경비대' / '성 니콜라스 축제' (0) | 2009.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