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필운대의 풍월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8

 

(9) 필운대 풍월과 꽃구경

 
‘장안의 명승´에 사람들 모이다
 

조선시대의 체제와 제도를 명문화 한 ‘경국대전(經國大典)’ 한품서용조(限品敍用條)에 의하면

“문무관 2품이상 관원의 양첩 자손은, 정3품까지의 관직에 허용한다.”고 하였으며

“7품 이하의 관원과 관직이 없는 자의 양첩 자손은, 정 5품까지의 관직에 한정한다.”고 규정했다. 

 

 

필운대(弼雲臺)

영조 26년(1750)경, 종이에  엷은채색
29.5 x 33.7 cm. <장동팔경첩> 간송미술관 소장
 

 

양첩 자손은 그나마 한정된 벼슬에라도 오를 기회가 있었지만, 천첩 자손은 벼슬할 기회가 없었다.

뛰어난 서얼 지식인들이 늘어나자,

정조는 서얼금고법에 해당되지 않도록 검서관(檢書官)이라는 잡직(雜織) 관원을 뽑았다.

규장각을 설치한 뒤에, 서적을 검토하고 필사하는 임무를 맡긴 것이다.

정무직이 아니어서 기득권층의 반대도 없었고,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서얼 학자들의 불만을 달래주는 효과도 있었다.

 

1779년에 임명된 초대 검서관은 이덕무 · 유득공 · 박제가 · 서이수 네사람이었다.

당대에 가장 명망있는 서얼 출신의 이 네학자를 4검서라고 불렀다.

 

유득공은 조선의 문물과 민속을 기록한 ‘경도잡지(京都雜志)’ 2권1책을 지었으며,

대를 이어 검서로 활동했던 그의 아들 유본예가

부자편이라고 할 수 있는 2권2책의 ‘한경지략(漢京識略)’을 지었다.

바로 서울의 문화와 역사, 지리를 설명한 책이다.

이들 부자는 필운대 꽃구경을 서울의 명승 가운데 하나로 꼽았다.

 

유득공은 ‘경도잡지’ 유상(遊賞)조에서

“필운대의 살구꽃, 북둔(北屯)의 복사꽃, 동대문 밖의 버들, (무악산) 천연정의 연꽃,

삼청동과 탕춘대의 수석(水石)을 찾아 시인 묵객들이 많이 모여들었다.”고 기록하였다.

대부분이 인왕산 일대이다.

 

유본예는 ‘한경지략(漢京識略)’ 명승조에서 이렇게 소개하였다.

“필운대 옆에 꽃나무를 많이 심어, 성 안 사람들이 봄날 꽃구경하는 곳으로는 먼저 여기를 꼽는다.

시중 사람들이 술병을 차고 와서 시를 짓느라고 날마다 모여든다.

흔히 여기서 짓는 시를 ‘필운대 풍월’이라고 한다.”

 

유득공이 어느 봄날 필운대에 올라 살구꽃 구경을 하다 시를 지었다.

 

살구꽃이 피어 한껏 바빠졌으니

육각봉 어구에서 또 한차례 술잔을 잡네.

날이 맑아 아지랑이 산등성이에 아른대고

새벽바람 불자 버들꽃이 궁궐 담에 자욱하구나.

새해 들어 시 짓는 일을 필운대에서 시작하니

이곳의 번화함이 장안에서 으뜸이라.

아스라한 봄날 도성 사람바다 속에서

희끗한 흰머리로 반악을 흉내내네.

 

 

유득공은 역시 검서였던 친구 박제가와 늦은 봄이면 필운대에 올라 꽃구경을 했는데,

흐드러지게 핀 살구꽃이 일품이었다. 육각현에서 술 한잔 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

시인은 그렇게 새해를 시작하고, 또 한 해를 보내며 늙어갔다.

 

 

 

정조도 필운풍류에 취하다

 

한세대 앞선 시인 신광수는 도화동에서 복사꽃을 구경하고 돌아오는 길에

필운대에 올라 살구꽃을 구경했다.

 

“필운대 꽃구경이 장안의 으뜸이라.(雲臺花事壓城中)” 

“삼십년 전 봄 구경하던 곳을/ 다시 찾은 오늘은 백발 노인일세.

(三十年前春望處,再來今是白頭翁)”라고 끝을 맺었다.

 

반악은 진(晉)나라 때의 미남 시인인데, 그도 나이가 들자 흰머리가 생겼다.

자신은 서얼 출신이라 벼슬 한번 못하고 늙었지만,

반악 같이 잘 생기고 재주가 뛰어난 시인도 나이 들자 흰머리가 생기지 않았느냐고

우스갯소리를 한 것이다.

 

민족문화추진회에서 번역하거나 편집하여 간행한 고전들은 모두 검색이 가능하다.

한글로 번역한 책에서 ‘필운대’ 제목을 찾으면

연암 박지원이 지은 시 2편과 이덕무가 지은 시 1편만 나온다.

제목은 아니지만 필운대를 노래한 시는 다산 정약용과 정조대왕의 작품이 더 있다.

모두 유득공 부자가 필운대 꽃구경을 장안의 명승으로 소개한 정조-순조 시대 인물들이다.

이 당시에 필운대 꽃구경이 서울 장안에서 가장 이름난 유흥지였음이 확인된다.

 

정조가 필운대 꽃구경 시를 지었다는 사실은 특이하다.

 

백단령 차려 입은 사람은 모두 시 짓는 친구들이고

푸른 깃발 비스듬히 걸린 집은 바로 술집일세.

혼자 주렴 내리고 글 읽는 이는 누구 아들인가

동궁에서 내일 아침에 또 조서를 내려야겠네.

 

‘필운화류(弼雲花柳)’라는 제목의 시 앞부분은

다른 시들과 같이 필운대의 번화한 꽃구경 인파를 노래했다.

 

뒷부분에선 그 가운데 시인과 독서인을 찾아내고,

장안 사람들이 모두 꽃구경하는 속에서 글 읽는 젊은이에게 벼슬을 주어야겠다는

왕자의 생각을 밝혔다.

물론 이 시를 글자 그대로 해석할 수는 없겠지만, 왕자다운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민족문화추진회에서 번역하지 않아 원문 검색만 가능한 문집 가운데는

위항시인들이 지은 시도 많다. 게다가 문집을 간행하지 못한 위항인들의 시까지 합쳐

60년마다 편집한 ‘소대풍요(昭代風謠)’나 ‘풍요속선(風謠續選)’  ‘풍요삼선(風謠三選)’에는

엄청난 양의 필운대 시가 실려 있다.

 

 

 

젊은 시절부터 늙을 때까지 해마다 수천명이 필운대에 올라 꽃구경하며 시를 짓기에

분량은 많아졌지만, 해마다 같은 내용일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필운대 풍월’이란 말 속에는 천박한 풍월, 판박이 시라는 뜻이 담겨 있다.

 

 

영의정 채제공의 화원 구경기

 

이 시대에 필운대풍월뿐만 아니라, 꽃구경을 하고 산문으로 기록하는 유행도 있었다.

 

영의정까지 지낸 채제공(蔡濟恭 · 1720∼1799)이

도성 안팎의 화원에 노닐며 지은 글이 여러편 있다.

필운대 부근의 조씨 화원을 감상하고 ‘조원기(曹園記)’를 지었다.

주인 조씨의 이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심경호 교수는 “조하망(曹夏望)의 후손이었던 듯하다.”고 추측하였다.

 

계묘년(1783) 3월10일, 목유선과 필운대에서 꽃구경하기로 약속하였다.

저녁밥을 다 먹고 나서 가마를 타고 갔더니 목유선이 아직 오지 않았기에,

필운대 앞 바위에 자리를 깔고 묵묵히 앉아 있었다.

얼마 있다가 목유선이 이정운과 심규를 이끌고, 종자에게 술병을 들게 하여

사직단 뒤쪽으로 솔숲을 뚫고 왔다.

 

처음에는 필운대 꽃구경을 하기로 약속하고 모였다.

그러나 인파가 몰려 산속이 마치 큰 길거리 같이 번잡해지자, 채제공은 곧 싫증이 났다.

동쪽을 내려다보자 서너곳 활터에 소나무가 나란히 늘어서 있고,

동산 안의 꽃나무 가지끝이 은은히 담장 밖으로 나와 있어서 호기심이 일어났다.

 

목유선에게 “저기는 반드시 무언가 있을 거야. 가보지 않겠나?”고 물었다.

작은 골목을 따라 들어가자 널빤지 문이 열려 있었다.

점잖은 손님들이 꽃구경을 하겠다고 들어서자 주인이 집 뒷동산으로 인도하였다.

 

화원에는 돌층계가 여덟개쯤 깔려 있었는데,

붉은 꽃 · 자주 꽃 · 노란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어서 정신이 어지러울 정도였다.

유항주 · 윤상동 같은 관원들도 꽃구경하러 왔다가

채제공이 조씨네 화원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따라와서

술잔을 돌리고 꽃을 평품하며 시를 지어 즐기느라고 달이 동쪽에 뜬 것도 몰랐다.

 

이듬해 윤3월13일에도 채제공은 친지들과 함께 가마를 타고

육각현 아래 조씨네 화원에 찾아가 꽃구경을 했다.

석은당에 앉아 거문고를 무릎 위에 눕히고 채발을 뽑아 서너 줄을 튕겨 보았다.

곡조는 이루지 못했지만 그윽한 소리가 나서 정신이 상쾌해졌다.

 

얼마 뒤에 조카 채홍리가 퉁소 부는 악사를 데리고 와서 한두곡을 부르게 하자, 술맛이 절로 났다. 채제공은 소나무에 기대어 앉아, 퉁소 소리에 맞춰 노래하였다.

 

“아양 떠는 자는 사랑받고, 정직한 자는 미움을 사는구나.

수레와 말이 달리는 것은 꽃 때문이지

소나무야 소나무야. 누가 너를 돌아보랴?”

 

모두들 맘껏 흥겹게 놀다가 흩어졌다.

채제공은 북저동 명승에 노닐고 ‘유북저동기(遊北渚洞記)’를 지었다.

 

“도성의 인사들이 달관(達官 · 높은 벼슬아치)에서 위항인에 이르기까지

노닐며 꽃구경을 했다. ... (줄임) ...

국가의 백년 승평(昇平)의 기상이 모두 여기에 있다.”

 

 

위항인들의 경제력이 사대부 같이 되자, 유흥문화도 함께 즐겼다는 뜻이다.

(화원 이야기는 심경호 교수가 쓴 논문 ‘화원에서 얻은 단상-조선후기의 화원기’를 많이 참조했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