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힌 조선 침(鍼)의 자존심 허임(許任)
|
조선시대, 무소불위의 임금에게 요즘 말로 마구 ‘개기는’ 의사가 있었다. 천출인 침의(鍼醫) 허임(許任 · 1570~1647 추정)이 바로 그다. 아버지는 악공인 허억복이고 어머니는 노비 출신의 천민. 하지만 그의 7대조는 세종대왕 때 문신으로 명망이 높았던 허조(許租 · 1369~1439). 그의 후손이 단종 복위운동에 연루돼 집안 전체가 천민으로 전락했다.
‘조선실록’은 그의 기행을 이렇게 전한다. “침의인 허임이 전라도 나주에 가 있는데 위에서 전교를 내려 올라오도록 재촉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닌데도 오만하게 집에 있으면서 명을 따를 생각이 없습니다. 임금의 명을 무시한 죄를 징계해 국문하도록 명하소서.”(광해군 2년)
이뿐 아니다. 광해군 6년에는 사간원이 나서 직접 그의 징계를 탄원한다. “어제 임금께서 ‘내일 침의들은 일찍 들어오라’는 분부를 했습니다. 그런데 허임은 마땅히 대궐문이 열리기를 기다려 급히 들어와야 하는데도 제조(정2품 고위관리)들이 모두 모여 여러 번 재촉한 연후에야 느릿느릿 들어왔습니다. 이 말을 들은 사람들이 경악스러워하니 그가 임금을 무시하고 태연하게 자기 편리한 대로 행동한 죄는 엄하게 징계하지 않아서는 안 됩니다. 잡아다 국문을 해 그 완악함을 바로잡으라고 명하소서.”
사간원의 요청이 여러 차례 있었지만 그의 행동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었다. 그런데도 광해군은 오히려 치료를 잘하는 의사라며 그에게 가자, 즉 포상금을 내리기도 했다.
허준도 꼬리를 내린 침의 대가
일반인은 조선시대의 명의라면 허준(許浚 · 1539~1615)을 떠올리지만, 이 불세출의 신의(神醫)도 침에서는 허임 앞에 꼬리를 내린다. 선조 37년 허준과 선조 사이에 오간 대화를 보면 이는 금세 사실로 증명된다.
임금이 허준에게 침에 대해 질문하자 그는 이렇게 답한다. “신은 침을 잘 모릅니다만 허임이 평소 말하기를 경맥을 이끌어낸 다음에 아시혈에 침을 놓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허준은 ‘동의보감’의 질병마다 침구치료 혈자리를 표시해놓은 침구학의 대가. 나이를 보더라도 허준의 나이 58세 때 허임의 나이는 34세에 불과했고 허준은 어의였지만 허임은 일개 침의였을 뿐이다. 이런 점에 비춰보면 선조의 질문에 대한 어의 허준의 대답은 대단한 칭송이 아닐 수 없다.
허임이 저술한 ‘침구경험방’은 국제적으로 소개된 침구학의 세계적 명저로 통한다. 젊은 시절 조선에 유학 왔던 일본 오사카 출신의 의사인 산센준안은 조선의 의사들이 침구를 중시하는 점을 유심히 관찰했는데, 특히 대부분의 의사가 하나같이 허임의 침구방을 배워 이용하는 것에 놀라워한다. 그런 모습을 지켜본 그는 “유독 조선을 침에서 최고라고 하는데, 평소 중국에까지 그 명성이 자자하다는 말은 정말 꾸며낸 말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다. 급기야 그는 ‘침구경험방’을 가지고 일본으로 돌아가 1725년 일본판으로 간행하기에 이른다. 청나라 말기의 명의 요윤종은 ‘침구집성’이라는 저서를 남겼는데 후일 그 책이 ‘침구경험방’을 표절한 것으로 밝혀질 정도다.
- 2009.03.01 신동아, 통권 594호(p622~) [이상곤박사의 한의학 이야기]
|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월 세시풍속 - 대동(大同 = 크게 하나 됨) 축제마당 (0) | 2009.02.13 |
---|---|
조선왕실의 인장 (0) | 2009.02.07 |
일제강점기 아래 우리 불교문화재의 수난 (0) | 2009.02.05 |
윤동주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 (0) | 2009.02.04 |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淨甁) (0) | 2009.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