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중인들 필운대 · 육각현서 노닐다 | ||||||||
인왕산의 네 구역 가운데
안평대군의 무계정사가 인왕산의 왼쪽 기슭이라면,
필운대와 육각현은 오른쪽 기슭이다.
필운대는 현재 배화여자고등학교 안에 있다.
필운대 정자에서는 대원군 당시 핵심측근이었던 중인들이 시를 지으며 풍류를 즐겼다.
● 권율과 이항복의 집이 필운대
인왕산의 다른 이름은 필운산(弼雲山)이다. 1537년 3월에 명나라 사신 공용경(用卿)이 황태자의 탄생 소식을 알리려고 한양에 들어오자, 중종(中宗)이 그를 경복궁 경회루에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었다. 중종은 그 자리에서 북쪽에 솟은 백악산과 서쪽에 솟은 인왕산을 가리키면서 새로 이름을 지어 달라고 부탁했다. 손님에게 산이나 건물 이름을 새로 지어 달라는 것은 최고의 대접이었기 때문이다.
한양 주산의 이름을 새로 짓게 된 공용경은 도성을 북쪽에서 떠받치고 있는 백악산을 ‘공극산(拱極山)’이라 이름 지었으며, 경복궁 오른쪽에 있는 인왕산은 ‘필운산(弼雲山)’이라고 이름 지었다.
필운산이라고 이름 지은 까닭을 ‘우필운룡(右弼雲龍)’이라고 설명했다. 운룡(雲龍)은 임금의 상징이니 인왕산이 임금을 오른쪽에서 돕고 보살핀다는 뜻이다. 그러나 인왕산이나 북악(백악)이라는 이름이 조선 초부터 널리 알려져 있어 공용경이 지은 이름들은 별로 쓰이지 않았다.
명재상으로 알려진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 1556∼1618)이 살았던 집터에 ‘필운대’라는 이름으로 전할 뿐이다.
순조 때의 실학자인 유본예(柳本藝)는 ‘한경지략(漢京識略)’에서 필운대를 이렇게 소개했다.
(필운대는) 성안 인왕산 밑에 있다. 필운대 밑에 있는 도원수 권율(權慄)의 집이 오성부원군 이항복의 처갓집이므로, 그는 그곳에 살면서 스스로 별호를 필운(弼雲)이라고 하였다. 지금 바위벽에 새겨져 있는 ‘필운대(弼雲臺)’ 석자가 바로 오성부원군의 글씨라고 한다.
필운대 옆에 꽃나무를 많이 심어서, 성안 사람들이 봄날 꽃구경하는 곳으로는 먼저 여기를 꼽는다. 시중 사람들이 술병을 차고 와서 시를 짓느라고 날마다 모여든다. 흔히 여기서 짓는 시를 “필운대 풍월”이라고 한다. 필운대 옆에는 육각현(六角峴)이 있으니, 이곳도 역시 인왕산 기슭이다. 필운대와 함께 유명하다.
종로구 필운동 9번지에는 이항복의 글씨라는 ‘필운대(弼雲臺)’ 석자가 아직도 남아 있다. 지금도 필운대 바위 앞에 서면 경복궁과 백악산을 비롯한 서울의 모든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필운대' 글씨 바로 옆에는 1873년(고종 10)에 이항복의 9대손인 귤산 이유원(橘山 李裕元 · 1814∼1888)이 이곳에 들러 조상을 생각하며 지었던 한시가 이유원의 자랑인 예서(隸書)로 새겨져 있다. 이 해는 최익현의 상소로 대원군이 물러나고 이유원이 영의정에 임명된 해인데, 날짜가 없다.
한편, 암벽 왼쪽의 '弼雲臺' 글씨는 누구의 것인지 미상이나 이항복의 글씨라기 보다는 이유원의 글씨로 추정된다.
我祖舊居後裔尋 (아조구거후예심 ) 蒼松石壁白雲深 (창송석벽백운심) 遺風不盡百年久 (유풍부진백년구) 父老衣冠古亦今 (부로의관고역금) 癸酉 月城 李裕元 題白沙先生弼雲臺 (계유월성이유원제백사선생필운대) 조상님 예전 사시던 곳에 후손이 찾아오니 푸른 소나무와 바위벽에 흰구름만 깊었구나. 백년의 오랜 세월이 흘렀건만 유풍(遺風)은 가시지 않아 부로(父老)들의 차림새는 예나 지금이나 같아라.
● 가객 박효관 영의정과 교류
'필운대' 세 글자, 옆으로 귤산 이유원의 시구가 예서로, 그 옆 바위에는 동추(同樞) 박효관(朴孝寬, 1800∼1881무렵) 등 10명의 인명이 새겨져 있는데, 이유원과 관련된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계유감동(癸酉監董)’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옆에 박효관을 비롯한 일행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보면, 이유원 일행과 함께 이곳에 와서 풍류를 즐기며 한시를 바위에 새기는 일을 돌봐주었던 듯하다.
위항의 가객이었던 박효관은 필운대에 운애산방(雲崖山房)을 마련해 노래 부르며 제자들을 가르쳤다.
이유원도 시조에 관심이 깊어 당시 대표적인 시조 45수를 칠언절구의 한시로 번역했다. 20종 이상의 시조집을 조사하여 45수를 뽑아내고 한시로 번역해 감상할 정도로 조예가 깊었으므로 위항의 가객들과도 친하게 지냈던 것이다.
그는 또한 악부(樂府)에도 관심이 많아, 칠언절구 100수의 연작시로 ‘해동악부(海東樂府)’도 지었다. (박효관의 운애산방을 중심으로 필운대에 모였던 가객들의 이야기는 다음 기회에 설명하기로 한다.)
● 정선과 위항시인 칠송정서 풍류
인왕산에 오래 살았던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敾 · 1676∼1759)은 인왕산을 여러 각도에서 여러 모습으로 그렸다.
그는 1676년 1월3일에 한성부 북부 순화방 유란동(幽蘭洞)에서 태어났다. 지금 종로구 청운동 경기상고 부근에 있던 동네이다. 그런 인연으로 젊은 시절에는 난곡(蘭谷)이라는 호를 썼다.
청운동 일대에는 장동 김씨들이 살았는데, 영의정 김수항(金壽恒 · 1629∼1689)의 아들 6형제가 다방면에 이름나 6창(昌)이라고 불렸다. 정선은 그 가운데 셋째인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 1653∼1722)에게 글을 배웠다. 김창흡은 성리학뿐만 아니라 불교와 도교, 제자백가와 시문(詩文) · 서화(書畵)에 달통한 학자였다. 정선이 7세였던 1682년에 북악산 남쪽에 낙송루(洛誦樓)를 짓고 글을 읽으며 제자들을 가르쳤다.
정선이 육각현을 바라보며 그린 그림이 전하는데, 후배 조영석이 “농은당에서 육강현을 바라보았다.”고 썼다. 육강현은 육각현을 소리나는 대로 쓴 듯하고, 농은당은 김창흡의 형인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 1651∼1708)의 집일 가능성이 있지만, 확인할 수 없다.
왼쪽에 크게 그려진 집이 바로 농은당이고, 언덕 너머 솔숲 사이의 큰 바위가 필운대, 그 너머 고개가 바로 육각현이다.
송석원시사 동인 박윤묵이 장혼의 집에 들렸다가 주인이 없어 육각현에 올라가 지은 칠언율시가 전한다. 육각현 위에 세운 칠송정(七松亭)이라는 정자가 바로 위항시인들의 모임터였다.
● 중인, 대원군을 움직이다
칠송처사 정훈서의 소유였던 칠송정에는 송석원시사의 선배인 정내교(鄭來僑 · 1681∼1759) 때부터 위항시인들이 모여 시를 지었다. 한동안 버려져 폐허가 되었다가 1840년대에 위항시인 지석관이 수리하여 다시 옛모습을 찾았다.
박기열 · 조경식 · 김희령 등이 칠송정과 일섭원에 모였는데, 이 무렵에는 서원시사(西園詩社)라고 불렸다.
육각현, 칠송정이 장안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대원군이 권력을 잡은 뒤부터이다. 대원군은 안동김씨를 비롯한 당시의 권력층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아전들에게 많은 권한을 주었으며, 수많은 중인 서리들이 그의 사조직으로 흡수되었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천하장안’으로 불렸던 천희연 · 하정일 · 장순규 · 안필주 네 사람이었다.
개화파 지식인 박제경(朴齊絅)은 ‘근세조선정감(近世朝鮮政鑑)’에서 그 실태를 이렇게 기록했다.
형조의 책임을 맡은 아전에는 오도영을, 호조의 책임을 맡은 아전에는 김완조와 김석준을, 병조에는 박봉래를, 이조에는 이계환을, 예조에는 장신영을, 의정부 팔도의 책임을 맡은 아전에는 윤광석을 뽑아서 맡겼다. 이들은 모두 대대로 아전 일을 보았던 집안의 후손들이어서 전례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일을 당하면 곧바로 판단하여 처리하였다. 대원군이 하나같이 그들의 말을 따랐다.
박제경은 대원군의 아전 정치를 비판적으로 기록했지만, 이 책에 평을 덧붙인 위항시인 차산(此山) 배전(裵琠)은 그들의 능력을 인정했다. 특히 이들 가운데 위항시인으로 이름난 여러 명의 행정능력을 이렇게 칭찬했다.
운현궁에서 신임하는 자들을 보면 모두가 민간의 기이한 재주꾼들이다. 윤광석 · 오도영 · 장신영 등은 글재주를 사랑할 만하고, 기억력도 놀랍게 총명하였다. 무리 가운데 뛰어나게 민첩하여, 사리를 훤하게 통달하였다.
이들 가운데 오도영과 장신영이 육각현 칠송정시사에 드나들며 시를 지었다. 경복궁을 중건하는 대사업을 벌이던 대원군은 위항시인들의 시사를 격려하기 위해 칠송정을 수리해 주었다.
대원군은 박효관 · 안민영 등 가객들과도 친해 함께 어울리며 풍류를 즐겼는데, 박효관이 위항시인들보다 더 총애를 받자 칠송정시사의 중심인물이었던 오횡묵(吳宖默 · 1834∼?)이 백운동에 집을 짓고 모임터를 옮겼다. 지금의 청운초등학교 뒷골목이 바로 백운동 골짜기였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2-20
|
'지켜(연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인왕산은 중인들의 터전 (0) | 2008.03.17 |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안평대군의 비해당과 무계정사 (0) | 2008.03.17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필운대의 풍월 (0) | 2008.03.17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임준원 - 빈자 도와준 호걸 (0) | 2008.03.17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국수(國手) 유찬홍 (0) | 2008.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