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인왕산은 중인들의 터전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8

 

 

 (6) 인왕산은 중인들의 터전  

 
위항(委巷)은 꼬불꼬불한 거리나 골목, 사람들이 많이 사는 동네를 가리킨다.
양반들은 넓은 집에 살았으므로, 좁은 골목에 모여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중인 이하였다.
 
한양을 남촌과 북촌으로 나누면 그 중간지대인 청계천 일대가 위항이었으며,
좁은 집들이 모여 있던 누상동(樓上洞) 누하동(樓下洞)을 중심으로 한 인왕산 일대도
위항이었다.
 
청계천 일대에는 역관이나 의원으로부터 상인에 이르기까지
재산이 넉넉한 중인들이 살았으며,
인왕산 언저리는 위항인 가운데 주로 서리나 아전들이 많이 살았다.
 

겸재 정선의 ‘장동팔경첩’ 가운데 하나인 수성동.

인왕산을 오르는 주요 등산로 가운데 하나여서,

세 선비와 동자가 산을 오르고 있다.

 

 

왕기 서린 인왕산

 

서울의 물길은 백악산과 인왕산 사이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흐르는데,

도성 한가운데를 흐르는 이 물을 개천(開川)이라고 하였다.

백악의 남쪽, 인왕산의 동쪽 명당에 궁궐을 지었다.

 

조선시대 한양의 주민들은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종로를 경계로 하여 살았다.

왕족과 양반 관료들은 경복궁과 창덕궁을 연결하는 직선 이북의 지역,

지금의 율곡로 양쪽 일대에 모여 살았다.

즉 계동 · 가회동 · 원서동 · 안국동 등의 북촌이 그들의 거주지역이었다.

 

조선왕조의 정궁인 경복궁의 주산은 백악(白岳 · 北岳)이다.

백악의 좌청룡인 동쪽의 낙산은 밋밋하고 얕은 지세인데,

우백호인 서쪽의 인왕산은 높고도 우람하다.

 

인왕산의 주봉은 둥글넓적하면서도 남산같이 부드럽거나 단조롭지 않으며,

북악처럼 빼어나지도 않다. 그러면서도 남성적이다.

그래서 한양에 도읍을 정할 무렵에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자는 의논도 있었다.

 

이는 전설이 돼 민중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전해온 듯하다.

실제로 임진왜란을 겪고 나자 인왕산에 왕기가 있다는 소문이 다시 퍼져,

광해군 시대에 인왕산 기슭에다 경희궁(慶熙宮)을 세웠으며,

자수궁(慈壽宮)이나 인경궁(仁慶宮)도 세웠다.

실제로 이 부근에서 살았던 능양군(綾陽君)이 반정(反正)을 일으켜

광해군을 내몰고 왕위에 올라 인조(仁祖)가 되었으니, 인왕산 왕기설이 입증된 셈이다.

 

 

장안의 명승지 인왕산

 

인왕산에는 왕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경치도 좋았다.

서울의 명승지로는 반드시 인왕산이 꼽혔다.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의 국도팔영(國都八詠)에는

필운대(弼雲臺) · 청풍계(淸風溪) · 반송지(盤松池) · 세검정(洗劍亭)을 포함했다.

인왕산 자락의 명승지가 서울 명승지의 절반을 차지한 셈이다.

 

서울의 5대 명승지 가운데 인왕동과 백운동이 모두 인왕산에 있었다.

장안에서 멀리 떨어진 것이 아니라 도심 가까이 있으니,

성안 사람들에게 환영받을 만한 명승지였다.

서울 시내에서 인왕산을 보면 앞 모습만 보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 모습을 인왕산의 전부로 알고 있다.

 

실제로 조선시대에는 이 부분에만 집과 관청이 들어섰고 사람이 살았으며, 역사가 이뤄졌다.

골짜기를 따라 여러 개의 마을이 생겼는데,

강희언(姜熙彦 · 1710∼1764)의 그림 <인왕산도>에 그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그 뒤 몇개씩 합해져서 지금의 법정동이 되었으며,

몇개의 법정동이 합해져서 다시 행정동이 되었다.

사직동부터 체부동을 거쳐 필운동 · 누상동 · 누하동 · 옥인동 · 효자동 · 신교동 · 창성동 · 통인동

· 통의동 · 청운동 · 부암동까지가 경복궁에서 볼 수 있는 인왕산의 동네들이다.

인왕산에는 약수터도 많아서 조선시대만이 아니라 광복 이후에도 서울 사람들이 자주 찾아갔다.

그러나 1968년 1월21일 북한 특수군의 청와대 습격사건 이후

군부대가 주둔하며 일반인들에게 출입이 통제되었다.

그러다가 입산통제 25년 만인 1993년 2월25일부터 출입이 자유로워져,

서울시민들에게 등산로가 다시 개방되었다.

 

인왕산은 338m의 높지 않은 산이지만,

등산로가 14곳이나 되며, 서울시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인왕산의 네 구역

 

인왕산은 경치가 좋은 명승지면서 경복궁에서 가까운 주택지이기도 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경복궁 건물이 모두 불타버려 폐허가 되기는 했지만,

양반과 중인들이 대대로 터를 물려가며 살았다.

그런데 명승지라는 이름에 비해, 이름난 정자들은 많지 않았다.

임금이 사는 경복궁이 너무 가까운 데다, 높은 곳에서 궁궐을 내려다보며 놀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요즘도 이 일대에 건물을 지으려면 고도제한이 있다.

그래서 인왕산에 지어진 집들은 시대마다 그 구역이 달랐다.

 

경복궁이 정궁이었던 조선 초기에는 경복궁 옆동네에 관청만 있었고, 주택들은 많지 않았다.

안평대군의 별장인 무계정사가 인왕산에 있었지만, 경복궁이 내려다 보이지 않는 옆자락이었다.

그의 살림집은 시냇물 소리가 들린다는 뜻의 수성동(水聲洞) 기린교(麒麟橋) 부근에 따로 있었다.

수성동은 옥인아파트 자리라고 추정되는데,

1960년대에 아파트 공사를 하면서 기린교를 없앴다고 김영상 선생이 증언하였다.

 

장동 김씨들이 모여 살았던 청풍계(지금의 청운동)나

위항시인들이 모여 활동했던 옥류동(지금의 옥인동)은 조선 후기에 와서야 활기를 띠었다.

 

임진왜란 중에 경복궁이 불타버려 오랫동안 폐허가 되자,

높은 곳에 집을 지어도 별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경아전들이 관아와 거리가 가까운 인왕산 중턱에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인왕산은 구역과 높이에 따라

고관들의 호화주택이나 별장, 위항인들의 초가집들이 섞이게 되었다.

 

6·25 전까지만 해도 누상동이나 누하동, 필운동 일대에는 초가집들이 듬성듬성 섞여 있었다.

 

다음 회에는 인왕산을 크게 네 구역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안평대군과 무계정사,

안동 김씨와 청풍계,

김수항의 청휘각과 송석원,

필운대와 육각현 순으로 살펴본다.

 

 

■ 역사기록이 전하는 인왕산

 

인왕산은 역사 기록에서만 보더라도 명산으로 꼽을 만하다.

 

조선시대 차천로(車天輅 · 1556∼1615)는 ‘오산설림(五山說林)’에서

인왕산에 대해 이렇게 기록했다.

 

무학(無學)이 점을 쳐서 (도읍을) 한양(漢陽)으로 정하고,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자고 하였다.

그러고는 백악과 남산을 좌청룡과 우백호로 삼자고 하였다.

그러나 개국공신인 정도전이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면서,

“옛날부터 제왕이 모두 남쪽을 향하고 다스렸지, 동쪽을 향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자 무학이

“지금 내 말대로 하지 않으면 200년 뒤에 가서 내 말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고 답했다.

 

이는 후에 인조반정으로 현재화된다.

 

 

또한 성현(成俔 · 1439∼1504)은 ‘용재총화(齋叢話)’에서 인왕산의 경치를 자랑했다.

 

한성 도성 안에 경치 좋은 곳이 적은데, 그중 놀 만한 곳으로는 삼청동이 으뜸이고,

인왕동이 그 다음이며, 쌍계동 · 백운동 · 청학동이 또 그 다음이다. ... (줄임) ...

 

인왕동은 인왕산 아래인데, 깊은 골짜기가 비스듬히 길게 뻗어 있다고 말했다.

 

유본해가 서울의 명승지와 동네를 소개하는 ‘한경지략(漢京識略)’에서도 그 사실을 적시했다.

 

수성동은 인왕산 기슭에 있는데, 골짜기가 깊고 그윽하다.

물 맑고 바위도 좋은 경치가 있어서, 더울 때 소풍하기에 가장 좋다.

이 동네는 옛날 비해당(匪懈堂) 안평대군이 살던 집터라고 한다.

개울을 건너는 다리가 있는데, 이름을 기린교라고 한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 서울신문, 2007-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