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간토기와 가지무늬 토기
청동기시대의 토기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무문토기(민무늬토기)'를 떠올리게 된다.
그런데 이와는 모양이나 용도가 다른 특수한 토기가 있는데,
바로 무덤에서 주로 출토되는 붉은간토기와 가지무늬토기이다.
붉은 간토기와 가지무늬 토기
붉은간토기는,
아주 고운 점토를 사용하고 표면에는 산화철의 액체를 바르고 매끄러운 도구로 문질러서 구운 토기로,
홍도(紅陶), 단도마연토기(丹塗摩硏土器), 적색마연토기(赤色摩硏土器)라고도 한다.
무문토기(민무늬토기)는 바닥이 편평한데 비해
붉은간토기는 둥근 것이 많고, 또 굽다리(臺脚)를 붙인 것도 있다.
이처럼 모양이 특이하면서 표면은 붉은 빛깔과 광택을 내고 있어
세심한 제작방법과 함께 특수한 용도를 생각하게 한다.
아마도 제사와 같은 의례적인 용도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주거지에서도 출토되지만 주로 무덤의 부장품으로 채택되었던 점 역시 그러한 사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 토기의 기원지는 한반도의 동북지역인 두만강유역에 있다.
이 지역의 영향을 받아 청동기시대의 시작, 즉 민무늬토기의 출현과 더불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청동기시대의 거의 전 시기에 걸쳐 무덤 부장용으로 사용되었다.
가지무늬토기는,
붉은간토기와 비슷한 모양의 그릇 어깨에 마치 가지 모양의 무늬가 있는 것으로
채문토기(彩文土器)라고도 한다.
청동기시대의 토기에 새겨진 무늬는 대부분 새긴 무늬인데 비해,
이것은 토기 소성(燒成)의 마지막 단계에서 가열된 토기의 표면에 유기물질을 붙이거나
목탄막대기 등으로 문지르거나 하여 탄소를 흡착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그 전체적인 모양은 목이 짧고 바닥이 둥근 항아리로서 붉은간토기처럼 다양하지는 않다.
고운 점토를 바탕흙으로 사용하였으며, 표면을 마연하는 수법 등은 붉은간토기와도 유사하다.
그러나 이 토기는 경남 서부지역과 전남 동부지역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붉은간토기에 비해 지역성이 강하다.
용도는 붉은간토기와 마찬가지로 주로 제사와 같은 의례에 사용된 특수용기였으며,
무덤에 따로 부장칸이 마련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붉은간토기와 가지무늬토기는
다른 민무늬토기에 비해 붉은색이나 가지무늬와 같은 눈에 띄는 가시적인 면이 강조되고 있는 점,
주로 의례에 사용되는 점, 무덤에 부장되는 특수 용기라는 점 등에서
현재는 남아 있지 않지만 그 속에 담겼던 내용물도 장송의례와 관련되었을 것이다.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청동기실 학예사 배진성
-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제76회(2008년 2월20일)
'나아가는(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마 - 조선시대 관요와 민요 (0) | 2008.08.05 |
---|---|
돌아오라 차마 말 못하는, 보내는 이여 - "이별(離別)" (0) | 2008.08.04 |
DMZ의 사계 (0) | 2008.08.01 |
수원화성 - 18세기 상품화폐경제의 결정체 (0) | 2008.08.01 |
한창기 - 가장 한국적이면서 가장 세계적인 사람 (0) | 2008.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