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간도 오딧세이]

[간도 오딧세이] 29. 공험진 위치는 두만강 이북 700리

Gijuzzang Dream 2008. 8. 1. 20:22

 

 

 

[간도오딧세이]“공험진 위치는 두만강 이북 700리”

 

 

 

 

 

 

1404년(태종4년) 5월 19일 태종실록에는

‘계품사 김첨이 여진 지역을 조선에서 관할하기를 청하는 글과 지도를 가지고 명에 가다’라는

기사가 실려 있다.

두만강 이북에 선춘령과 고려경이 표시된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전도'


“조사해보건대,

본국의 동북 지방은 공험진으로부터 공주· 길주· 단주· 영주· 웅주· 함주 등 고을이

모두 본국의 땅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요나라 건통 7년(1107년)에 동여진이 난을 일으켜서

함주 이북의 땅을 빼앗아 웅거하고 있었는데,

고려의 예왕 왕우가 요에 고하여 토벌할 것을 청하고 군사를 보내어 회복하였습니다….

성조 홍무21년 2월에 호부의 자문을 받았사온데,

호부시랑 양정 등 관원이 태조 고황제의 성지를 흠봉하기를,

‘철령 이북·이동·이서는 원래 개원의 관할에 속하였으니, 군민을 그대로 요동 관할에 소속시키라’

하였습니다.

본국에서 즉시 상항의 사건으로 인하여 배신 밀직 제학 박의중을 보내어 표문을 받들고

조정에 가서 호소하여 공험진 이북은 요동에 환속하고,

공험진 이남에서 철령까지는 본국에 환속시켜주기를 빌었습니다.

당년 6월 12일에 박의중이 경사에서 돌아와서 예부의 자문을 받아 보니,

본부 상서 이원명 등 관원이 당년 4월 18일에 성지를 흠봉하기를,

‘철령의 일로 인하여 왕국에서 말이 있다’ 하시고,

전과 같이 관리를 정하여 관할해 다스리게 하였습니다.”


고려시대 윤관이 세운 9성 중 하나


태종실록 기사에서 주목해볼 부분은 ‘공험진’이라는 명칭이다.

명나라에서 공험진 이북은 요동에 환속한 반면,

공험진 이남은 조선의 땅으로 인정했다는 것이 이 기사의 요지다.

당시 명은 여진이 차지한 땅을 고스란히 자신의 영토로 삼으려 했다.

이때 태종은 여진족을 직접 다스리려던 명의 의지를 꺾고 공험진 이남의 땅을 조선의 땅으로 인정받았다.

공험진은 고려시대 윤관이 여진족을 무찌르고 개척한 9성 중 가장 북쪽에 위치했다.

윤관은 공험진의 선춘령에 ‘고려지경’(高麗之境)이라는 비를 세웠다.

고려의 땅이라는 경계비를 세운 것이다.

최근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는 공험진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의 지식인들은 우리의 땅이 공험진과 선춘령에 미친다고 생각해왔다.

문제는 공험진이 현재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우리나라 학자들은 공험진이 두만강 이북 700리에 위치해 있다고 주장하고 있고,

중국 학자들은 공험진이 두만강 이남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태종은 하륜에게, 나중에 세종은 김종서에게 이 비석을 찾아볼 것을 명했다.

이 비석이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면 공험진의 위치를 갖고 논쟁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이 비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영조 때 만든 것으로 추정하는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전도'에는

두만강 북쪽에 선춘령과 고려경이라는 표시가 나타나 있다. 당시 영토의식이 반영된 지도다.

고려시대 윤관이 여진족과 싸웠던 것처럼,

또 조선시대 명나라를 상대로 태종이 공험진 이남을 우리 땅이라고 주장했던 것처럼,

아직도 이 지역을 둘러싼 역사적인 논쟁은 끝나지 않았다.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동북공정이 이 논쟁이 아직 종식되지 않았음을 잘 말해주고 있다.
- 2008 09/30   위클리경향 793호 윤호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