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국수(國手) 유찬홍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7

 

 

 (11) 신분의 벽 못 넘은 國手 유찬홍  

 
인왕산에 살면서 위항시인과 가난한 이웃들을 도와주던 임준원의 집에서
가장 오래 얹혀 살았던 시인은 홍세태(洪世泰)와 유찬홍(庾纘洪)이다.
홍세태의 제자 정내교는 스승이 임준원의 집에 얹혀 살았던 이야기를
‘임준원전’에서 이렇게 기록했다.
 
유공(유찬홍)의 호는 춘곡(春谷)인데, 바둑을 잘 두었다.
홍공(홍세태)의 호는 창랑(滄浪)인데, 시를 잘 지었다.
이 두 사람의 명성이 모두 당시에 으뜸이었다.
유공은 술을 좋아했는데, 한꺼번에 몇말씩 마셨다.
홍공은 집이 가난해서 양식거리도 없었다.

준원은 유공을 자기 집에 머물게 한 뒤 좋은 술을 마련해두고 양껏 마시게 했다.

또한 홍공에게는 여러 차례 재물을 주선해주어

양식이 떨어지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해주었다.

 

유찬홍은 초기의 국수(國手)로 알려진 전문기사이다.

홍세태는 조선통신사를 따라 일본까지 가서 이름을 널리 알렸던 역관(譯官) 시인이다.

유찬홍(1628∼1697)이 먼저 세상을 떠나자

가장 가깝게 지낸 홍세태(1653∼1725)가 전기를 지어 주었다.

 

 

 

 

유찬홍은 9세에 병자호란을 만나 강화도로 피란갔다가 포로가 되어

청나라까지 종으로 붙잡혀 갔다. 집안사람이 돈을 주고 사온 기구한 운명의 인물이다.

 

홍세태는 전기 첫줄부터 유찬홍의 암기력을 칭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암기력 뛰어난 천재… 훈장에 매 맞으면서도 바둑 몰두

 

유술부(庾述夫)의 이름은 찬홍, 고려 태사 금필(黔弼)의 후손이다.

이웃에 서당 훈장이 있었는데, 학생 수십명이 모였다.

술부도 그곳에 가서 글을 배웠는데, 총명하고 빼어나서 외우기를 잘했다.

여러 학생들이 반을 나누어 과업을 받고 상벌(賞罰)을 계획 세운 뒤,

훈장이 여러 학생들에게 말했다.

“내일 아침에 ‘이소경(離騷經)’을 외우는 학생이 있으면 상을 주겠다.”

 

술부는 집으로 돌아와 ‘초사(楚辭)’를 찾아 옆에다 끼고,

학사 정두경(鄭斗卿)의 집을 찾아가 문지기에게 말했다.

“들어가서 공을 뵙고 ‘유찬홍이란 자가 ‘초사’를 배우고 싶어 왔다고 전하소.”

 

정공은 평소에 약속하지 않고 만나는 것을 몹시 꺼렸는데,

이때 만나서도 매우 간단히 가르쳐줬다. 술부는 곧 돌아와서 ‘이소경’을 읽었다.

 

날이 밝자 학생들이 모두 모였다.

술부도 소매에서 ‘초사’를 꺼내들고 훈장 앞에 나아가 돌아앉아 외웠다.

한 글자도 틀리지 않자 훈장이 크게 놀랐다.

술부는 자기의 재주를 스스로 믿고 다시는 공부에 힘쓰지 않았다.

 

‘초사’는 글자 그대로 초나라 풍의 노래를 모은 책.

굴원(屈原)의 글 25편을 중심으로 제자 송옥(宋玉)의 글 등 몇편이 더 실려 있다.

‘이소경’은 그 첫번째 노래이다.

경(經)이라는 글자가 붙을 정도로 시인들에게 존중받으면서도 까다롭기로 이름난 글이다.

훈장은 어린이들이 해결할 수 없는 숙제를 내준 셈.

 

유찬홍은 겁도 없이 당대 최고의 시인이었던 정두경을 찾아가 숙제를 풀어 달라고 했다.

다른 아이들은 뜻도 모르고 그저 외우려 애썼지만,

유찬홍은 뜻을 알아야 외우기 쉽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유찬홍은 그 이후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다.

자기 신분의 한계를 이미 알았던 것이다.

 

정내교는 유찬홍이 국수가 된 과정을 이렇게 기록했다.

 

이따금 바둑 두는 사람을 따라 노닐며 그 솜씨를 다 배웠다.

아침에 강할 때마다 훈장은 목찰로 그의 오른쪽 손가락을 치면서,

“너에게 글 읽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이 놈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바둑 두기를 좋아하는 그의 버릇은 더욱 심해져서,

바둑 잘 두는 사람들과 겨루더라도 감히 그를 당해낼 자가 없었다.

일시에 국수로 치켜세워졌다.

 

 

당시만 해도 전문적인 기사라든가 교육기관이 없었다.

‘이따금 바둑 두는 사람을 따라 노닐며’ 배웠다.

그가 공부하지 않는다고 훈장에게 매 맞으면서도 바둑 배우기에 힘쓴 것을 보면

10대 초반이었을 것이다. 당시 국수를 인정하는 제도가 따로 없어,

자타가 최고라고 인정하는 사람을 이기면 하루아침에 역시 최고가 되었다.

 

정내교는 어떤 사람의 평을 빌려

“신기(神棋)로 이름난 덕원군(德源君)이 늙게 돼서야 윤홍임(尹弘任)이 겨우 이겼는데,

술부는 (소년 후배로서) 한창 강성한 때의 홍임을 압도했다.

술부야말로 덕원군의 맞수이다.”라고 했다.

 

바둑천재로 불렸던 이창호가 9세에 조훈현의 제자로 바둑계에 입문해

20세에 국수위를 스승으로부터 쟁취해 정상의 자리를 차지한 것과 같다고나 할까.

 

유찬홍이 술을 잘 마시고 바둑까지 잘 두자 사대부와 고관들이 그를 불러 함께 놀았다.

‘다투어 윗자리에 불러 바둑 두는 것을 보려고 해 그저 보내는 날이 없을’ 정도였다.

그가 바둑돌을 하나 놓으면 사람들이 옆에 울타리같이 둘러서 구경했다.

인기가 높아지자 더욱 거만해지고 술만 취했다 하면 함께 있던 사람들에게 욕을 퍼부어,

세상으로부터 버림받았다.

 

위항시인들의 모임에서만 그를 환영했다.

그럴수록 술을 더욱 즐겨, 집안사람과 살림도 돌보지 않았다.

술이 떨어지면 이따금 남의 집까지 들어가 술을 뒤져 마셨다.

술에 취하면 아무데나 앉아서 노래를 불렀다.

하루는 술에 취해 이웃 여자의 집에 들어갔다가 소송당하는 바람에 남한산성으로 귀양갔다.

 

홍세태는 ‘유찬홍전’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그는 재주를 지녔지만 쓰일 곳이 없었으므로,

그 울적하고 불평스러운 기운을 모두 바둑과 술에 내맡겼다. ... (줄임) ...

당세에 쓰였더라면 어찌 남들보다 못했으랴만, 가난하고 천한 생활로 괴로워하다가

끝내 떨치지 못하고 죽었다. 아아! 슬프다. ... (줄임) ...

술부로 하여금 자기가 전업했던 바둑을 바꾸어 원대한 사업에 힘쓰게 했더라면

볼 만했을 것이다. 어찌 이에서 그쳤을 뿐이겠는가?

 

 

바둑만 두고도 먹고 사는 세상 오다

 

정내교는 천재 유찬홍이 신분의 굴레를 뛰어넘지 못해

과거시험도 못보고 바둑이나 두며 살았던 것을 아쉬워했다.

바둑만 두고도 먹고 살 수 있는 세상이 될 것은 생각지 못했다.

그 전까지는 바둑을 하찮은 재주로 여기거나 심심풀이로 생각했다.

아무리 잘 두어도 ‘동네바둑’으로나 여겼다고 할까.

 

유찬홍 이후부터 국수로 인정받는 전문기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바둑은 병법이나 학문과도 관련돼 사대부들이 즐겼지만, 바둑을 소재로 쓴 글은 많지 않다.

기보(棋譜)가 별로 남아 있지 않고, 바둑을 소재로 한 글도 많지 않으며,

전문기사를 주인공으로 한 전기도 몇편 되지 않는다.

 

김윤조 교수는 ‘조선후기 바둑의 유행과 그 문학적 형상’이라는 논문에서

순조(純祖)의 장인으로 대제학까지 지낸 김조순(金祖淳 · 1765∼1832)의 예를 들어

바둑이 얼마나 유행했는지를 소개했다.

 

수원유수(종 2품)로 부임했던 그의 종숙부 김이도는

1813년 3월12일 공무를 처리하고 밤중까지 손님과 바둑을 두다가

바둑판을 밀쳐두고 잠자리에 들었으나 다시는 일어나지 못했다.

 

김조순 자신은 1819년 동짓달 하순에

‘기자(者) 김한흥(金漢興), 가자(歌者) 군빈(君賓), 금자(琴者) 익대(益大)’와

사냥꾼 한 사람을 데리고 봉원사로 놀러갔다. 그들을 ‘절기(絶技)’라고 불렀는데,

전문기사가 풍류를 즐기기 위해 동원되는 연예인이자 한시도 떨어져 있기 힘든 관계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801년부터 6년 동안 경상도 기장에 유배되었던 심노숭은

‘기장 고을에서 서울의 어느 귀인(貴人)에게 1년에 1000벌 이상의 바둑돌을 바친다.’고 기록했다.

심노숭은 그 부당성을 고발한 것이지만, 바둑 열기가 무척 뜨거웠음을 반증한 것이기도 하다.

 

유찬홍보다 선배였던 삭낭자(索囊子)는

상대가 고수건 하수건 한점만 이기는 삭낭자기법으로 손님을 끌어들여 먹고 살았다.

반면 유찬홍 이후의 국수들은 많은 상금으로 생활을 보장받았다.

 

보성 출신의 정운창(鄭運昌)은 국수 김종기를 꺾으러 평양까지 걸어가

사흘을 문밖에서 버티며 도전했다가 이겨, 순찰사에게 은 20냥을 상으로 받았다.

어느 정승은 그에게 상화지(霜華紙) 200장을 상금으로 걸기도 했다.

 

그러나 국수 유찬홍은 끝내 만족하지 못하고 술을 마셨으며, 시를 지어 울분을 토했다.

 

한강 물로 술 못을 삼아

마음껏 고래같이 마셔봐야지.

그런 뒤에야 내 일이 끝나리니

죽어버리면 곧바로 달게 잠들 테지.

그대들도 보았겠지. 이 뜬 세상을

만사가 한바탕 꿈이란 것을.

 

그는 죽어야 신분 차별이 끝나는 중인이었기에, 술 마시지 않고는 배길 수가 없었다.

부귀를 맘껏 누렸던 사대부들은 늘그막에 ‘만사는 일장춘몽’임을 느꼈지만,

그는 차별받는 이 세상이 차라리 ‘한바탕 꿈’이기를 바랬다.

국수가 돼서도 벽을 넘지 못했던 17세기 중인 지식인의 한 모습이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