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백자의 장식과 무늬
백자는 조선의 이념과 생활을 구현한 대표적인 조선 문화의 산물로,
왕실과 중앙 관청용 백자 제작을 전담했던 사옹원 '분원(분원)'의 설치는
조선 백자의 토대를 이룬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분원 설치 이후 순백의 세련된 고급백자 생산이 이루어지면서
백자는 절제된 순백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재의 무늬가 장식되기까지 이른다.
조선시대 백자 장식은 동시기의 분청사기나 이전의 고려시대 청자에 비해
기법이나 소재 면에서 다소 단순한 편이다.
새기거나 찍는 방법이 아닌 대개 붓으로 그리는 기법이 중심이 되었는데,
시문된 안료의 색에 따라 푸른 색의 '청화(靑畵)', 흑갈색의 '철화(鐵畵)', 붉은색의 '동화(銅畵)'로 나뉘고
유행 시기도 대체로 구분된다. 그밖에 부수적으로 15세기경의 상감(象嵌)기법,
18세기 이후 양각, 투각기법, 무늬 소재를 형상화한 상형기법이 사용되었다.
순백자 위에 코발트 안료인 회청(回靑)을 사용하여 푸른빛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청화기법은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장식 방법이자, 조선 전반에 걸쳐 주요했던 백자 장식 방법이다.
청화 안료는 중국으로부터 비싼 값에 수입하여 귀하여 여겨졌던 것으로,
도화서 화원이 주로 그림을 담당하였고 이로 인해 청화백자로 제작된 수량 또한 많지 않았다.
청화 장식이 시도된 초기에는 중국 청화백자의 영향을 받아
운룡문, 꽃넝쿨문(花唐草文), 송죽매문(松竹梅文), 어조문(魚藻文), 천마문 등이 장식되다가
이후 조선적인 특징이 드어나는 시문(詩文), 매조죽문(梅鳥竹文)과 같은 무늬는
15-16세기 조선의 왕실이나 사대부의 정서를 담은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밖에 문자문, 포도문, 초화문, 초충문 등을 살필 수 있다.
백자 청화 시명(詩銘) 접시
백자 청화 매조죽문 호
그러나 이러한 청화백자는 안료의 희귀성으로 인해 국가 재정이 빈약할 때에는 그 제작도 감소했는데,
이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과 같은 전란 이후 두드러진다.
특히 철사 안료를 사용한 철화백자는 이러한 청화백자의 공백기를 대체하는 주요한 구실을 하여
17세기 무렵에는 독특한 경지를 보여준다.
이전에 유행했던 청화백자의 세련된 표현과는 차이를 보여
다소 거칠면서도 자유분방한 표현으로 변화하고,
이 시기 국란으로 인해 백자의 질 또한 저하되어 대개 회백색을 띤다.
철화로 표현된 용문, 초화문 등은 이러한 상황을 잘 대변해준다.
백자 철화 운룡문 호
또한 아주 제하적으로 청화를 사용하여 제기임을 표시하는 '제(祭)'자를 넣기도 하였고,
17세기 후반에는 동화로 제작된 접시형 백자묘지(墓誌)도 확인된다.
17세기 말 부터 18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경제 부흥과 함께 백자의 질이 향상되면서
청화백자의 제작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고, 이와 함께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백자 생산으로 이어졌다.
특히 다량의 땔감을 확보하기 위해 광주 내에서 10년 주기로 가마터를 옮기던 체제에서 벗어나
1752년 현재의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에 정착하면서 백자는 다채롭게 변화한다.
조선 전기부터 백자를 장식하는 데 애용된 청화기법은
17세기 전란 이후 피폐해진 경제활동으로 인해 거의 사용하지 않다가
18세기부터 생활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대상들이
조선 후기 백자의 미감을 잘 보여주는 의장과 도안으로 등장하고,
나아가 회화성이 풍부한 화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들꽃같이 정감 있는 화훼문, 길상적 의미의 수복강녕(壽福康寧) 문자나 칠보문,
당시 유행을 엿볼 수 있는 소상팔경과 같은 산수문 등이 이 시기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데,
이는 경제적 번영과 더불어 서민문화가 확대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다.
또한 이러한 장식 경향은 점차 길상적인 주제를 위주로 장식성이 강해지고 화려하게 도안화된다.
백자 청화동화 장생문 호
19세기에는 더욱 다양한 기형에 장식성이 강한 백자가 생산되는데,
기존의 무늬를 그리는 것은 물론 청화채와 철채, 동화채처럼 백자에 칠을 하는 기법까지 이루어져
안료의 사용과 응용이 과감해진다.
절제되고 단정한 분위기의 백자에서 과장된 장식으로 이루어진 백자로까지 확장된 시기인 것이다.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백자실, 이정인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109회> 2008년 10월8일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덕진요(景德鎭窯) 청백자(靑白磁) (0) | 2008.11.10 |
---|---|
계룡산 분청사기 (0) | 2008.11.10 |
고려청자의 탄생 (0) | 2008.11.10 |
세계 항공사를 다시 쓰는 로켓(rocket)과 비거(飛車) (0) | 2008.11.09 |
조선후기 최고의 북 마케터(책쾌) - 조신선(曹神仙) (0) | 2008.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