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서울견문록①]
新과 舊, 화려함과 소박함 부조화의 짠한 매력 영화거리 충무로, 장충동 족발집 남대문 재래시장, 남산골 한옥마을
|
|
|
# 위항(委巷) - 좁고 지저분한 골목
유순희(49) 씨가 머리고기를 썬다. 칼자루 쥔 손이 날렵하다. 인현시장(서울 중구 인현동)은 단발머리 소녀 때부터 몸으로 비비며 지켜온 터전. 33년 동안 언니(유숙희·57)와 함께 시장통 ‘통나무집’에서 머리고기를 팔아 밥을 벌었다. 저녁 7시 숙희, 순희 씨 가게는 가로등 빛을 받아 주황색으로 빛났다. 걸게 놓인 안주발에 소주가 절로 익는다. 입에 착 달라붙는 안주 베어 물면 밤도 익어간다. 이 먹자골목은 중구에서 밥을 버는 보통사람들의 포근한 쉼터다.
소주잔이 오가는 통나무집은 복닥복닥했다. 김광태(50) 씨는 “비도 오는데 머리고기나 씹자”며 친구들을 꼬드겼다. 친구(김진선·49)한테 넋두리를 늘어놓다가 “혼자 힘든 척한다”는 나무람을 듣고는 “머리고기가 잘 삶아졌다”며 웃는다.
정동의(51) 씨는 광고전단지를 찍어 판다. 충무로에 인쇄소를 연 지 17년.
망치, 칼로 전단지 수백 장을 한 번에 자르는 솜씨가 멋지다. 20평 남짓한 ‘동진사’엔 인쇄기가 2대 있다. 배우 뺨치는 방글라데시 청년이 인쇄기를 돌린다. 충무로 ‘명동카메라’에서 일하는 김일구(45) 씨는 20년 넘게 카메라만 들여다봤다. 사진이 좋아 카메라가 밥벌이가 됐다. 1500만원짜리 ‘라이카’를 꺼내놓는 표정이 의기양양하다. “아날로그는 충무로에 남고, 디지털은 남대문으로 떠났다”고 그는 말했다.
충무로 골목은 퇴락했다. 영화사도 하나 둘 이곳을 떠났다. 그럼에도 충무로는 장인과 예술가의 거리다. 그들이 고기 구워먹던 ‘황소집’, 소주 들이켜던 ‘초막집’은 문을 닫았지만 1960년대부터 한정식을 팔아온 ‘대림정’은 남았다.
충무로 서쪽 끝자락엔 신세계백화점(충무로1가)이 섰다. 1930년대 근대 건축물과 21세기 현대 건축물이 마주 본다. 이 백화점의 구관과 신관(2007년 개관)엔 모던과 포스트모던이 엉켜 있다. 구관은 모던보이가 누비던 1930년대 미스코시백화점(경성지점)이 모태다. “진열장 앞에 오기만 하면 이 유행균의 무서운 유혹에 황홀하여 걸음 걷기를 잊고 정신이 몽롱해지며 다 각각 자기의 유행 세계를 설계하려 든다.”(‘만추가두풍경’/ 최영수/ 1937년)
# 모던의 열정, 모던의 눈물
충무로가 드러내듯 서울 중구는 시대의 흔적이 제가끔 부조화(不調和)한 곳이다. ‘샤넬’ ‘루이비통’ 로고가 내걸린 백화점과 오래된 시장의 들썩임이 공존한다. 그 부조화가 중구의 매력이다.
중구엔 특급호텔이 10개 있다. 1·2·3등급을 합치면 관광호텔은 20개가 넘는다.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 중앙시장(포장마차 음식의 식자재로 유명하다)도 중구에 있다. 중앙시장의 곱창 지린내는 맡아본 사람만이 그 매력을 안다. 70년 넘게 꼬리를 고았다는 ‘은호식당’(남대문시장)의 토막 낸 꼬리 맛은 달다.
중구는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신당동 황학동 중림동 등 15개 동으로 이뤄졌다. 남쪽은 조선왕조 때 목멱(木覓)산이라 불리던 남산으로 막혔고, 북쪽은 청계천을 경계로 종로구와 맞닿는다. 면적은 9.96km2, 인구는 13만7000명(2007년 현재).
수표교는 1420년(세종 2년) 관수동과 수표동에 놓인 조선의 다리다. 1959년 청계천 복개공사 때 장충단공원(남산공원)으로 옮겼다. 장충동은 근현대사의 비극을 응축한다. 장충단은 초혼단(招魂壇).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순국한 훈련대 장병을 제사 지내던 곳이다.
경술국치(庚戌國恥) 전후로 노래된 한양가(漢陽歌)의 한 대목이다. “남산 밑에 지은 장충단 저 집 나라 위해 몸 바친 신령 뫼시네/ 태산 같은 의리에 목숨 보기를 터럭같이 하도다/ 장한 그분네.” |
# 안개 낀 장충단공원
8월29일 장충리틀야구장에서는 두산베어스배 리틀야구선수권대회 준결승이 열렸다. 5대 0으로 ‘남양주’가 앞선 가운데 2회 말 ‘강북구’의 공격. 투아웃 이삼루의 찬스다. 앞서 결승에 진출한 ‘용산구’의 두 외국인 초등학생이 두 팀의 전력을 탐색하고자 눈을 벼린다. 미국인 알렉스는 ‘남양주’의 승리를 예상했다. 일본인 다이치는 ‘남양주’ 투수의 강속구에 혀를 내두른다 (이튿날 열린 결승전에서 ‘남양주’가 ‘용산구’를 누르고 두산베어스배를 차지했다).
연합뉴스 부국장을 지낸 송영찬(63) 씨는 야구광이다. 종로구 가회동에서 태어나 중구 광희동에서 자랐다. 그는 1950년대 장충단공원에서 배트를 휘둘렀다. 애창곡은 고(故) 배호(1942~71년) 씨의 ‘안개 낀 장충단공원’(1967년). 고 김기수(1941~97년) 씨가 장충체육관에서 첫 한국인 세계챔피언으로 오른 날(1966년 6월25일)이 또렷하다. 지긋한 서울내기들에게 남산 턱밑은 성장기의 추억을 상징한다. 송씨가 글러브를 끼고 뛰놀던 맨땅은 2007년 5개월 동안의 공사를 거쳐 인조잔디로 얼굴을 바꿨다.
장충동은 족발로도 유명하다. 누가 원조인지 족발집 주인들도 모른다.
‘뚱뚱이할머니집’ 전숙렬(81) 할머니는 51년째 족발을 삶았다. 평안북도 곽산군에서 1946년 월남했다. “장충동 족발이 왜 맛있느냐”고 물었다. “잘하니까 맛나겄지. 비법이 있으니까 맛나겄지.” 가르쳐달라고 졸랐다. 할머니는 “며느리한테만 살짝 일러줬다”며 웃었다.
‘뚱뚱이할머니집’에서 길을 건너면 태극당(太極堂)이 나온다. ‘菓子 중의 菓子’를 구워 ‘창업 이래 같은 맛과 모양으로 서비스하는 곳’이라고 적혔다. ‘캔듸’라고 쓰인 봉투엔 박하사탕이 가득하다. 오래된 스타일의 빵은 달았다. 1946년 충무로에서 문을 열어 73년 장충동으로 이사 왔다. 사진기자가 디지털카메라를 꺼냈다가 “필름을 빼앗겠다”는 엄포를 들었다. 신문, 방송, 잡지를 타지 않는 게 ‘아흔 넘은 회장님’의 방침이란다.
중구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떡볶이를 빼놓기 어렵다. 신당동에서 ‘마복림할머니집’ ‘아이러브떡볶이’를 고르면 후회 없다. ‘진주회관’(서소문동)은 콩국수, ‘안경할머니집’(황학동)은 곱창이 맛나다. ‘오모가리’(초동)의 김치찌개도 먹어볼 만하다. ‘속초생태집’(북창동)은 생태탕으로, ‘충무로돼지갈비’(충무로3가)는 일본인한테 소문났다. |
# 컬처노믹스,
1971년 도시계획법 개정으로 헐리고 새로 지어진 중구는 다시 헐리고 새로 지어진다. 10군데에서 재개발이, 6군데에서 재건축이 이뤄진다. 1970년대에 왜색을 뺐다면 지금은 하늘을 지향한다. GS건설은 충무로4가에서 지하 7층~지상 32층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 ‘충무로자이’를 짓는다.
중구 쪽 세운상가엔 마천루가 구상된다. 대만 타이베이의 ‘101빌딩’과 두바이의 ‘버즈두바이’가 벤치마크란다. 중구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곳은 신당동 ‘남산타운’으로 138㎡(41평형)가 8억7000만원. 중구의 스카이라인이 바뀌면 ‘집값 지도’도 뒤바뀔 것 같다.
을지로4가에서 30년 동안 조명기구를 팔아온 김승규(51) 씨는 “사람 사는 냄새가 나는 지금의 을지로, 충무로가 좋다. 을지로도 곧 고층빌딩 몫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중구에서 나고 자란 김승환(67) 씨는 “1970년대처럼 모든 걸 깨부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며 웃었다.
지금 충무로에서 영화는 축제다. 9월3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제2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9월3~11일)가 개막했다. 영화의 거리를 다시금 파닥거리게 하고자 지난해 제1회가 열렸다. 올해 개막작은 ‘숨은 요새의 세 악인’(히구치 신지 감독/ 2008년). 개막식 사회는 동갑내기 박중훈(42), 강수연 씨가 맡았다.
중구는 컬처노믹스[culturenomics·문화(culture)+경제(economics)]의 첨병이 되길 소망한다. 과거와 현재가 어울린 쪽빛 미래를 꿈꾼다. 문화의 나라 조선에서 르네상스를 이끈 위항의 중인은 예술가이자 과학자, 기술자였다. 그들은 일제강점기를 버텨내고 또 다른 도약을 예비하는 ‘2008년 9월의 중구’를 어떻게 생각할까?
- 글 : 송홍근 기자 carrot@donga.com - 사진 :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 주간동아, 2008.09.16 653호(p114~122) [新서울견문록 ①] |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식(蘇軾)의 소식(小食) 다이어트 (0) | 2008.09.26 |
---|---|
조선의 화약기술 이야기 (0) | 2008.09.26 |
러시아의 부활 - '차가운 평화시대' (0) | 2008.09.18 |
기후온난화 - 인류의 큰 숙제로 등장 (0) | 2008.09.18 |
"앞쪽형 인간"이 성공한다 (0) | 2008.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