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지켜(연재자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홍세태의 활약

Gijuzzang Dream 2008. 3. 17. 20:17

 

 

 (13) 홍세태의 활약상  

 
북악산 아래 장동 김씨들이 모여 살았다.
영의정 김수항의 셋째아들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이
1682년에 낙송루(洛誦樓)라는 만남의 공간을 꾸리자
노론 계열의 시인들이 자주 모여 시를 지었다.
 
한 동네에 살았던 홍세태도 이곳에 드나들며
동갑내기 김창흡 · 이규명과 신분을 따지지 않는 친구가 되었다.
세 사람은 낙송루에서 자주 베개를 나란히 하고 누워 함께 잠을 자며 시를 주고받았다.
 
뒷날 이규명이 먼저 세상을 떠나자
홍세태가 그의 시집 발문에서 처음 만나던 시절을 회상하며
“한 마디에 마음이 맞은 것이 마치 돌을 물에 던진 듯하여,
망형지교(忘形之交)를 허락하였다.”고 적었다.
 
여러 살 차이 나는 사람들이 그것을 잊고 친구처럼 사귀는 것이 망년지교(忘年之交)이고,
양반과 중인 · 상민이 신분 차이를 잊고 친구처럼 사귀는 것이 망형지교이다.
 
김창흡과 친구가 된 인연으로 홍세태는
통신사 부사 이언강의 자제군관으로 일본에 갈 수 있었다.
 
 

일본에서 구해온 그림을 낙송루에 걸고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글만 읽고 지은 것이 아니라 글씨도 잘 써야 했고,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은 그림으로 그렸다.

연암이나 다산을 비롯한 실학자들의 그림이 많이 남아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신위(申緯)같이 세 가지를 다 잘하면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이라 칭찬했다.

홍세태가 일본에서 그린 ‘산수도’. 오른쪽 아래 ‘조선창랑’이라는 서명과 낙관이 보인다. 개인 소장. ‘대계 조선통신사’ 제 3권.

 

홍세태는 일본에 가서 그림을 많이 그려주었으며,

일본 화가의 그림을 구해오기도 했다.

눈 내리는 강가에서 노인이 혼자 낚시질하는 그림을

김창흡에게 선물하자,

김창흡은 이 그림을 낙송루에 걸고 화답하는 시를 지었다.

 

홍세태가 그림을 구해 준 뜻을 “자연으로 돌아가 살라.”고

받아들인 것이다.

 

기사환국(1689)에 김수항이 죽자,

김창흡은 결국 영평에 은거하였고 낙송시사는 흩어졌다.

 

몇년 뒤에는 형이 영의정에 올랐건만,

평생 벼슬하지 않고 시와 학문을 즐겼다.

한양에 홀로 남은 홍세태는 임준원의 도움을 받으며,

위항시인들의 모임인 낙사(洛社)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북악에 유하정 짓고 제자들에게 시 가르쳐

 

홍세태는 쉰살쯤 되었을 때

북악산 아래 집을 짓고 유하정(柳下亭)이라는 편액을 걸었다.

 

좌우에 등잔과 책을 놓고 그 사이에서 시를 읊었지만,

살림살이라곤 아무 것도 없어 썰렁하였다.

아내와 자식들이 굶주렸지만 그는 마음에 두지 않았는데,

8남2녀나 되는 자식들은

하나둘 병이 들어 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위항시인 정내교는

스승 홍세태를 처음 만나던 무렵을 이렇게 회상했다.

 

내가 처음 유하정에서 공을 뵈었을 때,

공의 나이가 벌써 쉰이나 되었다.

수염과 머리털이 희끗희끗한 데다 얼굴빛은 발그레해서

마치 신선을 바라보는 듯하였다.

이 해에 온 중국 사신은 글을 잘하는 사람이었는데,

의주까지 와서 우리나라 시인의 시를 보여달라고 청하였다.

조정에서는 누구의 시를 가려뽑을 건지 어려움에 처했는데,

당시의 재상이 공을 추천하였다.

 

임금께서도 “내 이미 그의 이름을 들었다.”고 하셔서 곧 시를 지으라고 명하여 보냈다.

얼마 안 되어 이문학관(吏文學官)에 뽑혔다가 승문원(承文院) 제술관(製述官)으로 승진하였다.

 

 

이문학관이나 승문원 제술관은 외국에 보내는 글을 담당하는 전문직이다.

역관이자 시를 잘 짓는 홍세태가 맡기에 알맞은 직책이었다.

임기가 끝나기 전에 모친상을 당해 벼슬을 떠났다가 삼년상을 마친 뒤에

승문원으로 다시 돌아왔으며, 찬수랑(纂修郞)으로 옮겨 우리나라의 시 고르는 일을 맡았다.

 

 

‘쌍치도(雙雉圖)’.

오른쪽 아래 ‘조선창랑’이라는 서명과 낙관이 보인다.

개인 소장.

‘대계 조선통신사’ 제 3권.

위항시인들의 시선집 ‘해동유주´를 편찬

 

문인이 세상을 떠나면 후손이나 제자들이 망인의 작품을 수집해

문집을 간행했다. 그러나 문집 간행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우선 글을 잘 지어야 했고,

적어도 책 한권 분량은 되어야 했으며,

편집비와 간행비가 마련되어야 했다.

이런 세 가지 조건이 다 갖춰져도

사회에서 문집을 낼 만한 인물이라고 인정받아야만 가능했다.

아무리 글을 잘 지어도

작품이 몇 편 되지 않으면 책으로 편집할 수 없었고,

출판비를 부담할 사람이 없으면 역시 간행할 수 없었다.

 

홍세태 이전에 위항시인으로 문집을 낸 사람은

노비 출신의 유희경이나 최기남 정도였다.

한시를 배운 중인이나 상민의 숫자가 임진왜란 뒤부터 늘어났지만,

아직 문집을 낼 만한 시인이 별로 없었다.

 

문집이 간행되지 않은 채 몇십년이 지나면

원고가 다 흩어져, 후세에 이름도 남지 않게 된다.

그래서 최기남과 어울려 삼청동에서 시를 지었던 위항시인 여섯명이 1658년에 161편의 작품을 모아 ‘육가잡영(六家雜詠)´이라는 시선집을 냈다. 일종의 동인지였는데, 이들이 역관이나 의원같이 경제력을 지닌 중인들이었으므로 가능하였다.

 

이로부터 다시 50년이 지나자 위항시인들의 작품이 많아졌다.

직업도 다양해졌으며, 시사(詩社)도 많아져,

‘육가잡영´같이 동인지 성격으로 그 많은 시인과 작품을 감당할 수는 없었다.

 

그러자 김창흡의 형인 대제학 김창협(金昌協 · 1651∼1708)이

홍세태에게 위항시인들의 시선집을 편찬해 보라고 권하였다.

 

“우리나라 시 가운데 채집되어 세상에 간행된 것이 많지만,

위항의 시만은 빠져 없어지고 전하지 않으니 애석하다. 그대가 이것을 채집해 보게.”

 

김창협은 “천기(天機)가 깊은 자만이 참다운 시를 지을 수 있다.”는

천기론을 내세운 문인이기에 그런 제안을 했으며, 편집자로는 홍세태가 적격이라고 생각했다.

 

천기는 태어날 때부터 하늘에서 부여받았던 본래의 순수한 마음인데,

조탁하거나 수식하지 않고도 시를 지을 수 있는 바탕이다.

홍세태는 1705년에 낙사(洛社) 동인인 최승태의 시집에 서문을 써주면서

위항시인과 천기론의 관계를 이렇게 부연 설명했다.

 

“시는 하나의 소기(小技)이다.

그러나 명예와 이욕에서 벗어나 마음에 얽매인 바가 없지 않고는 잘 지을 수가 없다.

장자(莊子)가 말하길 ‘욕심이 많은 자는 천기가 얕다.´고 하였다.

예로부터 살펴보면 시를 잘하는 사람은 산림(山林) 초택(草澤) 사이에서 많이 나왔다.

부귀하고 세력있는 자라고 해서 반드시 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로 미루어 보면 시는 작은 것이 아니다. 그 사람됨까지도 알아볼 수 있는 것이다.”

 

 

신분불만? 천기론 설파

 

시를 통해서 사람됨까지도 알아볼 수 있다는 말은 개성을 담아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한 개성은 빈부나 귀천에 달린 것은 아닌데,

벼슬을 얻기 위해 과거시험에 몰두한 양반들은 순수한 마음으로 학문을 하거나

시를 지을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태어날 때부터 권력에 욕심을 가질 수 없었던 위항시인들이

더 좋은 시를 지을 수 있다는 논리이다.

 

그때까지 위항시인들은 이름난 사람이 없었으므로,

그들의 후손을 찾아 유고를 얻어보는 일부터 힘들었다.

 

그는 ‘모래를 헤쳐 금을 가려내듯´  ‘사람들이 입으로 외우기에 알맞은 시´를 찾아

10여 년 동안 48명의 시 235편을 골랐다.

책에 실린 시인의 후손들이 출판비를 모아 1712년에 간행했는데,

김창협이 이미 세상을 떠난 지 4년 뒤였다.

 

홍세태는 “(잘못 골랐어도) 바로잡아줄 만한 사람이 없는” 것을 아쉬워하며 머리말을 썼다.

 

‘해동유주(海東遺珠)´라는 제목은 ‘해동에 버림받은 구슬´이란 뜻도 되며,

‘해동에서 시선집을 낼 때에 빠졌던 구슬´이란 뜻도 된다.

빛도 이름도 없이 땅속에 묻혀버릴 뻔했던 위항시인들의 작품이 그 덕분에 후세에 전해졌다.

 

그는 69세 되던 해에 자서전적인 시 ‘염곡칠가(鹽谷七歌)´를 지었는데, 그 첫번째 노래는 이렇다.

 

‘나그네여. 나그네여. 그대의 자가 도장이라지.

자기 말로는 평생 강개한 뜻을 지녔다지만

일만 권 책 읽은 게 무슨 소용 있나.

늙고 나자 그 웅대한 포부도 풀더미 속에 떨어졌네.

누가 천리마에게 소금수레를 끌게 했던가?

태항산이 높아서 올라갈 수 없구나.

 아아! 첫번째 노래를 부르려 하니

뜬구름이 밝은 해를 가리는구나.´

 

 

자기 같은 천리마에게 소금수레나 끌게 하는 사회가 바로 그가 인식한 현실이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제자들에게도 천기를 잘 보전하여 시를 지으라고 권하였다.

 

제자 정민교가 일자리를 찾아 지방으로 내려가게 되자, 홍세태가 글을 지어 주었다.

 

‘재주가 있고 없는 것은 내게 달렸으며, 그 재주를 쓰고 쓰지 않는 것은 남에게 달렸다.

나는 내게 달린 것을 할 뿐이다.

어찌 남에게 달린 것 때문에 궁하고 통하며 기뻐하고 슬퍼하다가,

내가 하늘로부터 받은 것을 그만둘 수 있으랴?´

 

중인 이하에게 벼슬길을 제한하는 사회제도 때문에 슬퍼할 게 아니라,

타고난 천기와 글재주를 맘껏 발휘하라는 충고이자, 사대부 문단에 대한 불만 선언이다.

그의 천기론은 후대에 더욱 발전하여

위항시인들이 방대한 분량의 시선집을 출판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교수

- 서울신문, 2007-03-27